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RNA 발현

검색결과 1,681건 처리시간 0.03초

부동스트레스가 흰쥐 뇌 조직 내 TH, BDH와 CRH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mmobilization stress on the expression of TH, BDH and CRH gene in rat brain)

  • 천영일;김윤식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4권2호
    • /
    • pp.179-185
    • /
    • 2007
  • 목 적:카테콜라민은 교감신경계에서 신경전달물질이며 스트레스자극에 의해 활성화된다. TH와 DBH는 카테콜라민 합성에 매우 중요한 효소이다. CRH는 스트레스 반응에서 방출되는 호르몬이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부동스트레스가 흰쥐 뇌에서 TH, BDH와 CRH 유전자발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방 법:2시간 동안 부동스트레스와 무처치 흰쥐의 뇌에서 TH, DBH와 CRH 유전자 발현량을 비교하였다. TH, DBH와 CRH 유전자 발현은 RT-PCR과 western blotting analysis에 의해 정량하였다. 결 과:부동스트레스 흰쥐 그룹의 뇌와 부신에서 TH와 DBH 유전자발현은 정상그룹보다도 약 2-3배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CRH유전자는 약 1.5배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 론:이번 연구는 흰쥐의 뇌와 부신에서 TH, DBH와 CRH 유전자는 스트레스 자극에 의해 발현이 활성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세포생물학과 Proteomics 응용 (Proteomic Application in Cell Biology)

  • 김동욱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09-113
    • /
    • 2001
  • 많은 생물체의 완전한 genome sequence가 속속 밝혀지면서 세포의 기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려는 노력들이 이어져 왔다. DNA microarray는 세포 전체의 유전자 전사, 즉 mRNA 레벨을 측정해주므로 세포가 처해있는 서로 다른 환경 속에서 유전자 발현의 차이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유전자 발현의 최종 산물은 mRNA를 통해 번역된 단백질에 해당되고, 많은 단백질이 번역후 수식(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과정을 거쳐 세포 내에서 기능을 발휘하므로 진정한 세포의 생리학적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선 단백질 레벨의 분석이 필수적이다. Proteomics란 유전자 산물 즉 단백질의 기능을 large-scale로 분석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것은 genome에 의해 만들어지는 모든 단백질(proteome)을 의미하기도 하고 좁은 의미에서는 세포내의 어떤 organelle(예: Golgi Complex)에 존재하는 단백질 혹은 어떤 protein complex를 지칭하기도 한다. Proteomics는 어떤 주어진 조건에서 특별한 세포 또는 organelle에서 발현되는 단백질들을 연구하고 이해하는데 강력한 수단이 되고 있다. 이런 proteomics는 genomics, bioinformatics 등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세포의 기능을 입체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본고에서는 proteomic analysis 과정을 간단히 살피고 최근 세포 생물학에서 이루어지는 proteomics의 응용을 살펴본다.

  • PDF

흰쥐 생식소에서 GnRH-like mRNA의 발현과 세포내 분포 (Expression and Cellular Localization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like Messenger Ribonucleic Acid in the Rat Gonad)

  • Park, Wan-Sung;Lee, Sung-Ho;Kim, Hyun-Sup;Cho, Sa-Sun;Young Namkung;Yoon, Yong-Dal;Paik, Sang-Ho;Cho, Wan-Kyoo;Kim, Kyungjin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35-445
    • /
    • 1990
  • 시상하부에서 합성, 분비되는 gonadotropin releasing horrnone (GnRH)의 면역반응성이 생식소를 비롯한 여러 부위에서도 검출됨이 알려졌으나, 이 펩타이트가 과연 생식소에서 국부적으로 합성되는 지에 관해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흰쥐 생식소에서 GnRH유전자발현을 연구하기 위하여 GnRH-like mRNA와 GnRH펩타이트의 발현과 세포내 분포 양상을 조사하였다. GnRH 방사면역측정법과 GnRH를 크로마토그라피 방법으로 분리한 결과,시상하부에서 합성되는 GnRH와 유사한 GnRH 면역반은이 흰쥐 생식소 추출물에서 상당량 검출되었다. GnRH-면역반응이 흰쥐 난소의 다양한 세포군에서 나타냄에 반하여, GnRH-like mRNA는 granulsa,theca 그리고 luteal 세포에서만 주로 발현되었다. 또한 흰쥐 정소에서 GnRH면역반응성은 원시정세포, Sertoli,Leydig 세포에서만 검출된 반면에, GnRH-like mRNA는 정세관내의 Seertoli세포에서만 발현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생식소에 존재하는 GnRH는 생식소 내에서 국부적으로 합성, 발현되는 결과라고 사료되며, 생식소 내에서 생성된 GnRH는 생식소내 세포군간의 정보교환의 매개자로서 역활을 수행하고 있다고 추정된다.

  • PDF

SNU-16 위암 세포의 mRNA 및 miRNA 프로파일에 미치는 제주조릿대 추출물의 영향 (Effects of Sasa quelpaertensis Extract on mRNA and microRNA Profiles of SNU-16 Human Gastric Cancer Cells)

  • 장미경;고희철;김세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501-512
    • /
    • 2020
  • 제주조릿대 잎은 항염, 해열 및 이뇨작용을 가지고 있어 위궤양, 목마름 및 토혈 치료를 위한 민간의약으로 사용되어 왔다. 본 저자들은 제주조리대 잎에서 분리한 피토케미칼 풍부 추출물(PRE)과 그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EPRE)은 여러 위암 세포주에서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항암 효과가 있다고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는 EPRE의 세포사멸 유도 기전에 관여하는 분자표적들을 탐색하기 위하여 EPRE을 처리한 SNU-16 세포에서 mRNA와 microRNA (miRNA)의 프로파일 변화를 분석하였다. RNA sequencing 분석을 통해 총 2,875개의 차등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들(DEGs)을 동정하였다. 유전자 온톨로지(GO)와 KEGG 경로 분석 결과, EPRE는 세포사멸, 유사 분열-활성화 단백질 키나제(MAPK) 및 염증 반응, 종양 괴사 인자(TNF) 신호 전달 및 암 경로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백질-단백질 상호 작용(PPI) 네트워크 분석으로 세포사멸 및 세포죽음과 관련된 유전자들 간의 상호작용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miRNA sequencing 분석을 통해 총 27개의 차별적으로 발현되는 miRNAs (DEMs)를 동정하였다. GO와 KEGG 경로 분석 결과, EPRE는 세포주기, 세포사멸 및 tropomyosin-receptor-kinase (TRK) 수용체 신호 전달, 성장인자-β(TGF-β), 핵인자 κB (NF-κB) 및 암 경로에 관여하는 miRNAs의 발현을 조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EPRE의 항암 효과의 근본적인 메커니즘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분열효모에서 spDbp5 유전자의 결실돌연변이 제조와 기능에 대한 연구 (Construction of spDbp5 Null Mutants Defective in mRNA Export)

  • 배진아;조현진;윤진호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80-84
    • /
    • 2008
  • mRNA의 핵에서 세포질로의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발아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의 DEAD-box RNA helicase인 DBP5 유전자와 유사한 분열효모 Schizosaccharomyces pombe의 유전자(spDbp5로 명명)의 결실돌연변이주(knockout mutant)를 제조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배체인 S. pombe 균주에 하나의 spDbp5 유전자만을 결실시킨 후 4분체분석(tetrad analysis)을 수행한 결과, 이 유전자가 결실된 반수체 균주는 생장하지 못했다. mRNA의 핵에서 세포질로의 이동에 있어서 spDbp5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spDbp5의 발현이 티아민(thiamin)에 의해 억제되는 균주를 제작하여 in situ hybridization을 통해 세포 내의 $poly(A)^+$ RNA 분포를 살펴보았다. spDbp5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되면, $poly(A)^+$ RNA가 핵 안에 축적되고세포질에서는 줄어들었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spDbp5 유전자 역시 mRNA의 핵에서 세포질로의 이동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내독소에 의한 말초혈액 단핵구의 IL-8 및 IL-$1{\beta}$ 유전자 발현에서 산소기 역할에 관한 연구 (Role of Oxygen Free Radical in the Expression of Interleukin-8 and Interleukin-$1{\beta}$ Gene in Mononuclear Phagocytic Cells)

  • 강민종;김재열;박재석;이승준;유철규;김영환;한성구;심영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6호
    • /
    • pp.862-870
    • /
    • 1995
  • 연구배경: 산소기의 작용은 과거에는 세포독성이 주로 알려져 있었던 반면, 최근 들어 산소기의 세포내 신호전달체계에서의 역할에 많은 사람의 관심이 모이고 있다. 여러 cytokine의 전사인자(transcription factor)로 작용하는 $NF{\kappa}B$는 기저상태에서는 세포질에 존재하는데 $I{\kappa}B$와 결합되어 핵내로의 이동이 억제되고 있다. 여러 연구에 의해 $NF{\kappa}B$$I{\kappa}B$로부터의 분리는 외부자극에 의해 생성된 산소기에 의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렇게 하여 분리된 $NF{\kappa}B$가 핵내로 이동하면 핵내에서 전사인자로 작용하여 여러 유전자의 전사를 증가시키는 것이 보고되었다. IL-8 유전자는 5'flanking promotor region에 $NF{\kappa}B$-like motif가 있어 핵내 $NF{\kappa}B$ activity의 증가로 IL-8 유전자의 전사가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졌고, 또한 내독소는 핵내의 $NF{\kappa}B$ activity의 증가와 함께 호중구에서의 산소기의 분비를 가져온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내독소에 의한 IL-8 유전자의 발현은 세포내에서 생성된 산소기에 의해 $NF{\kappa}B$$I{\kappa}B$로부터 분리되어 핵내로 이동하고 이로 인해 IL-8 유전자의 전사가 증가되는 가설을 생각할 수 있다. 저자들은 이러한 가설 검정의 첫번째 단계로써 체내 염증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말초혈액 단핵구의 IL-8 및 IL-$1{\beta}$ 유전자 발현에 세포내의 산소기가 관여하는지의 여부를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Ficoll-Hypaque density gradient 법과 plastic 부착법을 이용하여 말초혈액 단핵구를 분리하였다. 외부에서 투여한 산소기의 농도에 따른 IL-8 및 IL-$1{\beta}$ mRNA 발현의 유무를 관찰하기 위하여 $H_2O_2$를 0, 10, 100, $300{\mu}M/L$, 1mM/L의 농도로 투여하고 6시간이 경과한후 IL-8 및 IL-$1{\beta}$에 대한 North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다. 시간에 따른 IL-8 및 IL-$1{\beta}$ mRNA 변화를 관찰하고자 $H_2O_2$$100{\mu}M/L$의 농도로 투여하고 0, 2, 4, 6, 8, 24시간이 경과한 후 North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다. 항산화제가 내독소에 의한 IL-8과 IL-$1{\beta}$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TMTU(10 mM/L) 1시간; PDTC($100{\mu}M/L$) 1시간, NAC(10 mM/L) 2.5시간, ME(10mM/(L) 2.5시간, Desferrioxamine(100mM/L) 15시간 동안 전처치 한 디음 내독소를 투여허여 4시간이 경과한 후 IL-8 및 IL-$1{\beta}$ mRNA에 대한 North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다. 결과: $H_2O_2$농도 및 시간에 따른 말초혈액 단핵구에서의 IL-8 및 IL-$1{\beta}$ mRNA의 발현에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지만 항산화제로 전처치하였을 때 내독소에 의한 말초혈액 단핵구에서의 IL-8 및 IL-$1{\beta}$ mRNA의 발현이 억제되었고 그 억제정도는 TMTU에서 가장 현저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에서 말초혈액 단핵구에서의 IL-8 및 IL-$1{\beta}$ mRNA 발현에 $H_2O_2$가 아닌 다른 산소기가 일부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참돔, Pagrus major의 성숙능력 유도시 증가된 난성숙 관련 mRNA (Increased mRNA Related Ovarian Maturation during Induction of Maturational Competence in Red Seabream, Pagrus major)

  • 최철영;장영진;융도사부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4권1호
    • /
    • pp.125-131
    • /
    • 2000
  • Differential display-PCR 방법을 이용하여, hCG 처리에 의한 참돔, Pagrus major의 난성숙 능력의 획득 경과시간에 따라 새롭게 발현하는 cDNA를 해석하였다. Differential display-PCR과 5'RACE 방법을 이용하여, 2,662 염기와 434개의 아미노산을 코드하고 있는 cDNA의 전염기배열을 결정하였다. DNA의 데 이터베이스인 GenBank 및 EMBL을 이용하여 상동성을 검색한 결과, 본 cDNA와 높은 상동성을 나타낸 유전자는 검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cDNA는 참돔의 난성숙 능력 유도와 함께 그 발현량이 증가하는 난성숙 관련 유전자로 판단되었다. 또한 본 cDNA에서는 protein kinase C 인산화 및 casein kinaseII 인산화 consensus 배열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cloning된 난성숙 관련 유전자는 난여포에 hCG 처리 9~24시간 후에 그 발현량이 증가하였으며, GH-II (300 ng/ml)로 배양한 난여포에서 특이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in vivo 실험에서 난성숙 관련 유전자는 난성숙 능력 획득 이전의 난소에서는 거의 발현하지 않았으나, 난성숙 능력을 획득한 난소에서 강하게 발현된 점으로 보아, hCG에 의한 난성숙 능력 유도에 성숙기간 중 새롭게 합성되는 난성숙 관련 유전자가 관여할 가능성이 높다.

  • PDF

LPS로 자극한 돼지 말초혈액 단핵구세포의 Nitric Oxide (NO) 생산 및 Activator Protein-1 (AP-1) 활성화에 있어 Fucoidan의 효과 (Effects of Fucoidan on Nitric Oxide Production and Activator Protein-1 Activation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Porcine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 박종찬;안창환;강병택;강지훈;정의배;양만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89-294
    • /
    • 2015
  • Fucoidan은 갈조류로부터 추출되는 황산다당류로 다양한 생리학적 활성을 갖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LPS로 자극한 돼지 말초혈액 단핵구세포(PBMCs)의 NO 생산에 있어 fucoidan의 효과를 검토하고, 이러한 효과가 iNOS의 발현과 AP-1의 활성화와 관련이 있는지를 조사하는데 있다. LPS 무처치 돼지 PBMCs에서 fucoidand의 처리는 NO 생산과 AP-1활성에 대해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iNOS와 AP-1의 mRNA 발현도 fucoidan 처치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LPS로 자극한 PBMCs에서는 NO 생산과 AP-1의 활성 그리고 iNOS와 AP-1의 mRNA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LPS에 의한 돼지 PBMCs의 NO 생산과 AP-1 활성증가는 fucoidan 첨가에 의해 감소되었다. 또한 fucoidan은 LPS에 의한 iNOS와 AP-1의 mRNA 발현증가도 억제시켰다. 이상의 결과는 fucoidan이 LPS 자극 돼지 PBMCs에서 iNOS 발현과 AP-1 활성의 억제와 함께 NO 생산을 하향 조절함으로써 항염증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급성 알코올 간독성을 유발한 생쥐에 있어서 으름 열매 추출물의 간 기능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Akebia quinata Fruit Extract on Acute Alcohol-induced Hepatotoxicity in Mice)

  • 이상훈;송영선;이서연;김소영;고광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622-629
    • /
    • 2014
  • 생쥐에서의 으름의 열매 추출물의 경구 투여가 알코올로 인한 급성 간독성 상태에서 간보호 효과에 대한 영향을 조사 하였다. 즉, 생쥐 (C57BL/6)에게 1주간 으름 열매 추출물을 투여 하고 희생 전 알코올의 경구 투여를 통해 급성 알코올 간독성을 유발한 후 간 조직 형상, 간 기능 지표(ALT, AST), 간 세포내 GSH 합성 효소(GCLM, GCLC, GSS)의 mRNA 발현량, GSH 농도의 측정, 산화 스트레스 지표인 NOX4의 mRNA 발현량과 염증 반응 지표인 TNF-${\alpha}$의 mRNA 발현량을 조사 하였다. 그 결과, 으름 열매 추출물의 경구 투여는 알코올로 유발된 급성 간독성 상태에서 간 조직내 지방의 축적을 완화 하였고, 혈청 AST, ALT 수치를 개선하였으며, 간조직 내 항산화 물질인 GSH의 농도를 증가시켰다. 더불어 활성산소기를 생성하는 NOX4의 mRNA 발현을 억제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염증 반응 지표인 TNF-의 mRNA 발현도 억제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으름의 열매 추출물은 알코올로 유발된 산화 스트레스, 염증 반응에 대한 간보호 효과 가능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인간 표피 각질형성세포에서 대기 미립자 물질 PM10에 의해 유도되는 반응성 산소종의 생성에서 Dual oxidase 2의 역할 (Role of Dual Oxidase 2 in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Induced by Airborne Particulate Matter PM10 in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 석진경;최민아;하재원;부용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57-67
    • /
    • 2019
  • 직경 $10{\mu}m$ 미만의 대기 미립자 물질(particulate matter, PM10)은 다양한 신체기관에서 산화 스트레스와 염증반응을 유발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 표피 각질형성세포(HEK)에서 PM10에 의해 유도되는 반응성 산소종(ROS) 생성의 메커니즘을 알아보는 것이다. 배양된 HEK를 PM10에 노출시켰을 때 ROS가 증가하였으며, 이는 항산화제 apocynin에 의해 저해되었다. PM10에 의해 유도되는 ROS 생성에서 NADPH oxidase(NOX) family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하여 이들의 mRNA 발현을 분석하였다. PM10은 NOX1, NOX2, dual oxidase (DUOX)1 및 DUOX2의 mRNA 발현을 증가시켰다. 다른 NOX들에 비교하여 DUOX1 및 DUOX2의 발현 수준이 높았으며, 이들 효소의 maturation factors, 즉 DUOXA1와 DUOXA2의 mRNA 발현도 PM10에 의하여 증가하였다. 칼슘 의존성 효소인 DUOX1과 DUOX2가 PM10에 의해 유도되는 ROS의 생성을 매개하는지 조사하였다. 선택적인 세포내 칼슘 킬레이터인 BAPTA-AM은 PM10 및 칼슘 ionophore A23187에 유도된 ROS 생성을 감소시켰다. 작은 간섭 RNA (siRNA)에 의한 DUOX2의 하향 조절은 PM10에 의해 유도된 ROS의 생성을 감소시켰고 DUOX1 siRNA는 영향이 없었다. PM10은 interleukin $(IL)-1{\beta}$, IL-6, IL-8 및 interferon $(IFN)-{\gamma}$ 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siRNA에 의한 DUOX2의 하향 조절은 $IFN-{\gamma}$의 발현을 저해하였지만 다른 사이토카인의 발현은 저해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PM10에 노출된 HEK의 ROS 생성 및 염증 반응에서 DUOX2가 중요한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