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centrality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6초

가중 네트워크를 위한 일반화된 지역중심성 지수 (A Generalized Measure for Local Centralities in Weighted Networks)

  • 이재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7-23
    • /
    • 2015
  • 네트워크 분석이 확산되면서 매개중심성이나 연결정도중심성과 같은 다양한 중심성 지수가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으나, 가중 네트워크에서 지역중심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지수로는 최근접이웃중심성 이외에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가중 네트워크를 위한 일반화된 지역중심성 지수인 이웃중심성 지수를 새롭게 제안한다. 이웃중심성 지수는 파라미터 ${\alpha}$를 사용하여 이진 네트워크를 위한 연결정도중심성 지수와 가중 네트워크를 위한 최근접이웃중심성 지수를 일반화한 것이다. 6가지 실제 네트워크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제안된 지수의 특징과 적정 파라미터 값을 살펴보는 실험을 수행하고 결과를 보고하였다.

Monitoring social networks based on transformation into categorical data

  • Lee, Joo Weon;Lee, Jaeheon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9권4호
    • /
    • pp.487-498
    • /
    • 2022
  • Social network analysis (SNA) techniques have recently been developed to monitor and detect abnormal behaviors in social networks. As a useful tool for process monitoring, control charts are also useful for network monitoring. In this paper, the degree and closeness centrality measures, in which each has global and local perspectives, respectively, are applied to an exponentially weighted moving average (EWMA) chart and a multinomial cumulative sum (CUSUM) chart for monitoring undirected weighted networks. In general, EWMA charts monitor only one variable in a single chart, whereas multinomial CUSUM charts can monitor a categorical variable, in which several variables are transformed through classification rules, in a single chart. To monitor both degree centrality and closeness centrality simultaneously, we categorize them based on the average of each measure and then apply to the multinomial CUSUM chart. In this case, the global and local attributes of the network can be monitored simultaneously with a single chart. We als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procedure through a simulation study.

사회관계망에서 중요 노드 식별을 위한 지역정보 기반 매개 중심도 (Local Information-based Betweenness Centrality to Identify Important Nodes in Social Networks)

  • 손진곤;김용환;한연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2권5호
    • /
    • pp.209-216
    • /
    • 2013
  • 전통적인 사회관계망 분석에 있어서 각 노드의 매개 중심도는 메시지 전달 측면에서의 각 노드들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파악하는 척도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매개 중심도를 산출하기 위한 계산 복잡도가 높기 때문에 노드의 수와 간선의 수가 매우 많은 대규모 사회관계망에서는 각 노드의 매개 중심도를 산출하기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각 노드들마다 자신의 지역정보, 즉 이웃노드들이 지닌 각각의 이웃노드 정보를 활용하여 구성가능한 확장 자아 네트워크(Expanded Ego Network)를 새롭게 정의하고 이러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확장 자아 매개 중심도(Expanded Ego Betweenness Centrality)를 정의한다. 일반적인 사회관계망의 특성인 척도 없는 네트워크(Scale-free Network)를 생성할 수 있는 Barab$\acute{a}$si-Albert 네트워크 모델을 사용한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확장 자아 매개 중심도의 각 노드별 순위는 기존의 전통적인 방식으로 산출한 매개 중심도의 각 노드별 순위와 거의 일치함을 보인다.

공동연구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중심성 지수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entrality Measures for Analyzing Research Collaboration Networks)

  • 이재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53-179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공동연구 네트워크에서 연구자의 영향력과 입지를 분석하는데 사용되는 중심성 지수들의 특징에 대해서 고찰하는 것이다. 전통적인 이진 네트워크 중심성 지수로는 연결정도중심성, 매개중심성, 근접중심성, 페이지랭크를 다루었고, 공동연구 네트워크에서의 중심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개발되었거나 사용된 가중 네트워크 중심성 지수로는 삼각매개중심성, 평균연관성, 가중페이지랭크, 공동연구 h-지수와 공동연구 hs-지수, 복합연결정도중심성, c-지수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새로운 지수로 제곱근합 지수 SSR을 제안하였다. 이들 12종의 중심성 지수를 건축학, 문헌정보학, 마케팅 분야의 세 가지 공동연구 네트워크에 적용해본 결과 각 지수들의 특성과 지수 간 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 공동연구 네트워크에서 공동연구 범위와 공동연구 강도를 모두 고려하기 위해서는 가중 네트워크 중심성 지수를 사용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동연구 범위와 강도를 모두 고려하는 전역중심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삼각매개중심성 지수를 사용하고, 지역중심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SSR 지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하였다.

사회관계망에서 매개 중심도 추정을 위한 효율적인 알고리즘 (An Efficient Algorithm for Betweenness Centrality Estimation in Social Networks)

  • 신수진;김용환;김찬명;한연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4권1호
    • /
    • pp.37-44
    • /
    • 2015
  • 사회관계망 분석에 있어서 매개 중심도(Betweenness Centrality)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한 척도로서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매개 중심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간 복잡도가 높기 때문에 대규모의 온라인 사회관계망 서비스에서 각 노드의 매개 중심도를 산출하는 것은 쉽지 않은 문제이다. 그래서 본 연구팀에서는 과거에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각의 노드들마다 자신의 지역 정보를 활용하여 확장 자아 네트워크(Expanded Ego Network)를 정의하고 그 네트워크에서 확장 자아 매개 중심도(Expanded Ego Betweenness)를 산출하여 기존의 매개 중심도를 대체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지역정보 기반의 확장 자아 네트워크의 특징을 분석하여 확장 자아 매개 중심도를 빠르게 산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그리고 일반적인 사회관계망의 특성을 대표하는 Barab$\acute{a}$si-Albert 네트워크 모델을 사용한 가상 네트워크와 실제 사회관계망을 대표하는 페이스북 친구 관계 네트워크에서의 실험을 통하여 확장 자아 매개 중심도의 중요도 순위가 기존 매개 중심도의 중요도 순위와 거의 일치함을 보인다. 또한 제안하는 알고리즘이 기존 알고리즘에 비해 확장 자아 네트워크에서의 확장 자아 매개 중심도를 더 빠르게 산출함을 보인다.

Local Centers of the Social Network

  • Huh, Myung-Hoe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8권2호
    • /
    • pp.213-217
    • /
    • 2011
  • For the social network of n nodes, one might be interested in finding k nodes to disseminate the information as quickly as possible or to identify key nodes of high "local centrality". I propose two algorithms for determining k "local centers" of the network and work on a real case.

Landsat-8을 활용한 대구시 열 환경구조 분석 (Aanalysis the Structure of Heat Environment in Daegu Using Landsat-8)

  • 김준현;최진호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2권4_1호
    • /
    • pp.327-333
    • /
    • 2014
  • 도시 열 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특정지역의 열 환경에 대한 구조적 특성분석이 선행되어져 문제점을 분석하고 보완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Landsat 위성을 활용하여 대구광역시의 1월과 8월의 열 환경의 중심성 측정, 분포도 작성, 공간통계 분석 등을 활용하여 공간적 특성에 따른 열 환경구조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위성영상의 열적외밴드를 활용하여 표준정규분포화하여 점수로 중심성을 추출하였고, 국지적 공간에서의 자기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한 국지적 모란지수(Local Local Moran's I)를 기초로 한 Cluster Map를 작성하여 환경공간구조의 분포 특성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위성영상을 활용한 열 환경 분포 특성과 중심지의 파악은 도시의 열 환경 개선 계획 및 관리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기초자료로서 정부의 다양한 열환경 정책이나 계획에 우선시 되어야 할 참고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논문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수소 연구 동향 (Exploration of Hydrogen Research Trends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 김혜경;최일영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3권4호
    • /
    • pp.318-329
    • /
    • 2022
  • This study analyzed keyword networks and Author's Affiliation networks of hydrogen-related papers published in Korea Citation Index (KCI) journals from 2016 to 2020. The study investigated co-occurrence patterns of institutions over time to examine collaboration trends of hydrogen scholars. The study also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of keyword networks to identify key topics and visualized keyword networks to explore topic trends. The result showed Collaborative research between institutions has not yet been extensively expanded. However, collaboration trends were much more pronounced with local universities. Keyword network analysis exhibited continuing diversification of topics in hydrogen research of Korea. In addition centrality analysis found hydrogen research mostly deals with multi-disciplinary and complex aspects like hydrogen production, transportation, and public policy.

항만 분권이 항만경영 및 항만개발에 미치는 영향 : 항만 현장 중심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Port Decentralization on Port Management and Port Development : The Mediating Effect of Port Site Centrality)

  • 양항진;정두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9호
    • /
    • pp.61-70
    • /
    • 2019
  • 본 연구는 항만분권이 항만경영과 항만개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항만현장 중심성이 항만분권과 항만경영 및 항만개발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지 확인하여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항만정책을 입안하고 집행하는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공무원과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변수들 간의 영향관계 및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항만분권의 세부요인인 항만권한 분권과 지역중심 항만정책은 항만현장 중심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항만권한 분권은 항만경영과 항만개발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되었다. 둘째, 항만현장 중심성은 항만경영과 항만개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항만현장 중심성은 항만분권과 항만경영 간의 관계 및 항만개발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방정부로의 항만분권이 효율적 항만경영과 항만개발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와 항만 현장 중심의 정책 마련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읍·면소재지 종합정비사업 대상지역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ection of Areas for Comprehensive Arrangement Project in Areas of Eup and Myeon)

  • 김성록
    • 농촌계획
    • /
    • 제19권4호
    • /
    • pp.227-235
    • /
    • 2013
  • As policy for regional development in bottom-up style is introduced, each local government reflects opinion of regional residents and experts, and continues to strive for active use of regional capability and natural resources. As a result, there are active movements for regional development in Eup and Myeon unit or village unit inside local government. Comprehensive arrangement project in areas of Eup and Myeon is proceeded with a goal of improvement of life quality for regional residents through strengthening base function of Eup and Myeon areas and improving function of basic service by expanding facility of optimal level available to an unspecified number of the general public such as educational, cultural, welfare facility etc. in Eup and Myeon areas which are base space of rural communities. For analysis method of region for selecting areas where comprehensive arrangement project is done, this study suggested analysis of connection structure based on interaction and analysis of centrality. And empir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Buyeo province in Chungcheongnam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