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gnetic hyperfine field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8초

$Ni_{0.65}Zn_{0.35}Cu_{0.1}Fe_{1.9}O_4$의 결정학적 및 Mossbauer 효과 연구 (Crystallographic and Mossbauer studies of $Ni_{0.65}Zn_{0.35}Cu_{0.1}Fe_{1.9}O_4$)

  • 김우철;이승화;홍성렬;옥항남;김철성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18-124
    • /
    • 1998
  • Ni0.65Zn0.35Cu0.1Fe1.9O4의 결정학적 및 자기적 성질을 Mossbauer 분광법과 X-선 회절법으로 연구하였다. 결정구조는 cubic spinel 구조이며, 격자상수 a0=8.390$\AA$임을 알았다. Mossbauer 스펙트럼은 12K부터 705K까지 취하였으며, 상온에서 이성질체 이동결과 사면체자리 [A 자리], 팔면체자리[B 자리] 모두 Fe+3가 임을 알았고, Neel 온도 TN=705K로 결정하였다.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Mossbauer 스펙트럼의 선폭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철의 자리에서 여러 다른 초미세자기장의 온도의존성으로부터 기인된다고 몰 수 있으며, 전기사중극자 분열값이 Neel 온도에서 0.41mm.s인 반면 TN이하에소는 실험적인 오차범위에서 0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전기장기울센터의 주축에 대한 초미세자기장의 방향이 임의적이라는데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이 된다.

  • PDF

The Oxidation of Magnetic Particles in Medicinal Ointment

  • Kim, Eng-Chan
    • Journal of Magnetics
    • /
    • 제17권2호
    • /
    • pp.83-85
    • /
    • 2012
  • Magnetic particles in a novel, wound-healing ointment were studied using M$\ddot{o}$ssbauer spectroscopy and VSM to estimate the stability of the properties of the magnetic particles. The isomer shifts of $Fe_3O_4(A)$ were found to be 0.49-0.56 mm/s relative to iron metal, this indicates that the iron ions in $Fe_3O_4(A)$ are $Fe^{3+}$. On the other hand, the isomer shifts of $Fe_3O_4(B)$ were found to be 0.91-1.13 mm/s relative to iron metal, this shows that the ion state of $Fe_3O_4(B)$ is a mixed state of $Fe^{2+}$ and $Fe^{3+}$. It is noted that this composition, as well as that of the initial pure component in the form of a highly dispersed fraction (${\sim}10\;{\AA}$), differs from the stoichiometric one. It was found that the area ratio of the M$\ddot{o}$ssbauer subspectra of $Fe_3O_4(A)$ / $Fe_3O_4(B)$ taken at 87 and 181 K linearly increased in comparison to the initial pure magnetic particles, but the rate of increase of the area ratio at 181 K was about two times that at 87 K. From the magnetic hyperfine field, despite their small size, the particles exhibit no superparamagnetism.

[ $^{11}B$ ] Nuclear Magnetic Resonance Study of Spin Structures in Terbium Tetraboride

  • Mean, B.J.;Kang, K.H.;Kim, J.H.;Hyun, I.N.;Lee, Moo-Hee;Cho, B.K.
    • 한국자기공명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97-202
    • /
    • 2006
  • [ $^{11}B$ ]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measurements were performed on the single crystals of $TbB_4$ to investigate local electronic structure and 4f spin dynamics. $^{11}B$ NMR spectrum, Knight shift, spin-lattice and spin-spin relaxation rates were measured down to 4K at 8T. $^{11}B$ NMR shift and linewidth are huge and strongly temperature dependent due to the 4f moments. In addition, both are proportional to magnetic susceptibility, indicating that the hyperfine field at the boron site originates from the 4f spins of Tb. Below $T_N$, the single broad resonance peak of $^{11}B$ NMR splits into several peaks reflecting the local magnetic fields due to antiferromagnetic spin arrangements. The longitudinal and the transverse relaxation rates, $1/T_1\;and\;1/T_2$, independent of temperature above $T_N$, decreases tremendously confirming huge suppression of spin fluctuation below $T_N$.

  • PDF

기계적합금법으로 제조된 $Fe_5Si_xB_{5-x}$ (x = 0, 1, 2, 3) 분말의 상분석 및 자기적 특성 (Phase Analysis and Magnetic Properties of $Fe_5Si_xB_{5-x}$ (x = 0, 1, 2, 3) Powders Prepared by Mechanical Alloying)

  • 황연;김택수;이효숙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7권6호
    • /
    • pp.293-298
    • /
    • 1997
  • 기계적합금법으로 Fe$_{5}$Si$_{x}$B$_{5-x}$ 분말을 제조하고, Si 치환에 따른 합성상의 변화 및 합성분말의 자기적 성질을 XRD, TEM, Mossbauer spectroscopy, VSM 등으로 조사하였다. 각 출발 원소들은 milling 초기에 .alpha. -Fe 구조로 고용되어 비정질(amorphous) 상태로 되며, 기계적합금화가 진행됨에 따라 최종 안정상이 석출되었다. Fe$_{5}$B$_{5}$ 조성의 경우(x=0) 250시간 볼밀 처리한 후 800 .deg. C에서 2시간 열처리하면 FeB와 Fe$_{2}$B 상이 혼재된 구조가 얻어 진다. B의 일부를 Si으로 치환하면 Fe$_{2}$B 상의 생성이 억제되는 반면에 여분의 Si이 Fe$_{5}$SiB$_{2}$, Fe$_{2}$Si$_{0.4}$B$_{0.6}$ 상 및 상자성 상을 형성한다. FeB 상은 800 .deg. C에서 열처리한 후에도 결정성이 높지 않아서 넓은 범위의 초미세자장 값을 갖는 반면에, 다른 상들은 결정화가 이루어져 일정한 초미세자장 값을 보였다. 포화자화 값은 Fe$_{2}$B 상이 가장 많이 함유된 Fe$_{5}$B$_{5}$ 조성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다.

  • PDF

57Fe 이온이 CuO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Mössbauer 분광 연구 (Mössbauer Study on the Variation in Magnetic Properties of CuO Induced by 57Fe Addition)

  • 박재윤;김광주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13-119
    • /
    • 2009
  • sol-gel 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57}Fe_xCu_{1-x}O$(x = 0.0, 0.02) 분말 시료들에 대한 결정구조 및 초미세 자기적 특성을 X-선 회절(XRD)과 $M{\ddot{o}}ssbauer$ 분광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XRD 측정 결과 단사(monoclinic) 구조의 CuO 단일상 만이 나타났고, 열처리 온도 상승에 따라 격자상수 값들은 소폭 증가하였다. 또한, 열처리 온도 증가에 따라 $Fe^{3+}$ 스핀들의 정렬과 관련되는 산소 vacancy 농도가 증가하며, 이에 따라 상온에서의 강자성 상의 세기가 증가되었다. Jahn-Teller 효과에 의하여 왜곡된 팔면체 자리에 위치하는 $^{57}Fe$ 이온에 대하여 CuO의 Neel 온도보다 매우 낮은 17 K에서 사중극자 상호작용과 초미세 자기장 상호작용이 동시에 작용하는 조건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초미세 자기장 방향은 전기장 기울기 텐서의 세 주축에 대하여 ${\theta}=65^{\circ}$, ${\phi}=0^{\circ}$이고, 비대칭인자 ${\eta}=0.6$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Jahn-Teller 효과에 의한 왜곡으로 비교적 큰 사중극자 분열 ${\Delta}E_Q=-3.67\;mm/s$ 값이 나타났으며, 이성질체 이동 값은 $Fe^{3+}$에 대한 값인 0.32 mm/s으로 얻어졌다. $500^{\circ}C$에서 열처리를 통하여 얻어진 $^{57}Fe_{0.02}Cu_{0.98}O$ 시료에 대하여 17 K에서 취한 $H_{hf}$ 값은 426.94 kOe로 비교적 작은 값으로 얻어졌는데, 이것은 $H_{hf}$에 관계되는 세가지 항 $H_L$, $H_d$, $H_c$ 사이의 온도 의존성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Mössbauer 분광법에 의한 Ni1-xMgxFe2O4 Ferrite의 자기구조 연구 (The Study of Magnetic Structure of Ni1-xMgxFe2O4 Ferrite System by Mössbauer Spectroscopy)

  • 윤인섭;백승도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06-112
    • /
    • 2009
  • 상온에서 준강자성을 띠는 $Ni_{1-x}Mg_xFe_2O_4$ ferrite 내에 존재하는 금속양이온 Ni을 Mg로 대치시킬 때 나타나는 결정학적 구조의 변화와 자기적 성질 변화, 그리고 양이온의 분포를 X-선 회절무늬와 $M{\ddot{o}}ssbauer$ spectrum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연구하였다. $NiFe_2O_4$ ferrite의 $M{\ddot{o}}ssbauer$ spectrum 공명흡수면적비(oct/tet)는 1.007로서 거의 완전한 inverse spinel 구조를 형성하나 Mg의 함량인 x가 증가함에 따라 Mg 이온이 tetrahedral site를 점유하게 되어 면적비(oct/tet)가 점차 증가하여 $MgFe_2O_4$의 경우 1.449로서 불완전한 inverse spinel 구조를 형성한다. 시료들의 isomer shift 값으로부터 $Ni_{1-x}Mg_xFe_2O_4$ ferrite계 내에 존재하는 Fe는 $Fe^{3+}$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비자성 이온인 Mg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최인접 금속 양이온에 의해 발생되는 A-B exchange interaction이 발생할 확률이 작아져서 magnetic hyperfine field가 감소하며 Yafet-Kittel 자기구조를 나타낸다.

Mössbauer Study of Ti0.9957Fe0.01O2

  • Kim, Eng-Chan;Moon, S.H.;Woo, S.I.;Kim, H.D.;Kim, B.Y.;Cho, J.H.;Joh, Y.G.;Kim, D.H.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6-108
    • /
    • 2005
  • The rutile polycrystal $Ti_{0.99}\;^{57}Fe_{0.01}O_2$ prepared with $^{57}Fe$ enriched iron have been studied by $M\ddot{o}ssbauer$ spectroscopy, X-ray diffraction and VSM. The $M\ddot{o}ssbauer$ spectrum of $Ti_{0.99}\;^{57}Fe_{0.01}O_2$ consists of a ferromagnetic and a paramagnetic phase over all temperature ranging from 4 to 300 K. Isomer shifts indicate $Fe^{2+}$ for the ferromagnetic phase, but $Fe^{3+}$ for the paramagneic phase of $Ti_{0.99}\;^{57}Fe_{0.01}O_2$ sample. It is noted that the magnetic hyperfine field of ferromagnetic phase had the value about 1.48 times as large as that of $\alpha$-Fe. The XRD data for $Ti_{0.99}\;^{57}Fe_{0.01}O_2$ showed a pure rutile phase with tetragonal structures without any segregation of Fe into particulates within the instrumental resolution limit The magnetic hysteresis (M-H) curve at room temperature showed an obvious ferromagnetic behavior and the magnetic moment per Fe atom under the applied field of 1 T was estimated to be about $0.71{\mu}_B$, suggesting a low spin configuration of Fe ions.

철을 미량 치환한 La-Sr-Mn-O의 결정학적 및 자기적 특성 연구 (Crystal Structure and Magnetic Properties of Iron Doped La-Sr-Mn-O)

  • 안근영;심인보;김삼진;김철성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4-19
    • /
    • 2002
  • CMR 자성물질인 LSMO 페롭스카이트 망간산화물에 $^{57}$ Fe를 미량 치환한 L $a_{0.67}$S $r_{0.33}$M $n_{0.99}$$^{57}$ F $e_{0.01}$ $O_3$물질에 대하여 그 결정학적 및 자기적 특성을 x-선 회절 실험, 진동시료 자화율 측정 실험, 자기저항 실험, Mossbauer 분광 실험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물을 용매로 한 sol-gel법을 이용하여 단일상의 polycrystalline L $a_{0.67}$S $r_{0.33}$M $n_{0.99}$$^{57}$ F $e_{0.01}$ $O_3$분말시료를 합성하였으며, 결정구조는 격자 상수 $a_{0}$ =5.480 $\AA$, $\alpha$=60.259$^{\circ}$를 갖는 rhombohedral구조로 분석되었다. 상온에서의 magnetic moment 값은 60.15 emu/g임을 알 수 있었고 큐리온도( $T_{c}$)는 375 K로 결정하였다. Mossbauer 스펙트럼은 20-400 K 영역에서 측정되었으며, 온도증가에 따라 관측되는 비대칭적 선폭증가는 이방성 초미세자기장 요동 모델로 설명할 수 있었다. 이 때 이방성 초미세 자기장이 + $H_{0}$ 및 - $H_{0}$ 로 진동하는 시간 비율은 $P_{+}$= 0.80 및 $P_{-}$= 0.20으로 분석되었다. 이방성 초미세자기장 요동 진동수로부터 온도변화에 따른 이방성 에너지를 계산하였으며, 150 K에서 124.01 erg/$cm^3$로 최대값을 갖음을 알 수 있었다.다.었다.었다.다.었다.

$ThMn_{12}$$NdFe_{10.7}Ti_{1.2}Mo_{0.1}$의 미세구조 및 자기적 성질 연구 (Magnetic Properties of $ThMn_{12}-type$$NdFe_{10.7}Ti_{1.2}Mo_{0.1}$>$Ti_{1.2}Mo_{0.1}$)

  • 안성용;이승화;김철성;김윤배;김창석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90-96
    • /
    • 1997
  • ThM $n_{12}$ 구조를 갖는 NdF $e_{10.7}$ $Ti_{1.2}$M $o_{0.1}$의 미세구조 및 자기적 성질을 Mossbauer 분광법과 X-선 회절 분석 그리고 VSM으로 연구하였다. NdF $e_{10.7}$ $Ti_{1.2}$M $o_{0.1}$ 합금은 알곤 가스 분위기의 아크 ㅇ용해로에서 제조하였으며, X-선 회절 분석 결과 결정구조는 상온에서 tetragonal 구조를 갖고 있으며, 격자상수는 $a_{0}$ = 8.637 .angs. , $c_{0}$ = 4.807 .angs. 으로 결정하였다. Mossbauer spectrum을 13 K에서 800 K 까지 취하였으며, Curie 온도는 600 K로 결정하였다. Mossbauer spectrum 분석은 Curie 온도 이하의 온도에서는 Fe-site가 (8 $i_{1}$, 8 $i_{2}$, 8 $j_{2}$, 8 $j_{1}$, 8f)의 5 site로 나타났으며, 400 K 근처에서 .alpha. -Fe 상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Curie 온도에서 20.7%의 .alpha. -Fe 상이 존재함을 알았다. 각 site에서의 초미세 자기장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그 크기는 $H_{hf}$(8i)> $H_{hf}$(8j)> $H_{hf}$(8f) 임을 알았고 spin파 여기에 의한 T/ $T_{c}$<0.7 이하에서의 평균 초미세 자기장 $H_{hf}$(T)의 변화는 [ $H_{hf}$(T)- $H_{hf}$(0)]/ $H_{hf}$(0)=-0.34(T/ $T_{c}$)$^{3}$2/-0.14(T/ $T_{c}$)$^{5}$ 2/로 나타났다. 또한 원자간 결합력을 알 수 있는 Debye 온도는 .THETA. = 340 .+-. 5 K로 나타났다.ETA. = 340 .+-. 5 K로 나타났다.

  • PDF

Epr Study of the 10-Tungsto-2-vanado(Ⅳ, Ⅴ)phosphate Anion, [PV(Ⅳ)VW$_{10}O_{40}]^{6-}$

  • Lee, Chul-Wee;So, Hyun-Soo;Lee, Kyu-Ryo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7권1호
    • /
    • pp.39-41
    • /
    • 1986
  • The polycrystalline epr spectrum of ${\alpha}-1,\;2-[PV(IV)VW_{10}O_{40}]^{6-}$ doped into host crystals and its solution spectrum are reported. The solution spectrum consists of fifteen lines, indicating that the unpaired electron is hopping fast between the two vanadium atoms. The polycrystalline spectrum, which consists of three sets of fifteen lines, was analyzed as a spectrum of an I = 7 system and the epr parameters were determined. The spectrum cannot be interpreted by assuming that each line appears at the average magnetic field of two hyperfine lines expected for two uncoupled vanadium ato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