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MCP-6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3초

SCF에서 배양한 결합조직형 비만세포에서 mMCP-6 발현을 조절하는 MITF 이형체 (Alternative Isoforms of the mi Transcription Factor (MITF) Regulate the Expression of mMCP-6 in the Connective Tissue-Type Mast Cells Cultured with Stem Cell Factor)

  • 이선희;관수영;김대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0호
    • /
    • pp.1348-1354
    • /
    • 2008
  • mi transcription factor (MITF)는 비만세포의 분화를 조절하는 중요한 전사인자이다. 특히 MITF는 결합조직형 비만세포에서 일반적으로 발현하는 비만세포 특이적 세린 단백분해효소의 일종인 mMCP-6 유전자의 전사를 조절한다. 본 연구는 마우스 골수유래 배양비만세포에서 mMCP-6 유전자의 전사를 조절하는 MITF이형체를 규명하였다. MITF 이형체들의 발현은 RT-PCR로 확인하였다. IL-3존재 하에서 배양한 점막형 비만세포들은 MITF-A,-E, -H, -Mc 등이 발현하였다. 반면에 SCF존재 하에서 배양한 결합조직형 비만세포들은 MITF-A가 발현하였다. MITF이형체를 과발현시키면 NIH-3T3 세포에서 mMCP-6 promoter를 통한 luciferase 활성을 증가시키고, MC/9 비만세포주에서는 증가된 mMCP-6발현을 유도하였다. 더불어 비만세포에서의 mMCP-6 발현은 MITF-A 고갈로 인하여 유의적으로 억제되었다. MITF-A의 전사활성과 DNA결합은 MITF-E, -H, -Mc 등의 타 이형체들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들은 MITF-A가 마우스 결합조직형 비만세포에서 발현하여 mMCP-6 전사를 조절하는 중요한 이형체임을 제시한다.

Effects of STS and 1-MCP on Flower Opening and Lifespan of Potted Kalanchoe blossfeldiana Exported to Japan

  • Park, Sin-Ae;Kwon, Youn-Jung;Oh, Myung-Min;Son, Ki-Cheol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1호
    • /
    • pp.43-47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ilver thiosulfate (STS) and 1-methylcyclopropene (1-MCP) on flower opening and lifespan of potted Kalanchoe blossfeldiana 'Oriba' for exportation. Ethylene inhibitors, STS and 1-MCP were applied to the kalanchoe plants prior to their export to Japan. STS 0.5 mM with 1% Tween 20 surfactant was directly sprayed (20 mL per plant) to leaves, buds, and flowers and 1-MCP 100 $nL{\cdot}L^{-1}$ was injected into sealed glass chambers containing kalanchoe plants, which were placed on the chambers for 6 hours. After transport to Japan, the plants were immediately transferred to a simulated retail condition room (80 ${\mu}mol{\cdot}m^{-2}{\cdot}s^{-1}$ for 12 hours of photoperiod at $22^{\circ}C$ and 64% RH) at Toyko University. The numbers of buds, open florets, and wilted florets in the middle inflorescence for each plant were counted right after export, 1 week after export, and 6 weeks after export. The percentages of open florets and wilted florets were calculated from the numbers. STS treatment resulted in 35% more open florets than the control and only 11% of wilted florets at 6 weeks after export to Japan which indicate the extension of lifespan of potted kalanchoe plants. Meanwhile, the plants exposed to 1-MCP before expor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s of buds and open florets and the percentages of open and wilted florets compared to control plants. In conclusion, STS 0.5 mM treatment strikingly induced better opening florets and lifespan of kalanchoe plants from 1 week to 6 weeks after export than control.

Secretion of MCP-1, IL-8 and IL-6 Induced by House Dust Mite, Dermatophagoides pteronissinus in Human Eosinophilic EoL-1 Cells

  • Lee, Ji-Sook;Kim, In-Sik;Yun, Chi-Young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3권4호
    • /
    • pp.391-397
    • /
    • 2009
  • The house dust mite (Dermatophagoides pteronissinus) is an important factor in triggering allergic diseases. The function of eosinophils, particularly in the production of cytokine or chemokine, is critical in understanding the pathogenesis of inflammatory diseases.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D. pteronissinus extract (DpE) induces the expression of monocyte chemotactic protein 1 (MCP-1)/CCL2, IL-8/CXCL8, and IL-6 that mediate in the infiltration and activation of immune cells and in its signaling mechanism in the human eosinophilic cell line, EoL-1. DpE increased the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MCP-1, IL-8, and IL-6 in a time- and dose-dependent course in EoL-1 cells. In our experiments using signal-specific inhibitors, we found that the increased expression of MCP-1, IL-8, and IL-6 due to DpE is associated with Src family tyrosine kinase and protein kinase C $\delta$ (PKC $\delta$). In addition, the activation of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is required for MCP-1 and IL-8 expression while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is involved in IL-6 expression. DpE induced the phosphorylation of ERK and p38 MAPK. PP2, an inhibitor of Src family tyrosine kinase, and rottlerin, an inhibitor of PKC $\delta$, blocked the activation of ERK and p38 MAPK. DpE induces the activation of ERK and p38 MAPK via Src family tyrosine kinase and PKC $\delta$ for MCP-1, IL-8, or IL-6 production. Increased cytokine release due to the house dust mite and the characterization of its signal transduction may be valuable in understanding the eosinophil-related pathogenic mechanism of inflammatory diseases.

소아기 단순 기침 환아에서의 케모카인 발현 양상 연구 (Chemokines Expression in Children with a Non-productive Cough)

  • 이영환;김희선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4권2호
    • /
    • pp.129-136
    • /
    • 2007
  • 2002년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비재발성 또는 약한 재발성 마른기침을 주증상으로 영남대학교 의료원 소아과를 내원한 환아들 중 연구의 목적에 동의한 소아를 대상으로 이들에서의 케모카인 IFN-${\gamma}$-inducible protein 10 (IP-10), Macrophage cationic protein 1 and 3 (MCP-1, 3), Interleukin (IL)-8, RANTES, eotaxin 및 Gro-${\alpha}$의 발현 양상을 알아보았다. 1) 대상 환아는 모두 6명(남 3명, 여 3명)으로, 평균 연령은 73.2개월(34개월~122개월)이었다. 2) 케모카인 IP-10, MCP-3는 모든 환아에서, RANTES는 5명에서, IL-8은 3명에서 발현되었다. 3) Eotaxin, Gro-${\alpha}$ 및 MCP-1은 모든 환아에서 전혀 발현되지 않았다. 4) 추적 관찰에 응한 1례에서 회복기에 MCP-3, RANTES 및 IL-8 발현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단순 기침 환아에서 케모카인 MCP-3, RANTES 및 IL-8 등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 후 이에 관한 더 많은 비교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HaCaT 세포주에서 Picea wilsonii Mast의 항염효과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icea wilsonii Mast on HaCaT Cells)

  • 차경재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65-370
    • /
    • 2016
  • 아토피피부염은 가려움증을 보이는 만성의, 재발성의 염증성 피부상태를 말하며 천식, 식품 알레르기, 알레르기 비염 등과 같은 다른 알레르기 질환보다 먼저 발생하고 다양한 면역학적 이상과 이로 인한 다양한 속발 증상도 갖고 있는 만성 재발성의 습관성 질환이다. 본 연구는 TNF-${\alpha}$와 IFN-${\gamma}$로 유도된 HaCaT 세포주를 이용하여 농도별로 PwM 천연물을 처리하였을 때 세포생존율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아토피피부염과 관련된 염증성 사이토카인 즉, IL-6, IL-8, IL-13, MCP-1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IL-6, IL-13, MCP-1의 생산량은 PwM 천연물에 의해 감소하였고 IL-8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앞으로의 연구는 해외생물소재를 활용한 아토피피부염 및 염증에 효과적인 치료제 후보물질을 개발하는 것이며 단백질 분석과 기전 연구를 통해 보다 객관적인 검증이 더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Streptozotocin으로 당뇨가 유도된 C57BL/6 생쥐 지방조직에서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유전자의 이상발현 (Altered Gene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in Adipose Tissue of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C57BL/6 Mice)

  • 이용호;김종봉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25-831
    • /
    • 2013
  • 본 연구를 통하여 streptozotocin 주사에 의한 당뇨 유발이 일반식이와 고지방식이로 키운 C57BL/6 수컷생쥐의 지방조직에서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네 그룹의 당뇨생쥐(일반식이 또는 고지방식이로 키운 16주령 또는 26주령 생쥐)와 네 그룹의 비당뇨 대조군을 포함한 모두 73마리의 생쥐가 이 실험에 사용되었다.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지방조직에서의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와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의 유전자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TNF-${\alpha}$ mRNA는 당뇨 유발에 의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16주령의 일반식이 생쥐의 경우 비당뇨 대조군에 비해 당뇨가 유발된 실험군에서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MCP-1 mRNA 발현은 STZ처리에 따른 당뇨유발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16주령 고지방식이의 당뇨 실험군에서의 발현이 비당뇨 대조군에서의 발현량의 26%에 해당할 정도로 큰 감소를 나타내었다. 또한, MCP-1의 발현은 인슐린 농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들 실험결과는 당뇨 모델 생쥐에서 지방조직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이상발현되고 있음을 나타내며, 비만, 인슐린저항성, 및 당뇨에서의 저준위 염증상태와 지방조직에서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조절의 기작을 밝히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by Porphyromonas gingivalis in THP-1 macrophagic cells

  • Choi, Eun-Kyoung;Kang, In-Chol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4권2호
    • /
    • pp.87-95
    • /
    • 2009
  • Porphyromonas gingivalis is a major etiologic agent of chronic periodontitis and cytokines produced by macrophages play important roles in the pathogenesis of periodontal disea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ytokine response of phorbol myristate acetatedifferentiated THP-1 cells exposed to P. gingivalis. Compared with the prominent cell wall components of P. gingivalis (lipopolysaccharide and the major fimbrial protein FimA), live P. gingivalis stimulated much higher levels of cytokine production. In addition, whereas low multiplicity of infection challenges (MOI=10) of P. gingivalis 381 stimulated high levels of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nterleukin-6 (IL-6), and IL-1${\beta}$, high dose challenges with this bacterium (MOI = 100) resulted in a substantially diminished production of MCP-1 and IL-6. Moreover, high MOI P. gingivalis challenges achieved only low levels of induction of MCP-1 and IL-6 mRNA. The decreased production of MCP-1 and IL-6 appeared to be mediated by P. gingivalis proteases, because high MOI challenges with congenic protease mutant strains of this microorganism (MT10 and MT10W) did not result in a diminished production of MCP-1 and IL-6. Similar to its protease mutant strains, leupeptin (a protease inhibitor)- treated P. gingivalis at high doses induced high levels of MCP-1 production. To examine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diminished production of MCP-1 by P. gingivalis proteases, the activ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MAP) kinases and NF-${\kappa}$B was compared between the 381 and MT10W strains. Whilst high doses of both 381 and MT10W similarly activated the three members of the MAP kinase family, the DNA binding activity of NF-${\kappa}$B, as revealed by gel shift assays, was greatly increased only by MT10W. Taken together, our data indicate that P. gingivalis stimulates the production of high levels of TNF-${\alpha}$, IL-1${\beta}$, IL-6, and MCP-1 but that high dose challenges with this bacterium result in a diminished production of MCP-1 and IL-6 via the protease-mediated suppression of NF-${\kappa}$B activation in THP-1 macrophagic cells.

Inhibitory Effect of Genomic DNA Extracted from Pediococcus acidilactici on Porphyromonas gingivalis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 Young Hyeon Choi;Bong Sun Kim;Seok-Seong Ka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01-112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assess whether genomic DNA (gDNA) extracted from Pediococcus acidilactici inhibits Porphyromonas gingivalis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in RAW 264.7 cells. Pretreatment with gDNA of P. acidilactici K10 or P. acidilactici HW01 for 15 h effectively inhibited P. gingivalis LPS-induced mRNA expression of interleukin (IL)-1β, IL-6, and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 (MCP)-1. Although both gDNAs did not dose-dependently inhibit P. gingivalis LPS-induced mRNA expression of IL-6 and MCP-1, they inhibited IL-1β mRNA express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Moreover, pretreatment with both gDNAs inhibited the secretion of IL-1β, IL-6, and MCP-1. When RAW 264.7 cells were stimulated with P. gingivalis LPS alone, the phosphoryl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was increased. However, the phosphorylation of MAPKs was reduced in the presence of gDNAs. Furthermore, both gDNAs restored IκBα degradation induced by P. gingivalis LPS, indicating that both gDNAs suppressed the activation of nuclear factor-κB (NF-κB). In summary, P. acidilactici gDNA could inhibit P. gingivalis LP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through the suppression of MAPKs and NF-κB, suggesting that P. acidilactici gDNA could be effective in preventing periodontitis.

LPS 유도에 의한 신생쥐에서 chemokine의 단계별 발현 (Differential Expression of Chemokine MCP-1, MIP-1α, MIP-2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Neonatal and Adult Rat Brain)

  • 이종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840-849
    • /
    • 2006
  • 외부 병원체의 침입에 의한 병원독소로 발병된 뇌염증에서 미성숙뇌는 성숙뇌에서 보다 많은 백혈구의 침윤을 일으킨다. 케모카인은 뇌염증부위로 염증세포의 침윤을 매개하는 물질이다. 본 연구는 미성숙뇌의 뇌염증에서 백혈구침윤의 기전을 연구하기 위하여 내독소로 유발된 뇌염증에서 케모카인의 일종인 MCP-1, $MIP-1{\alpha}$, MIP-2의 발현을 연구하였다. 신생쥐와 성숙쥐의 미상핵 국소에 LPS $(0.5\;{\mu}g/{\mu}l)$를 정위주사 한 후 시간대별로 RT-PCR과 면역조직화학검사을 통하여 각각 mRNA상과 단백질상에서의 발현을 비교분석하였다. 광학현미경상 LPS 주입 후 6 시간 후부터 주사부위의 염증세포의 침윤이 시작되었으며 24 시간 후에 가장 뚜렷한 현상을 보였다. RT-PCR 결과, MCP-1, $MIP-1{\alpha}$, MIP-2 mRNA 발현은 24 시간 때에 최고치를 나타냈었다. 미성숙뇌의 각 케모카인의 mRNA발현은 성숙뇌에 비해 MCP-1은 약 2.6배, $MIP-1{\alpha}$는 약 1.4배, MIP-2는 약 1.2배 발현양이 더 많다. 면역조직화학검사는 광학현미경결과와 RT-PCR결과와 상응하여 각 케모카인들이 24 시간 때에 가장 양성반응이 뚜렷이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뇌염증에서 백혈구의 침윤은 케모카인을 생성하는 소교세포, 성상세포, 내피세포 등의 영향을 받는 기전에 의하여 조절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며 이들 케모카인 형성환경의 역할을 명확히 밝히고 질병의 진행에서 케모카인의 활성을 조정하는 방법을 연구하면 향후 뇌염증을 포함한 여러 가지질환에서 신경세포의 손상을 막는 치료법의 개발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Salicylic acid 및 1-MCP 처리가 '캠벨얼리' 포도의 생리장해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icylic Acid and 1-Methylcyclopropene on Physiological Disorders and Berry Quality in 'Campbell Early' Table Grapes)

  • 김성주;노수인;최철;임병선;안영직;천종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18-224
    • /
    • 201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표 수출 포도 품종인 '캠벨얼리'를 대상으로 에틸렌작용억제제인 1-methylcylopropene(1-MCP)과 에틸렌생합성 저해 효과를 지닌 salicylic acid(SA)를 단독 혹은 병행처리하여 과실의 저장 및 유통환경에서 발생하는 탈립, 갈변 및 부패 등 생리장해의 발생과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에틸렌 발생물질인 에테폰과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1-MCP 1,000ppb 훈증 처리 후 SA $25{\mu}M$을 살포 처리하고 $19^{\circ}C$에서 16일간 저장한 후 조사한 과립경도 및 산함량 수준은 단용처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탈립률은 $100{\mu}L{\cdot}L^{-1}$ 에테폰 처리구 41.7%, SA 처리구 40.8%, 1-MCP 처리구 38.2%로 나타났으나 1-MCP 처리 후 SA를 처리한 경우는 18.7%로 탈립방지 효과가 월등하였다. 브러쉬의 길이를 측정한 결과, 에테폰 처리구는 1mm 미만의 비율이 74.3%로 매우 높게 나타났던 반면, 1-MCP 처리 후 SA를 처리한 경우는 2-4mm의 비율이 22.8%, 4-6mm 비율이 27.9%로 브러쉬 길이가 길게 조사되었다. 과축의 무게는 에테폰 처리구에서 2.3g으로 가장 낮아 감모율의 증가에 미치는 에틸렌의 영향과 1-MCP 및 SA의 감모 억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1-MCP와 SA는 저장 중 '캠벨얼리' 포도의 줄기갈변 억제 및 부패 경감에 일부 효과가 있음을 확인되어 추후 수출시 품질유지를 위한 기술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