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housing market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8초

지방 중소도시 아파트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Apartment Prices in Local Small and Medium Cities)

  • 최지우;이영수;정상철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5권2_2호
    • /
    • pp.315-322
    • /
    • 2022
  • Apartments are being established as a universal housing type because of the perception that they are excellent in preservation of asset values and convenience. In this study,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is a thesis that explores whether it affects the housing market in Gimhae, a small and medium-sized city in the province, and how the price flow in neighboring cities has an effect. It is possible to examine how macroeconomic variables such as the balloon effect and the lowest interest rate caused by the government's tweezers regulation bring about changes in the housing market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local regions.

제주지역 호텔이용률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 분석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Hotel Occupancy Rate in Jeju Island)

  • 류강민;송기욱
    • 토지주택연구
    • /
    • 제9권4호
    • /
    • pp.10-18
    • /
    • 2018
  • As the volatility increasement of the number of tourist, there was been controversy over supply-demand imbalance in hotel mark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on determinants of hotel occupancy rate in Jeju Island. The quantitative method is based on cointegrating regression, using an empirical dataset with hotel from 2000 to 2017. The primary results of research is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high relationship between total hotel occupancy rate and hotel occupancy of foreign tourist. The volatility of hotel occupancy is caused by foreigner user than local tourists though local tourist high propotion of hotel occupancy in Jeju Island. Second, hotel occupancy of local tourist has not relationship with demand and supply variables. Because some hotel users are not local tourists but local resident, and effects to other variables of hotel consumer trend, accommodation such as Guest house, Airbnb. Third, there are high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hotel occupancy rate and demand-supply variables. These research imply that total management of supply-demand is very important to seek stability of hotel occupancy rate in Jeju Island. Also it can provide a useful solution regarding mismatch problem between supply-demand as well as development the systematic forecasting model for hotel market participants.

Korean Public Rental Housing for Low-income Households: Main Outcome and Limitations

  • Jin, Mee-Youn;Lee, Seok-Je
    • 토지주택연구
    • /
    • 제4권4호
    • /
    • pp.303-316
    • /
    • 2013
  • This paper examines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housing assistance programs for low-income households. Korean public rental housing has been rapidly developing since 2000, and thereby achieved an increase in public rental housing stock, housing quality improvements, and the reduction of rent over-burden for low-income tenants. Despite some conflicting evidence, it appears that the provision of newly-built public rental housing has helped stabilize the prices of neighboring private rental housing units. But, as we are entering an era of one million long-term public rental housing units, we need to shift our focus from quantity-oriented provision to housing maintenance for tenants, and from cost-based rental housing to affordable rental housing and better access to rental housing for low-income tenants who are not beneficiaries of government assistance. Most of all, it is very important for local governments and the private sector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rovision of public rental housing in order to ensure a stable rental housing market.

쌍대위치 이벤트들의 국지적 공간적 연관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 주택거래의 벡터 공간적 자기상관 (An Alternative Method for Assessing Local Spatial Association Among Inter-paired Location Events: Vector Spatial Autocorrelation in Housing Transactions)

  • 이건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64-579
    • /
    • 2008
  • 물리적 또는 기능적으로 연결된 두 지점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쌍대위치 이벤트)들 사이의 국지적인 공간적 연관성을 평가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것은 대개 그러한 형태의 지리적 현상들이 가지고 있는 프로세스 자체의 복잡한 특성 때문이지만, 실제 공간 상에서 재현될 때 매우 복잡하게 얽혀 시각적 패턴을 인식하기 어렵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 논문은 국지적 스케일에서 공간적으로 자기상관된 쌍대위치 이벤트(또는 벡터)들을 확인하기 위한 대안적 방법을 다루고 있다. 제시된 통계적 알고리즘은 (벡터들의) 시작 포인트들의 클러스터링을 평가하기 위한 단변량 포인트 패턴 분석과 시작 포인트들에 상응하는 벡터들의 유사성 측정을 혼합하여 개발되었다. 사례 분석은 미국 오하이오주 프랭클린 카운티의 지역 주택시장에서 2004년에서 2006년 동안 이루어진 주택거래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국지적으로 특성화될 수 있는, 특히 지역 커뮤니티와 연관된 다양한 이동들을 보여주는 주택거래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청년층의 인구이동과 주택정책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수도권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gration of the Young Generation and Housing Policy: Focused o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박부명;김성아
    • 토지주택연구
    • /
    • 제11권1호
    • /
    • pp.21-38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the population movement of the young gen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market focusing on the housing problem of youth issues. Targeting 64 local governm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temporal range was decided as 2015. Setting up the rising population in 19-34 as a dependent variable, supposing that each age group shows different characteristics, it was divided into age groups in 19~34, 19~29, and 25~34. The population movement of the young gen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market was considered throug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the results, the population movement of the young generation was influenced by the change in detached multi-family housing and the rate of housing supply. The increase of detached multi-family housing promoted the population inflow of the young generation while the population movement of the young generation was disturbed by the rising rate of housing supply. Also, when the local characteristics are not controlled, the young generation hesitates to enter the region where relatively high rent should be paid while the new housing supply focusing on apartment is hard to be selected by the young generation for residence because of the size and price. The population movement of the young generation looked quite different in each age group. The population inflow of the young generation in 19~29 was influenced when there were many officetels and non-apartments on top of detached multi-family housing. On the contrary, the population movement of the young generation in 25~34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increase of the whole size of completed apartment area. Even though it was not the research subject of this study, among control variables, the financial independence and daily average number of get-on/off had effects on the movement of the young generation. It means that the housing type preferred by college students and social novices is different from the housing type preferred by the group with experiences in marriage and childbirth within the same young generation. Thus, it would be necessary to divide the purposes of policies for each subject when executing the youth housing policies.

주택하부시장 특성을 고려한 신규 분양가와 입주후 가격 변화에 관한 연구 (Differences between Sale Prices and Lotting Prices in New Multi-family Housing Considering Housing Sub-Market)

  • 최열;김형수;박명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4D호
    • /
    • pp.523-531
    • /
    • 2008
  • 본 연구는 신규 아파트 가격의 규제에 대한 결과로 나타난 신규 아파트의 분양가격과 입주 시점의 매매가격의 차이 즉 프리미엄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지역 아파트 시장은 기존의 주택 형태에서 벗어나 새로운 형태의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높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분석결과 아파트의 층수가 고층이고 타워형 아파트인 경우에 가격 상승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택의 형태도 더 많은 베이를 가진 아파트가 가격이 상승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신규 아파트의 가격은 주거한 후에 평가되는 가격이 아니므로 가격상승에 대한 기대감을 높여주는 단지정보가 가격상승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유의하게 나타난 변수는 녹지율과 아파트 세대수, 브랜드 및 도심지 접근성 등과 같은 변수였는데, 이러한 경향은 기존의 중고 아파트에 대한 연구 결과와 동일한 것이다. 셋째, 신규 아파트 중에서도 대단지의 규모를 가지며 건설업도급순위 상위에 위치하는 건설회사의 브랜드 아파트가 가격 상승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지역 건설 업체의 불리한 상황에 대한 반증이기도 하다. 넷째, 변수들 중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아파트 분양가인 것으로 드러났다. 각종 선행연구들에서는 아파트 가격 상승요인으로 정부의 분양가격 규제정책을 지목하였는데, 분양가격의 규제로 인해 주택의 초기 분양가가 시장가격보다 낮게 책정되어 아파트 입주시에 가격이 상승하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하부시장 특성에 대한 중요성을 알 수 있었는데, 중고주택시장의 상승률, 제1선호구와 제2선호구, 아파트 비율이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시장변동 분석을 위한 멀티에이전트 모형의 개발 및 시뮬레이션 (Multi-Agent Model and Simulation for the Dynamics of Housing Market)

  • 문태헌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01-115
    • /
    • 2009
  • 조속한 주택시장의 안정화가 우리나라의 국가적 과제가 되었다. 이를 위해 주택시장의 특성을 반영하며 새로운 정책이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진주시를 대상으로 멀티에이전트 주택시장모형과 시뮬레이션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먼저 진주시의 지역적 주택시장을 분석한 다음, 주택선택모형, 헤도닉주택가격모형, 주거입지선택모형 등 3개의 하위 모형으로 구성된 멀티에이전트 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150{\times}100$개의 셀로 구성된 가상공간을 설정하고 모형을 프로그래밍하였다. 이 시스템으로 도시개발이 주거 입지패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시뮬레이션을 실시해 보았다. 그 결과 단순히 도로, 상업시설, 편의시설의 입지만으로는 주거가 쉽게 유입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대신에 녹지를 공급함으로써 매우 많은 주거입지를 유도할 수 있어 도시개발에서 인프라와 환경적 요인이 동시에 정비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멀티에이전트 모형과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원활하게 작동하며, 다양한 정책실험과 주택시장의 분석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한국의 국가채무 현황과 구성요인 분석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and components of Korea's National Debt)

  • 양승권;최정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9호
    • /
    • pp.103-11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국가채무의 구성요소와 각 구성요소가 국가채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서 국가채무를 구성하는 요소로 일반회계 적자보전, 외환시장 안정용, 서민주거 안정용, 지방정부 순채무, 공적자금를 선정하여 검색하였다. 분석기간은 1997년부터 2019년까지 총 23개 연간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리한 자료는 각 구성요소별 전년대비 변동률을 이용하고 있다. 이를 이용하여 본 연구는 지표분석, 수치분석과 모형분석을 시도하였다. 상관분석결과 국가채무는 외환시장안정용, 공적자금 등, 서민주거안정용과 높은 관계를 보이고 있으나 지방정부순채무와는 무관한 관계로 나타났다. 국가채무는 지난 1997년 이후 외환시장안정용과 공적자금 등, 서민주거안정용과 동조화현상을 보이며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 2020년도 이후에는 코로나19로 인한 재난지원금 증가로 서민주거안정용과 공적자금 등에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경제상황이 어려운 시점에서 우리나라도 국가재난 지원금의 사용으로 국가부채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이지만 가능한 경제성장과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효율적으로 운용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프랑스와 한국의 리모델링 사례분석을 통한 아파트 계획과 주택정책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Housing Policies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Apartment Remodeling by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Korea and France Cases)

  • 장한두;제해성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9호
    • /
    • pp.131-14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policies and apartment designs by comparison of supplying and remodeling apartments between France and Korea. The literature review was used in Korea cases and the literature review, site investigation, and expert interviews were used in France cases. At first, by reviewing the related literatures about the apartment developments and regenerations in France and Korea, twelve remodeling cases were represented respectively in Ile de France and Seoul. As a result, in housing policy, the Korean housing market had a shortage of low-priced houses related to biased apartment developments by private sector dependence. Consequently, the living in Korea generally required the high price in low quality houses. But in France, the housing policies were very successful in housing quantity, quality, and expense. It is involved in balances between the public housing supply and the activation of a private housing market based on the government support policy. Nevertheless, in the success of the apartment as a house type, apartments in France means the social elimination because of the supply method problems and the management failures of HLM institutions. However, in Korea, the apartment implies the successful life of the middle class population because of the competitive evolutions during 40 years as a market housing. Secondly, In the characteristics of remodeling, the remodeling in Korea was for property value improvements. It mainly executed to expand the size of a house by expansion of living space. However the remodeling in France was for social mixes and connections with the surrounding area. It mostly performed by various design methods such as vertical merging houses, partial removal, re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of a local community centers and mixed-use residential buildings. This study shows the simultaneously remodeling features of those two countries. These findings can be used in developing effective strategies for the public housing regeneration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시스템 다이내믹스 방법론을 활용한 국내전세 구조분석 (System Dynamics Modeling of Korean Lease Contract Chonsei)

  • 박문서;문명기;이현수;황성주;이정훈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3권6호
    • /
    • pp.153-164
    • /
    • 2012
  • 2008년 세계 금융위기를 계기로 국내 주택시장의 가격정체와 전세가격의 상승이 오랫동안 지속되고 있다. 전세가격의 지속적인 가격 상승은 대부분 사회초년생 및 무주택자가 선호하는 거주지인 전세주택에 있어 가격 상승으로 인하여 이들의 직접적인 거주 위협이 된다는 점에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정부는 다양한 정책을 통하여 이러한 전세가격의 안정과 무주택자의 거주지 안정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주택시장과 전세시장내의 구조적 이해관계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정책의 효과를 제대로 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주택시장을 포함한 전세시장의 작동원리를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통하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부의 전 월세 정책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정부의 전월세 대책은 전세시장이 주택시장과 연결되어있다는 시각이 부족하고, 전세보증금의 지원이나, 임대인 세제지원 등의 단기적 미봉책 위주로서, 주택시장의 수요 공급 안정화를 전제로 하는 전세시장 공급 확대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