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ng term care systems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6초

iBeacon을 활용하는 장기요양 재가 서비스 업무를 위한 자동청구 정보시스템의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Automatic Billing Information Systems for Long-Term Home Care Services Business Using iBeacon)

  • 정성화;김명희;박만곤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612-619
    • /
    • 2016
  • Applying evolved IT technology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he consumer is a typical feature of the rapidly transformed service industry. Smart devices have taken a place as the mainstream of major media, moreover, IT service strategies utilizing smart devices have been constantly developed. Location recognition method of users has been proposed as one of the significant features to the IT service industry. The long-term care home services can be one example of user location recognition methods that real time computerization of service record utilize an attached tag to home of pensioners with RFID reader or an NFC function of mobile when a home carer provides service. And, the Homecare Electronics Management System (HEMS) and the various location recognition methods will be discussed to improve effectiveness of servic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home applicable electronic management system which insurer, home care service facilities, home cares, pensioners and guardians which enables to simultaneously check service records based on the improved system by use of iBeacon.

뇌졸중 환자들의 노인전문병원 및 노인요양시설 선택요인과 이용만족도 (A Study of Preference and Satisfaction Factors between Senior Specialized Hospitals and Senior Care Facilities for Senior Stroke Patients)

  • 안광호;손태용;오현주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47-158
    • /
    • 2011
  • This study compares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the causes of selecting facilities for stroke patients in the senior specialized hospitals and other senior care facilities. The research results are followed. First, The patients who held the level of senior long-term care used senior specialized hospitals, while the patients who had the level of 2 or 3 degree used senior care facilities. The patients helped by cooperative care service used senior care facilities, and the patients helped by private service or family service used senior specialized hospitals. Second, The patients in senior specialized hospitals had affirmative attitude for their service system, while the patients in senior care facilities preferred their various service systems. In the satisfaction of the facilities, the patients in senior care facilities felt more satisfaction to staff, environment, service, and other factors than the patients in hospitals did. Third, in the result of logistic analysis, the patients had an affirmative attitude in case that they had spouse, experience of senior specialized hospitals or senior care facilities, without senior long-term care insurance. They also valued the service standard and the staff quality. As this study points out, the overall preference is higher in the senior care facilities. So, the stroke patients recognized the new role between the hospitals and the facilities after the establishment of long-term senior medicare system. This research had some limitation for the research areas and numbers. So the data analysis for the types of facility and the responses may not be generalized. However, the standard of choosing facility and satisfaction will be a guideline for establishing a new future role between hospitals and facilities. This result will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renovation of long-term senior medicare insurance.

신자유주의 사회개혁으로서의 일본 공적개호보험: 시행 5년간의 사회적 결과를 중심으로 (The Introduction of the Japanese Public Long-Term Care Insurance as a Neo-Liberal Social Reform)

  • 조영훈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2호
    • /
    • pp.165-184
    • /
    • 2005
  • 1990년대 동안 일본사회를 뜨겁게 달구었던 공적개호보험이 2000년 4월 1일 마침내 시행되었다. 이 새로운 사회보험의 도입은 사회정책 연구자들에게 흥미로운 연구주제를 던져준다. 왜냐하면, 세계화의 진전에 따라 대부분의 선진 산업국가에서 복지부문의 축소 내지는 현상유지가 진행 중인 가운데 복지후진국인 일본에서는 복지확대정책이 시행된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세계화의 압력에 직면하여 모든 복지국가들의 축소가 목격될 것이라는 복지국가 연구자들의 일반적인 예상과 반대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은 공적개호보험의 도입이 복지국가 연구자들에게 던져준 수수께끼를 푸는데 있다. 이 연구의 가정은 공적개호보험이 사회보험의 외양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으로는 국가복지의 축소를 지향하며 장기간병서비스분야에서 국가의 책임감소와 개인의 책임증가를 가져온다고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정이 경험적으로 입증된다면, 공적개호보험의 도입은 일본의 전통적인 축소지향 사회정책이나 현재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복지국가 위축의 추세를 충실히 따르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는 공적개호보험이 초래한 다양한 결과들에 대한 종단적인 비교분석을 시도한다. 이 연구의 주요 관심대상은 사회보험으로서의 공적개호보험의 소득재분배 효과, 공적개호보험의 도입으로 인해 촉발된 장기간병서비스 분야의 상업화 경향, 공적개호보험 도입에 따른 장기간병 관련 사회보장제도의 재정에 대한 주체별 부담 변화의 추이 등이다. 이 연구는 일본의 장기간병 관련 사회보장제도의 성격이 공적개호보험의 도입을 전후하여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몇 가지 지표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공적개호보험의 신자유주의적 성격을 뚜렷하게 보여줄 것이다.

  • PDF

실태조사를 통한 장기요양시설과 요양병원의 효율적 연계방안 (Study on the Efficient Integration of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Geriatric Hospitals by Using NHIC Survey Data)

  • 최인덕;이은미
    • 한국노년학
    • /
    • 제30권3호
    • /
    • pp.855-869
    • /
    • 2010
  •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도입이후 장기요양시설과 요양병원의 효율적 연계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기반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운영센터를 이용 장기요양시설 192곳과 요양병원 168곳 시설관계자(시설장, 병원장 및 이용자 등)에게 운영현황과 효율적 연계방안에 대해 면접조사를 실시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χ2검증 등을 SPSS 13.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운영현황에서는 요양시설과 요양병원 모두 본인부담의 차이가 미미하나 식대에 대한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경영수지적자에 대해서는 양 기관 모두 수가보전에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으며, 교통과 환경요인이 입지조건을 좌우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이용행태면에서는 양 기관 모두 비용할인 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면회를 오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반면, 요양시설이 사망 시까지 있는 경우가 요양병원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셋째, 기관의 서비스제공문제점으로는 일률적인 서비스제공, 가족의 지지나 방문 부족 등을 들 수 있다. 끝으로 양 기관의 효율적 연계방안으로는 수가현실화, 간병비 지급, 복합시설 허용, 판정기준 강화, 주치의, 요양병원의 장기요양보험 관리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의학의 현실과 미래: 교육, 연구, 진료를 중심으로 (The Current and Future State of Academic Medicine in Korea: Education, Research, and Patient Care)

  • 정대철
    • 의학교육논단
    • /
    • 제21권2호
    • /
    • pp.73-79
    • /
    • 2019
  • Academic medicine is built from a foundation of education, research, and patient care. Since good patient care results from the application of medical research and continuous education, these three components cannot be separated for medical development to occur. In Korea, many obstacles hinder the achievement of academic medicine, such as an inefficient medical delivery system, limitations of primary care, low insurance prices, and no long-term health care plan. Medical education has changed to outcome-based education, but presented temporal integration status. Governance of healthcare research is not centralized, and Korea is awarded relatively fewer grants than other countries. Medical professors have reached a burnout state due to patient care responsibilities in addition to research and education duties. Many medical systems, including the medical delivery system and insurance problems, may contribute to distrust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The government is not involved in a long-term health care policy. The multitude of factors mentioned here are hindering the achievement of academic medicine in Korea.

노인장기요양시설의 서비스 구성요인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mpact of service composition factor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long 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people)

  • 정한채;임현승;고대영;강성옥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1호
    • /
    • pp.133-140
    • /
    • 2014
  •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시설의 위탁과 직영이라는 운영형태에 따른 조직성과의 차이와 노인복지시설 서비스관리 구성요인과 조직성과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2년 9월 현재, 서울, 인천, 경기도 등 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민간위탁 및 공공직영 노인요양시설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삼았다. 독립변수로서 조직성과 결정요인이 될 서비스관리요소는 리더십, 교육훈련, 보상, 참여, 서비스품질이며, 종속변수인 조직성과는 직무만족, 업무성과, 재무적성과, 수혜자지향성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관리 구성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회귀분석 유의수준의 .001(F=37.429)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정의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관리 구성요인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회귀분석 유의수준의 .001(F=55.099)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비스관리 구성요인이 재무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회귀분석 유의수준의 .001(F=56.904)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넷째, 서비스관리 구성요인이 수혜자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은 회귀분석 유의수준의 .001(F=61.367)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 구성요인 중 직원의 보상이 가장 커다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PDF

장기요양인력의 질 향상 정보시스템 수용 측정도구: 신뢰타당도 평가 (Acceptance Measure of Quality Improvement Information System among Long-term Care Workers: A Psychometric Assessment)

  • 이태훈;정영일;김홍수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13-523
    • /
    • 2017
  • Purpose: We evaluate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a questionnaire on the acceptance of the quality improvement information system (QIIS) among long-term care workers (mostly nurses). Methods: The questionnaire composes of 21 preliminary questions with 5 domains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related literature reviews. We developed a prototype web-based comprehensive resident assessment system, and collected data from 126 subjects at 75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hospitals, who used the system and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A priori factor structure was developed using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validated by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ts reliability was also evaluated. Results: A total of 16 items were yielded, and 5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explanatory factor analysis: Usage Intentio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Social Influence, and Innovative Characteristics. The five-factor structure model had a good fit (Tucker-Lewis index [TLI]=.976; comparative fit index [CFI]=.969; standardized root mean squared residual [SRMR]=.052;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RMSEA]=.048), and the items were internally consistent(Cronbach's ${\alpha}=.91$). Conclusion: The questionnaire was valid and reliable to measure the technology acceptance of QIIS among long-term care workers, using the prototype.

장기요양 재가서비스이용 노인의 만성통증과 삶의 질 관계연구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ronic Pain and Quality of Life for Elderly in Long-term Care Service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 노유미;양정남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341-349
    • /
    • 2018
  • 본 연구는 장기요양 재가서비스 이용 노인의 만성통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장기요양 재가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노인 204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변수간의 상관관계에서 만성통증과 우울은 정적관계, 만성통증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는 부적 상관관계로 분석되었다. 또한, 만성통증과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우울은 완전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 결과를 통해 장기요양 재가서비스를 이용하는 노인의 다양한 융합적인 정신건강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셀프리더십, 간호전문직관, 직무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elf-leadership, Nursing Professionalism, Job involvement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Long Term Care Hospitals)

  • 권상민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9권2호
    • /
    • pp.61-75
    • /
    • 2020
  •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간호전문직관, 직무몰입과 이직의도의 정도와 관련성을 파악하며 요양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35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하여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이직의도는 평균평점 2.87점으로 연령, 결혼상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셀프리더십은 3.66점으로 연령이 많을수록, 총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셀프리더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은 3.42점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몰입은 3.51점으로 측정되었다. 셀프리더십, 간호전문직관, 직무몰입이 이직의도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직의도에 대한 영향요인으로는 간호전문직관, 결혼상태, 연령이 유의한 변수였으며 설명력은 30.6%로 나타냈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요양병원은 간호 전문성 향상을 위한 내·외적 교육에 대한 조직의 지원과 간호업무에 몰입할 수 있는 차별화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간호업무 수행을 위한 병원조직 관리체계에 대한 재정비도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요양병원 입원 노인의 좋은 죽음 인식,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및 임종치료선호도 (Good Death Awareness,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and Preferences for Care Near the End of Life among Hospitalized Elders in Long-term Care Hospitals)

  • 김은주;이윤주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97-209
    • /
    • 2019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good death awareness,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ADs), and preference for care near the end-of-life (PCEOL) of hospitalized elders in long-term care hospitals. Relevant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as well as correlation of the variables. Methods: This descriptive research study involved 161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Good Death Scale, ADs Survey, PCEOL Scale, and general characteristic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with SPSS/WIN 23.0. Results: In terms of good death awarenes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according to age (F=3.35, p=.037), payer of treatment costs (F=3.98, p=.021), mobility (F=3.97, p=.021), heard discussion about ADs (t=-3.89, p<.001), and willing to complete ADs (t=2.12, p=.036). As far as attitudes toward ADs, the participants 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religion (t=2.38, p=.018), average monthly income (F=3.91, p=.022), duration of hospital admission (F=5.33, p=.006), person to discuss ADs (t=-2.76, p=.006). On PCEO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religion (t=-3.59, p<.001) and perceived health status (F=3.93, p=.022). Finally, as for how the variables were related to each other, good death awareness and attitudes toward ADs had a weak positive correlation with PCEOL. Conclusion: To help seniors staying in nursing homes face a good death and enjoy autonomy, there should be educational and support systems that reflect each individual'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 that the seniors can choose what kind of care they want to receive near the end-of-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