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fferences between Sale Prices and Lotting Prices in New Multi-family Housing Considering Housing Sub-Market

주택하부시장 특성을 고려한 신규 분양가와 입주후 가격 변화에 관한 연구

  • 최열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 김형수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 박명제 ((주)대건이엔지)
  • Received : 2008.02.21
  • Accepted : 2008.03.21
  • Published : 2008.07.31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find differences between housing lotting prices and sale prices owing to new multi-family housing price regulation.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s housing market in Busan has a preferences of new housing which has a new housing form differing from the existing housing form. For example, the mixed-use apartment with higher stories shows steeper incline than the apartments with the existing forms. Second, the new housing prices are affected by the information that affect the price of the old existing housing. They are rates of green area of an apartment complex, the number of household, accessibility to downtown Busan and etc.. They are also confirmed factors that affect a rise of used-housing price in other studies. Third, brand value of apartments affects new housing prices. For example, if the major construction companies build the new apartment, it shows a rising trend than any other housing. Therefore, the local construction companies are expected to be put on a disadvantage places than major construction companies. Fourth, the lotting prices are the most important cause that lead to rise the new housing prices. Accordingly, the present lotting prices are expected that upward tendency the purchasing prices of the new housing will not continue, because the lotting prices have risen since the government removed lotting price regulations and exceeded the level of used-housing prices. And it denote that importance of housing sub-market which indicates rates of old existing housing market rising, frist preference Gu, second preference Gu, rate of multi-family housing.

본 연구는 신규 아파트 가격의 규제에 대한 결과로 나타난 신규 아파트의 분양가격과 입주 시점의 매매가격의 차이 즉 프리미엄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지역 아파트 시장은 기존의 주택 형태에서 벗어나 새로운 형태의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높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분석결과 아파트의 층수가 고층이고 타워형 아파트인 경우에 가격 상승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택의 형태도 더 많은 베이를 가진 아파트가 가격이 상승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신규 아파트의 가격은 주거한 후에 평가되는 가격이 아니므로 가격상승에 대한 기대감을 높여주는 단지정보가 가격상승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유의하게 나타난 변수는 녹지율과 아파트 세대수, 브랜드 및 도심지 접근성 등과 같은 변수였는데, 이러한 경향은 기존의 중고 아파트에 대한 연구 결과와 동일한 것이다. 셋째, 신규 아파트 중에서도 대단지의 규모를 가지며 건설업도급순위 상위에 위치하는 건설회사의 브랜드 아파트가 가격 상승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지역 건설 업체의 불리한 상황에 대한 반증이기도 하다. 넷째, 변수들 중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아파트 분양가인 것으로 드러났다. 각종 선행연구들에서는 아파트 가격 상승요인으로 정부의 분양가격 규제정책을 지목하였는데, 분양가격의 규제로 인해 주택의 초기 분양가가 시장가격보다 낮게 책정되어 아파트 입주시에 가격이 상승하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하부시장 특성에 대한 중요성을 알 수 있었는데, 중고주택시장의 상승률, 제1선호구와 제2선호구, 아파트 비율이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태연, 이창무(2003) 신규주택시장의 가격상승 발생원인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기학술대회논문집,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pp. 1061-1071
  2. 권태연, 이창무, 최막중(2004) 아파트 분양가와 입주 후 시장가격 간의 관계분석,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9권, 제7호
  3. 류지수, 양현욱(2002) 한국의 분양주택시장에 관한 연구, 계량경제학보, 계량경제학회, 제13권 제4호, pp. 57-74
  4. 서영익(2001) 분양가 자율화 이후 아파트 분양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5. 손진수, 서후석(2004) 아파트 분양권 가격변동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보, 한국부동산학회, 제23권 제2호, pp. 157-166
  6. 윤승봉, 장봉규, 정창무(2004) 아파트 분양가와 입주 후 시장가격 간의 관계분석,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9권 제7호, pp. 159-174
  7. 정의철, 이번송(1996) 아파트 분양가 자율화가 서울시 중고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효과 분석, 주택연구, 한국주택학회, 제4권, 제2호, pp. 79-102
  8. 최열(2001) 근린주거지 선호 분석: 부산광역시 사례,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6권, 제4호, pp. 1-11
  9. 최열, 공윤경(2003) 재건축 특성과 공동주택 가격과의 관계,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8권, 제5호, pp. 103-113
  10. 최열, 권연화(2004) 위계선형모델을 이용한 교육환경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분석,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9권, 제6호, pp. 71-82
  11. 하성규, 최성연(1996) 1980년대 신규주택 배분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3권, 제6호, pp. 117-131
  12. 허재완(1991) 주택가격 상승률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26권, 제2호, pp. 141-151
  13. Allen C. Goodman and Thomas G. Thibodeau (1998) Housing market segmentation, Journal of Housing Economics, Vol. 7, pp. 121-143 https://doi.org/10.1006/jhec.1998.0229
  14. Cervero, R. and Duncan, M. (2004) Neighborhood composition and residential land prices: Does exclusion raise or lower values?, Urban Studies, Vol. 41, No. 2, pp. 299-315 https://doi.org/10.1080/0042098032000165262
  15. Leishman, C. (1992) House building and product differentiation: an hedonic price approach, Journal of Housing and the Built Environment, Vol. 16, No. 2, pp. 131-152 https://doi.org/10.1023/A:1017924503356
  16. Lynch, A.K. and Rasmussen, D.W. (2004) Proximity, neighbourhood and the efficacy of exclusion, Urban Studies, Vol. 41, No. 2, pp. 285-298 https://doi.org/10.1080/0042098032000165253
  17. Maclennan, D. and Tu, Y. (1996) Economic perspectives on the sturcture of local housing systems, Housing Studies, Vol. 11. No. 3, pp. 387-406 https://doi.org/10.1080/02673039608720864
  18. Raymond. Y.C. Tse (2002) Estimating neighbourhood effects in housing prices: Towards an new hedonic model approach, Uban Studies, Vol. 39, No. 7, pp. 1165-1180 https://doi.org/10.1080/00420980220135545
  19. Rothenberg, J., Galster, G., Butler, R., and Pitkin, J. (1991) The Maze of Urban Housing Markets: Theory, Evidence and Polic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 Watckins, C.A. (2001) The definition and identification of housing submarkets, Environment and Planning A, Vol. 33, pp. 2235-2253 https://doi.org/10.1068/a34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