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tion awareness

검색결과 349건 처리시간 0.032초

관악산 등산로 이용에 따른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Impact on the Trail in Gwanak Mountain, Korea)

  • 유기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1-117
    • /
    • 2011
  • 본 연구는 등산 이용에 따른 등산로 영향 관계의 이해를 통해 등산 이용에 의해 발생되는 영향지표를 설정하고, 실제 현장에서 각 지표의 영향수준을 평가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문헌조사에 의해 생태적 영향 지표 3가지, 물리적 영향 지표 4가지, 사회적 영향 지표 5가지를 각각 이용영향 지표로 도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관악산 등산로를 대상으로 관측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해 각각의 영향수준을 측정하였다. 등산활동에 의한 생태적 영향으로 등산로 주변 식생교란은 나타났으나 귀화 및 외래식물에 의한 산림식생의 교란은 상대적으로 심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등산로 노면의 경화, 노폭 확대 등 등산로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영향의 정도는 비교적 심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사회적 영향 지표의 측정 결과, 관악산 등산로를 찾는 등산객들은 높은 혼잡과 조우 수준을 예상하고 방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로 인해 실제 현장에서 혼잡도 수준을 높게 느꼈음에도 불구, 전반적인 만족도 수준은 비교적 긍정적인 수준으로 나타났다. 관악산 등산로는 입지적 특성상 대도심권 생활권 등산로 유형으로 지속적이고 집중적인 이용특성으로 인해 등산로의 생태적, 물리적 환경에 대한 영향의 정도가 가중되고 있다. 사회적 영향은 현재까지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등산로 주변환경의 물리적, 생태적 환경이 악화된다면 이용객의 이용 만족도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이용경험의 질적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등산로 훼손지 복원과 같은 물리적, 생태적 환경의 개선과 더불어 등산문화 개선을 위한 관리노력 또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습지보호지역의 습지보전·이용시설 현황에 관한 기초 연구 - 5개 습지보호지역을 대상으로 - (Fundamental Research of Preservation & Utility Facilities in Wetland Protected Area - 5 Wetland Protected Areas were Used as Main Subjects -)

  • 조동길;박용수;심윤진;이지현;이동진;김상혁;차진열;박미영;송유진;남춘희;김종철;문상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5-43
    • /
    • 2016
  • This research was complet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regarding the guidelines to installing and managing utility facilities & structures in wetland protected area to advance the functions and sustainable use of ecology services by preserving the ecology within wetland protected area. There were 5 on-site researching areas that were used as the main subject with these areas chosen and considered from 21 inland wetlands that have been designated and are being managed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by their designated dates as a wetland protected area. The utility facilities in these wetland areas were categorized by their types and a detailed on-site investigation was proceeded with investigation items chosen whereas these facilities are working by their roles from their location, size, used materials, types, information contents and etc., The results showed that regarding informational structures, several locations of information boards were distanced from the main exploring routes which did not consider the visitor's eye level which had their readability dropped and by sunlight, time lapse and water penetration, many information boards were damaged or corrupted so that it was hard to confirm the information noticed or understanding an image. Insufficient observation and educational structures were installed that considere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wild animals and their living conditions. Regarding convenience facilities, there were parking lots that were installed on the fore-land and to decrease non-point solution sources, some parking lots needed to be located in protected lowlands while some facilities' shape and colors did not harmonize with their natural surroundings, creating a sense of awareness, which will need some more consideration. As for safety facilities, they were very insufficient compared to other facilities. This means that additional safety structures are needed so that related personnel can be aware of where a visitor is located when an accident occurs. Protectional facilities strongly needed new structures and a management system to cut off entrances and do surveillance so that visitors do not go into areas outside of the managed areas and bring damages to restricted locations. Research labs needed to expand the use of automatic weather systems and water gauge equipments to build fundamental data regarding floodgates that are intimated to the forming of wetlands. Sensor cameras and other types of monitoring systems are needed to monitor the majority types of animals living in the wetlands as well.

서울시 웨딩 업체의 입지 패턴에 관한 연구 : 강남구를 사례로 (A Study on the Locational Patterns of Wedding Shops in Seoul : A Case of Gangnam-Gu)

  • 주경식;박영숙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698-709
    • /
    • 2011
  • 1990년 중구, 종로구, 서대문구, 마포구 등지에 위치해 있었던 웨딩 업체들이 1995년 이후부터 입지상 급속한 변화가 나타나서, 2010년에는 대부분의 업체가 강남구에 집중되어 있다. 강남구 웨딩드레스 업체는 1990년대 초기 광림교회~압구정역 사이에 주로 분포하였다가 점차 도산공원 쪽으로, 그리고 학동사거리를 거쳐 청담동쪽으로 이동하였다. 청담동의 고급 이미지가 웨딩 업체들이 집적하게 된 주된 이유였다. 업체들의 집적은 청담사거리에서 최고를 보였다. 청담동에서 사업을 시작하게 된 동기로는 지역의 높은 인지도, 이미지, 업체 간의 협력 및 연계의 용이 등이었고, 높은 임대료와 교통 불편이 불만족한 점이었다. 업체 간 협력 및 연계는 컨설팅 업체를 통해서 대부분 이루어지고 있었고, 관련 업체의 수준 및 평판이 중요한 요소였다. 연계 및 협력 업체도 청담동에 가장 많이 위치해 있고, 이어서 논현동, 신사 압구정동 순이었다. 웨딩스튜디오, 웨딩드레스, 웨딩컨설팅, 한복 업체 등이 클러스터 관계가 가장 뚜렷했고, 수평 클러스터보다 수직 클러스터의 빈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서울 웨딩 업체의 이용자 행태는 주로 인터넷과 웨딩컨설팅 업체를 통하여 결혼 정보를 수집하고 있었다.

  • PDF

모바일 센서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싱크 기반 에너지 효율적인 클러스터링 기법 (A Mobile-Sink based Energy-efficient Clustering Scheme in Mobile Wireless Sensor Networks)

  • 김진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1-9
    • /
    • 2017
  • 최근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활발한 연구와 함께 센서 노드는 이동성과 위치 인식 기능을 가지는 등 성능이 점점 향상되고 있다. 이러한 센서 네트워크의 가장 중요한 목표 중의 하나는 이동성이 있는 다수의 센서 노드들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에너지 효율을 고려하여 싱크 노드로 전송하는 것이다. 모바일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센서 노드들이 이동하기 때문에, 센싱된 데이터를 고정된 싱크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소모량이 많아진다. 이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싱크가 네트워크 내부를 이동하면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모바일 싱크에 대한 활용이 연구되고 있다. 모바일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고려 사항은 이동성과 에너지 소모량이다. 각 센서 노드는 제한된 에너지를 보유하기 때문에 데이터 송신에 소모되는 에너지가 클 경우, 전체 네트워크 수명에 많은 영향을 준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센서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싱크 기반 에너지 효율적인 클러스터링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내용은 모바일 센서 노드들의 이동성에 따라 새로운 클러스터 헤드를 선택할때의 에너지 효율을 높인다. 또한 전체 네트워크를 모바일 싱크 기반으로 여러 개의 클러스터 그룹으로 나누어, 이동성 문제를 고려하고 전체 에너지 소모량을 줄인다. 분석과 실험을 통해 제안된 기법이 이전의 모바일 센서 네트워크 클러스터링 기법보다 네트워크 에너지 효율성이 향상됨을 입증한다.

다층신경망을 이용한 임의의 크기를 가진 얼굴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e Awareness with Free size using Multi-layer Neural Network)

  • 송홍복;설지환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49-162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폐쇄회로 화면으로 받은 컬러 이미지에서 얼굴영상을 추출하고 이미 지정된 특정인의 얼굴영상과 비교를 통해 지하철이나 은행 등 공공장소에서의 수배자 등 어떤 특정인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감시카메라의 특성상 화면속의 얼굴정보가 임의의 크기로 가변하고 영상 내에서 다수의 얼굴정보를 포함하고 있음을 가정할 때, 얼굴영역을 얼마나 정확하게 검색 할 수 있느냐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F.Rosenblatt가 제안한 퍼셉트론 신경망 모델을 기초로 임의의 얼굴영상에 대한 $20{\times}20$ 픽셀로 서브샘플링을 사용한 규준화 작업을 통해서 전면얼굴에서와 같은 인식기법의 효과를 사용하고, 획득한 얼굴후보 영역에 대하여 조명이나 빛에 의한 외부환경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최적선형필터와 히스토그램 평활화 기법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불필요한 학습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달걀형 마스크의 덧셈연산을 전 처리 과정에 추가하였다. 전 처리 과정을 마친 이미지는 각각 세 개의 수용필드로 쪼개어져 특정 위치에 존재하는 눈, 코, 입 능의 정보를 신경망 학습을 통해 최종 결정된다. 또한 각각 다른 초기값을 가지는 3개의 단일셋 네트워크시스템을 병력형태로 구성하여 결과의 정확도를 높여 구현하였다.

통합교육 현장에서 근무하는 유아특수 교사의 장애이해 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of the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in Inclusive Education)

  • 김성현;이승주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31-246
    • /
    • 2018
  • 본 연구는 유아통합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들의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경험과 어려움 및 적합한 장애이해교육을 위해 필요한 요구들에 대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통합교육 현장에서 장애 이해교육을 실행한 경험이 있는 유아특수교사 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방법으로는 개별 심층면담 및 현장관찰이 활용되었고 연구 참여자별로 면담은 2-3회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통하여 분석해 본 결과 (1) 통합교육현장에서의 유아특수교사의 어려움 (2)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경험 (3) 효과적인 장애이해교육을 위한 요구의 3가지 주제와 12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교사들은 통합현장에서 역할과 위치의 모호함, 전문성의 신장, 정돈되지 못한 체제 내에서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편견을 조성하거나, 교사의 역량에 따른 편차가 크거나, 적합한 방법을 지각하지 못하거나, 성인 및 유아들의 높지 않은 관심이 장애이해교육의 장애물이 될 수 있음을 지각하였다. 마지막으로 효과적인 장애이해교육을 위하여, 지도메뉴얼의 개발, 행정체계의 개선,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 유아들의 경험에 기반을 둔 장애이해교육이 필요하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주제에 따른 결과를 기반으로 통합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인 장애이해교육을 위해 필요한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Practice of Skin Cancer Prevention among Road Traffic Police Officers in Malaysia

  • Al-Naggar, Redhwan Ahmed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8호
    • /
    • pp.4577-4581
    • /
    • 2013
  •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actice of skin cancer prevention among Malaysian road traffic police officers. Materials and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involved 202 Malaysian Road Police Traffic officers. Inclusion criteria were those officers who work wearing white uniform regulating traffic. The survey took place at the Police Traffic Station, Jln Tun H.S. Lee, Kuala Lumpur, the main Head Quarters of Malaysian's Traffic Department where almost 600 police traffic officers are employed. The police traffic officers are given the task to take care of the traffic from the main office of the police station, then, according to the task, the officers drive to their given location for their duty. Each task is approved by the Chief Traffic Inspector of Kuala Lumpur.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SPSS 13, with the T-test for univariate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for multivariate analysis. Results: A total of 202 road traffic police officers participated. The majority were older than 30 years of age, male, Malay, married, with secondary education, with monthly income more than 2000 Ringgit Malaysia (66.3%, 91.1%, 86.6%, 84.7%, 96%, 66.3%; respectively). Regarding the practice of skin cancer prevention, 84.6%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found to wear hats, 68.9% sunglasses and 85.6% clothing that covering most of the body but only 16.9% used a sunscreen when they were outdoors. When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practice of skin cancer prevention was performed, un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gender, age and monthly incom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practice of skin cancer prevention. For multivariate analysis, gender, monthly income and rac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practice of using sunscreen among road traffic police officers (p<0.001, p=0.019, p=0.027;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practice of skin cancer prevention among the traffic police officers showed good practices in terms of wearinga hat, sun glasses and clothing that covers most of the body. However, the study revealed a poor practice of the use of sunscreen.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ractice of sunscreen use were found to be gender, income, and race. The study suggests that more awareness campaign among traffic police officers is needed. Providing sunscreen for free for police traffic officers should be considered by the Police authorities.

공대 교수, 대학생, 기업가의 성인지력 비교 분석 (A Comparison Analysis of Gender Sensitivity Among Faculty, Students, and Enterprisers in Engineering)

  • 백성혜;조수선;김정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16권5호
    • /
    • pp.43-52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공대 교수, 학생, 기업의 성인지에 대한 사고를 조사하였다. 한국교통대학교 공대 교수 59명, 남학생 226명, 여학생 109명, 그리고 충북에 소재한 기업의 인사담당자 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수 대상 설문지는 26문항, 학생용은 30문항, 기업용은 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분석은 ${\chi}^2$ 교차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교수는 일반적으로 성차이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교수들은 여학생이 리더십이 부족하고 성공에 대한 자신감이 낮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여학생의 취업에 불이익이 있다고 인식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이러한 생각을 교육이나 취업 안내에 반영하지 않았다. 여학생들 역시 취업에 대한 자신감이 낮았으며, 공학교육에서 성인지적 교수법이 적용되지 않는다고 생각하였다. 여학생들은 남학생보다 공학전공에 대해 부정적이었으며, 교수의 인식과 유사하였다. 한편 남학생은 동료 여학생의 성인지에 대해 무심하였다. 기업의 취업담당자들의 인식은 교수나 학생의 인식과 달랐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교수와 학생의 취업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여학생들을 위한 더 나은 공학전공교육을 위하여 앞으로 연구가 필요하다.

모악산도립공원의 산쓰레기 발생특성 (A Study on the Origination of Backcountry Litter in Moaksan Provincial Park)

  • 노재현;허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64-72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ypes, forms, and origination of litter found along one hiking course in Moaksan Provincial Park, 'Jungin-ri Course'(entrance-ridge-valley-peak).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hikers' litter control awareness in order to determine possible backcountry litter control measure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1. For the litter Sequency investigation, 199 recyclable pieces of litter were found on the mid-slope(61.6%), 89 by the entrance(27.6%), 19 in the valley(5.9%) and 16 on the peak(4.9%). A total of 323 pieces of litter were found. Paper materials were the most common, followed by plastic containers such as PET bottles and yogurt containers. Of particular interest, 288 papers and cans were found on the mid-slope(46.9%). By the entrance, more plastics and bottles were found. 2. There were 614 pieces of flammable litter collected and only 19 pieces of non-flammable. Most of the flammable litter, including snack pacts, plastic bags, processed lumber, cigarette butts, tissues, cigarette boxes, and fabric was found on the mid-slope. 3. Very little food waste was found throughout the whole site proving that the policy prohibiting hikers from cooking and eating at the designated sites has been effective. However, food waste is difficult to find because it naturally decays with time. 4. $X^2$-test was used to find different types of litter and their verified origination frequency. It was found that recyclable litter, and food waste took about 1%. In addition, recyclable litter, especially bottles, was found relatively frequently by the entrance. Flammable litter was found most often at the peak. 5. The questionnaire results showed that 48.2% of the respondents "shorten their hiking journey and purchase food outside the entrance" and 29.6% said that they "bring a packed meal from home". Only 8.2% said that they "cook something when an appropriate location is found". At the Jungin-ri course, a few hikers brought their own food to eat or cook, but most hikers purchased something to eat onsite. 6. The results of the question about having experience littering while hiking showed that 19.3% litter and 79.2% do not. Those that responded "yes" gave various reasons for littering. 63.6% claimed, "there are no designated trash containers". 15.9% said they litter subconsciously. Finally, 3.2% insist that they litter "because food naturally decomposes". 7. As a result of the overal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ikert scale and the analysis with an average of 14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toxic litter control convenience" was 2.41 with very low satisfaction. Thus, the results indicate the importance of providing appropriate back country litter control facilities.

상호텍스트적인 환경예술의 특성 -환상성.탈 장소성, 장소의 특수성과 시공간 표현방법에 대한 특성을 중심으로- (Feature of Intertextuality Environmental Arts -Focusing on Feature of fantasy post-place, speciality of place as well as temporal-spatial expression method-)

  • 장일영;김진선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3호
    • /
    • pp.63-74
    • /
    • 2005
  • 현대사회는 다원화 사회로서 늑종 영역 또는 어느 분야마다 그 경계가 사라지면서 복잡한 상황 속에 살고 있다. 이러한 복잡한 상황을 폭넓게 이해하고 수용하기 위해서는 개방된 텍스트 구조로서의 상호텍스트적인 환경예술과 수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상호텍스트적인 특성으로 바라 본 환경예술을 장르와 장르간의 혼합, 이질적 공간과 시간간의 혼합된 요소에 수용자의 체험으로 인한 상호작용을 살펴보았다. 이는 수용자가 예술작품을 완성하는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개인적인 경험 또는 상황을 의미하는 개념으로 환상성과 탈 장소성, 장소의 특수성과 시공간의 표현방법을 상호텍스트성의 특성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체험요소의 특성들을 각 작품의 특징을 분석하는 방법론으로 사용하였다. 환상성의 특성은 이벤트적 상황과 우연성 개입으로 사건이 발생하는 장소를 전개시키며, 탈 장소성은 비 물질적 감각성으로 수용자의 공각각적 체험을 유도하는 전략을 사용하였다. 장소의 맥락을 중요시 한 장소의 특수성, 시공 연속체적 변화를 반영하고 프로세스 위주의 특징으로 시공간 표현방법을 제안하였다. 결과적으로 환경예술은 시각적으로 현존성에 의지하는 형이상학적 장식의 차원을 넘어서 수용자의 복잡한 존재양태에 깊숙이 자리잡고 거기에서부터 삶의 양분을 부단히 공급하는 인식의 전환이 되써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환경예술도 일종의 텍스트의 차원에서 다른 모든 텍스트들과 어울어지면서 텍스트적 삶을 살게 될 것이고 창조성은 유일성 대신에 상호텍스트성 사이에서 실천적 창조성으로 다시 태어난다 하겠다. 이러한 타 영역간의 전목, 또 이것을 바라보고 체험하는 수용자들의 다양한 측면을 허용하는 다원적 측면과 끊임없이 새롭게 만들어지는 생성의 개념을 가지는 진행 중인 작품 즉 열린 작품을 만들어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