• 제목/요약/키워드: male manufacturing workers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1초

일부 제조업 남성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와 우울과의 관련성 (The Association of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with Depressive Symptoms among Manufacturing Male Workers)

  • 박승경;이후연;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216-224
    • /
    • 2018
  • 본 연구는 제조업 사업장 남성 근로자들의 우울수준을 알아보고 직무스트레스 내용(직무의 요구도, 직무의 자율성) 및 직장의 사회적지지(상사의 지지도, 동료의 지지도)와 우울과의 관련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사대상은 제조업 사업장 남성 근로자 428명으로 하였으며, 2017년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조사대상자 중 우울경향이 있는 자(CES-D 점수 16점 이상)는 21.5% 이었다. 조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내용별 CES-D 점수는 업무의 요구도가 낮은 군보다 높은 군에서, 업무의 자율성이 높은 군보다 낮은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직장의 사회적지지도별 CES-D 점수는 상사의 지지도가 높은 군보다 낮은 군에서, 동료의 지지도가 높은 군보다 낮은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CES-D 점수는 업무의 요구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업무의 자율성, 상사의 지지도, 동료의 지지도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업무 요구도가 높을수록, 업무의 자율성이 낮을수록, 상사와 동료의 지지도가 낮을수록 CES-D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CES-D 점수에 대한 설명력은 업무 요구도와 업무의 자율성이 추가됨에 따라 18.4%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상사의 지지도와 동료의 지지도가 추기됨에 따라 14.1%의 설명력이 증가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는 업무의 요구도와 업무의 자율성 및 상사와 동료의 지지도가 우울수준과 높은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소규모 제조업 사업장 남성 근로자의 수면의 질 및 관련요인 (Quality of Sleep and its Associated Factors among Male Workers in Small-scale Manufacturing Industries)

  • 박의수;신은숙;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6193-6203
    • /
    • 2014
  • 본 연구는 50인 미만의 제조업 근로자들의 수면의 질을 평가하고, 이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및 직업관련 특성과 수면의 질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대전광역시 D공단에 소재하고 있는 50인 미만의 소규모 제조업 사업장 남성 근로자 856명을 대상으로 2011년 4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내용은 조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직업관련 특성 및 한국판 PSQI를 사용한 수면의 질 평가 등이었다. 연구 결과, PSQI에 의한 수면의 질 평가에서 전체 조사대상자의 32.0%는 수면의 질이 좋은 것으로, 68.0%는 수면의 질이 좋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모델에 의한 조사대상자의 수면의 질(PSQI) 수준은 기혼군일수록, BMI가 낮을수록,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비흡연군, 음주군,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는 군 및 커피를 음용하는 군, 생산직 근로자, 주당 근무시간이 길수록, 질병으로 인한 결근 경험이 있는 군일수록, 외래진료경험이 있는 군일수록 유의하게 낮았다. 위의 모델에서 보면 직업관련 특성이 추가됨으로 해서 13.1%의 설명력을 증가시켜 PSQI에 의한 수면의 질에 직업관련 특성이 높은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사업장 교대근무자와 비교대근무자의 수면문제와 건강상태 비교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nd Sleep Patterns between Shift Workers and Non-shift Workers in Manufacturing Plants)

  • 김은주;김명애;권경례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5-54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estimate sleep patterns and health status of the shift and non-shift factory worker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90 male workers in 13 companies, which manufacture automobile parts in Daegu, Korea.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5th, 2007 to April 5th, 2007. PSQI was scored to check the quality of sleep, ESS for excessive daytime sleep disorder, ISI for insomnia, and SF-36 for health status. The data were analyzed by $X^2$ and t-test using SPSS 12.0 for windows. Results: There was a difference in quality of sleep patterns between shift and non-shift workers (p=.033). A difference in the pattern of excessive daytime sleep (P=.005) and in the degree of insomnia (p=.030)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 statu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shift workers are in need of careful and continuous monitoring regarding sleep disorders and we need to develop health promotion programs including sleep hygiene for shift workers.

  • PDF

소규모 제조업 남성 근로자의 수면의 질, 직무 스트레스 및 피로가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leep Quality, Occupational Stress and Fatigue on Depression Among Small-scale Manufacturing Male Workers)

  • 이규선;강정숙;권인선;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230-2240
    • /
    • 2011
  • 본 연구는 소규모 제조업 사업장 남성 근로자들의 수면의 질, 직무스트레스 및 피로가 우울수준 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50인 미만의 소규모 제조업 사업장에 종사하고 있는 남성 근로자 856명을 대상으로 2010년 4월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자기기입식 설문조사(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우울군(CES-D 21점 이상)의 분포는 44.3%를 차지하였으며, 우울수준은 직무스트레스(r=0.538, p<0.01), 피로(r=0.533, p<0.01) 및 수면의 질(r=-0.399,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공분산 구조분석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수면의 질이나 피로수준보다 우울수준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스트레스 및 피로수준이 증가할수록, 수면의 질이 낮을수록 우울수준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근로자들의 우울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작업환경 및 직무내용의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생산직 남성근로자의 작업 중 에너지 소모량 (Energy Expenditure of Male Blue Collar Workers)

  • 우지훈;강동묵;신용철;김명옥;손민정;김부욱;이수일;조병만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83-192
    • /
    • 2006
  • Predicting energy expenditure (EE) is important to prevent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MSDs). The problem to predict EE is that the standard of EE is based on western data. The authors checked average EE by job categories to provide basic data for suggesting proper work intensity for Korean worker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2003 to 2005. Study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4 car parts assembly plant, 2 car assembly plant, 2 Heavy machine manufacturing plant and 2 shipyards. Total study subjects were 515 male workers. To estimate VO2max, sub-maximal test was conducted to measure VO275%max by bicycle ergometer (Combi Co, Aerobike 75XL II). Heartbeats were recorded with heartbeat recorder (Polar Electro Co, Finland, S810) during work. EE of work was calculated by recorded heartbeat and individual regression equation which was derived from sub-maximal test.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4 industry and 8 work posture, 23 job task categories. Mean EEs (S.D.) according to industry classification (kcal/min) were 4.9 (0.7), 4.8 (0.7), 4.9 (0.7), 5.0 (0.9), and 4.0 (0.5) for Car Part manufacture, Car Assembly, Ship Building, Heavy Machinery Manufacture, and Hospital Office, respectively. Th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male workers of exceeding to the NIOSH criteria will be needed to plan for job rescheduling to maintain $worker^{\circ}$Øs health. Further study to establish Korean work intensity standard would be needed.

사회적 지지가 만성적 스트레스와 면역체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Chronic Stress and Immune System in Male Manufacturing Workers)

  • 고상백;박종구;차봉석;장세진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5권4호
    • /
    • pp.287-294
    • /
    • 2002
  • Objectives : To examine whether cumulative chronic stress influences the immune status, and to verify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dimensions in male manufacturing workers. Methods : A total of 39 worker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A structured-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general characteristics, job characteristics (work demand and decision latitude), psychosocial distress, and social support. The serum levels of CD4 and CD8 were measured as immune markers, and were collected between 8:00 and 10:00am in order to standardize the markers. Nonparametric statistics were used to estimate the differences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the immune markers. Results :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were not associated with CD4, CD8 or CD4/CD8. No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the mean levels of immune reactivity. These results were consistent, even after controlling for social support. Social support failed to modify the relationship toward work demand, decision latitude or psychosocial distress to CD4, CD8, and CD4/CD8. Conclusion : Cumulative chronic life stress might not influence the immune status, and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immune function under chronic stress, may not play a crucial role in modifying the relationships. This implication supports that the effect of stress on the immune function may be determin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at stress. further research should effectively considers the type, magnitude and timing of a stress event, and modifiable factors, such as personality traits, coping style, and hormone excretion levels, on the alteration of immune status.

요통을 가진 남성 제조업 근로자에 대한 수지 뜸 요법과 압봉자극법 적용 효과 (Effects of Hand Moxibustion and Hand Press Pellet on Low Back Pain, Range of Joint Movement, and Depression)

  • 김연옥;최순옥;김지원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36-344
    • /
    • 2019
  • Purpose: This study tries to examine the effects of hand moxibustion and press pellet by applying them to male manufacturing workers with low back pain, and use them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for worker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to October, 2018, and the subjects were 60 men, processed by using SPSS/WIN 21.0 to perform homogeneity test with $x^2$-, t-, and hypothesis tests with repeated measures, ANOVA and $Scheff{\acute{e}}$ test. Results: Hypothesis 1 that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with hand moxibustion and hand press pellet would give lower scores for low back pain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F=78.71, p<.001). Hypothesis 2 that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with hand moxibustion and hand press pellet would have a wider range of motion than the control group" was also supported (F=17.44, p<.001). Hypothesis 3 that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with hand moxibustion and hand press pellet would give lower scores for depression than the control group," again, was supported (F=16.95, p<.001). Conclusion: Hand moxibustion and hand press pellet are effective in relieving low back pain for male workers, in increasing the range of motion, and in decreasing depression.

부산지역 근로자들의 고혈압에 관한 조사 (A Survey on High Blood Pressure among Employed Workers in Busan Area)

  • 김성식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2권1호
    • /
    • pp.56-60
    • /
    • 1979
  • 부산지역 산업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근로자 32,786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여 환경요인이 고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할 목적으로 동년 10월까지 고혈압의 유병율을 조사하였다. 제조업에 근무하고 있는 근로자는 전 조사대상자의 72.4%였으며 연령별로는 20-29세군이 39.9%로 가장 많았으며 이들의 성별 분포는 남녀 모두 20-29세 군에서 가각 36.8%, 46.1%로 가장 근로자가 많은 연령층이였다. 고혈압증의 유병율은 15.9였고 가장 유병율이 높은 업종은 도 소매 및 음식, 숙박업으로 51.5였다. 이 유병율은 연령이 많아 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 PDF

제조업 생산직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와의 융복합적 관련성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Fatigue Symptoms among Blue Collar Workers in Manufacturing Plants)

  • 신은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57-68
    • /
    • 2016
  • 본 연구는 50명 미만의 소규모 제조업장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의 융복합적 관련성을 파악하며,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유의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50명 미만의 소규모 제조업장 14개소에 근무하고 있는 남성 근로자 428명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5년 9월 1일부터 15일까지 스스로 작성하는 질문지를 통해 이루어 졌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의 피로수준은 직무스트레스(KOSS)수준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피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 BMI, 주관적 건강상태, 흡연상태, 규칙적인 운동여부, 커피음용여부, 외래진료유무, 직장생활의 만족도, 직무스트레스(KOSS)가 유의하게 나타난 변수이며 변수설명력은 34.1%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소규모 제조업 남성 근로자들의 피로수준은 인구 사회학적 특성별, 건강관련 행위특성별, 직무관련 및 직무스트레스와 유의한 융복합적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근골격계질환 예방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자동차 부품 제조업 근로자들의 근력과 자세의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Muscle Strength and Posture among Automobile Parts Manufacturing Workers and the Necessity of the Musculoskeletal Injury Prevention Program)

  • 권일호;신원섭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73-181
    • /
    • 2019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necessity of a musculoskeletal injury-prevention program for automobile parts manufacturing workers by assessing the body composition, muscle strength, and posture according to sex and age. METHODS: Two hundred eighty-two workers (men, 218; women, 64; mean age, 38.97 years; and mean work tenure, 10.29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completed a questionnaire on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excluding personal identification codes. The participants were evaluated for body composition, muscle strength, and posture using InBody, a hand dynamometer, and the Image J program through photography, respectively. An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the variance were used for the comparisons according to sex and age, respectively. RESULTS: Significant sex-related differences in muscle strength and grip force were observed (p<.05). In addition, the left-side pelvic inclin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emale participants than in the male participants (p<.05). Significant age-related differences in the skeletal muscle mass and muscle strength were observed around 40 years (p<.05).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observed among the body composition (skeletal muscle and body fat masses), muscle strength, and posture (pelvic inclination; p<.01). CONCLUSION: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lvic inclination by sex and muscle strength by age were found, even in healthy workers. Additional posture and muscle strength measurements will be needed for workers who participate in the musculoskeletal injury prevention program because they are exposed to an incorrect posture for many hours or in many repetitive tas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