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teracy materials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31초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 탐구 과제에 포함된 사서교사의 교육정보서비스 요소 분석 - 4·5·6학년 1학기 사회 교과서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Elements for Teacher Librarians'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s Embedded in Inquiry Task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 based on the 4th·5th·6th Grade in the First term -)

  • 송기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20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에 포함된 탐구 과제를 탐구 절차에 해당하는 정보활용과정을 기준으로 분석하고, 사서교사가 제공할 수 있는 교육정보서비스 내용을 알아보는 것이다. 분석 결과 4 5 6학년 1학기 "사회" 교과서는 총 69개의 탐구 과제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중 60개가 개별 과제이다. 정보활용과정 측면에서 4학년은 개별적으로 관련 자료를 찾거나 조사한 후에 정리하여 발표하는 형태로 탐구 과제를 수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5 6학년은 개별적으로 주로 교과서에 실린 시각 자료와 텍스트를 읽고 그 결과를 구술 형식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서교사는 정보활용과정 2단계의 적절한 정보원 판단하기, 3단계의 찾아낸 정보 정리하기 그리고 4단계의 과제 해결 결과와 과정 평가하기에 대한 정보서비스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건강정보 이해능력이 낮은 당뇨병 노인을 위한 발 관리 교육의 효과 (Effects of Diabetic Foot Care Education for the Aged with Low Health Literacy)

  • 김혜민;서지민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60-570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diabetic foot care education for the older adults with low health literacy. Methods: A quasi-experimental design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was used. The participants who were diagnosed with diabetes, were adults over 65 years old at the welfare center of Y and B city. They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n=32) and the control group (n=31). Inclusion criteria were a score of 5 or under on the Short form of Korean Functional Health Literacy Test and 24 or more on the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ot care education was conducted in a small group for 40 minutes, once a week, for three weeks. The education materials are composed of an easy term, picture and photographs to understand easily. Results: The scores of diabetic foot care knowledge (t=4.57, p<.001), foot care self-efficacy (t=6.07, p<.001), and foot self-care behavior (t=4.18, p<.00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oot health status was not significantly improved.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is education program can be used as a nursing intervention improving foot care knowledge, foot care self-efficacy, and foot self-care behavior in order to prevent the diabetic foot problems of elderly diabetic persons with low health literacy.

만 2세 영아-어머니, 영아-아버지의 그림책 읽기행동 및 가정문해환경과 영아의 어휘력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Book Reading Behavior and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Their Effect on a Toddler's Vocabulary)

  • 임수경;김명순
    • 아동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19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behavior during picture-book reading and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their effects on toddlers' vocabular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6 toddlers and their parents. The MCDI-K(Im, 2002), Lee and Kim(2004)'s categories of Verbal Behaviors, the categories of Nonverbal Behavioral Analysis(Kim, 2005), and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Index(Han, 2006) were used.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guided by the research questions and involved the use of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 analysis of relevant correl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oddlers' receptive vocabulary score was 1.2 times higher than the toddler's expressive vocabulary score. Second, the father's book reading behaviors and mother's book reading behaviors were quite similar, the most frequent types of behavior being the use of 'feedback', 'explanation', 'questioning' and 'pointing'.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ading behavior of the mother and father as regards the categories of 'linguistic attention ventilation', 'suggesting', 'directing(instructing)', 'expanding feedback', 'pointing' and 'gesture'. Mothers performed more of these behaviors than the fathers. Third, toddler's vocabulary scor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mother's 'linguistic attention ventilation'. However, the mother's use of 'restric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toddler's vocabulary level. Toddler's vocabulary scor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father's 'description', 'reasoning/predicting', 'questioning about function or action', 'demanding feedback' and 'pointing'. The toddler's vocabulary scores were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relative abundance of home environment materials and the amount of time spent on parent-child home literacy activity.

중학교 「역사」 교과서 세계사 영역의 공통 탐구 과제에 포함된 사서교사의 교육정보서비스 요소 분석 (An Analysis of Elements for Teacher Librarians'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s Embedded in Common Inquiry Tasks of World History Territory in Korean Middle School History Studies)

  • 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5-2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 포함된 공통 탐구 과제를 분석하고, 사서교사의 교육정보서비스에 주는 시사점을 알아보는 것이다. 16종의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 포함된 세계사 영역의 탐구 과제를 조사한 결과 84개의 공통 탐구 과제가 발견되었다. 이를 탐구 절차에 해당하는 정보활용과정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탐구 과제는 학생들이 개별적으로 교과서에 수록된 사진 자료와 도서(읽기) 자료를 조사한 후에 그 결과를 말하기 형태로 표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징을 중학교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에서 지도하는 정보활용과정과 비교하면, 1단계(정보과제 정하기와 정보 요구 파악하기)와 3단계(정보 종합과 표현)의 정보 표현하기를 충족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서교사가 역사 교사의 수업 부담을 줄여주고, 역사 수업에서 학생들의 탐구 활동을 촉진하는데 기여하기 위해서는 정보 해석과 분석하기, 정보 종합 및 조직하기 그리고 정보 활동 평가하기에 대한 교육정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림책의 시각적 문식성에 관한 연구 - 사서의 독서지원서비스를 위한 - (A Study on Visual Literacy for Picture Books: Implications for Librarians Providing Reader's Advisory Services)

  • 민경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23-48
    • /
    • 2017
  • 그림책은 글과 그림으로 구성되어 언어 텍스트와 시각 텍스트 그리고 상호간의 보완작용을 통하여 의미가 전달되는 독특한 장르이다. 글 작가는 문체를 중심으로 하는 글의 내용으로 작가의 의도를 전개하고 전달하며, 그림 작가는 사물 대상 형상 등에 감정을 이입시킨 그림으로 작가의 의도를 전달한다. 그림은 표면적으로 보여지는 구조와 작가의 철학, 사상 등을 이미지화하여 변용한 심층적 구조에 관한 이해가 병행되어야 한다. 이에 행동주의 심리학자 Arnheim의 시각적 사고이론을 기반으로 그림책의 독서지원서비스를 위하여 사서들이 갖추어야 할 시각적 문식성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이는 사서들의 그림책 서평과 같은 이차자료 작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아의 성과 주변 환경 변인이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부모의 교육수준, 어머니의 학습관여, 교사의 지도방법 및 가정과 교실의 문해환경을 중심으로 (Influence of Children's Gender and Surrounding's Variables on School Readiness : Based on Educational Level of Parents, Educational Participation of Mother, Teaching Method of Teacher and Literacy Conditions of Home and Class)

  • 이수현;황혜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77-203
    • /
    • 2014
  • 본 연구는 유아의 성, 부모의 교육수준, 어머니의 학습관여, 교사의 지도방법, 가정과 교실의 문해환경이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취학전 만 5세 유아 141명, 이들의 부모 141명과 담임교사 42명이었다. 연구도구는 학교준비도 검사, 어머니 학습관여 척도, 교사 지도방법 척도, 가정문해환경 척도와 교실문해환경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hree-way ANOVA, Spearman의 상관분석과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성과 어머니 교육수준에 따른 학교준비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가정문해환경을 제외한 유아의 성, 부모 교육수준, 어머니 학습관여, 교사 지도방법, 교실문해환경 변인이 유아의 학교준비도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학교준비도의 하위영역인 적응영역에는 유아성별, 지식영역에는 어머니 교육수준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와 교사가 유아의 학교준비도 증진을 도울 수 있는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영화영어를 통한 영화리터러시 교육방안 (A Model for Teaching Film Literacy through Movie English)

  • 서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779-790
    • /
    • 2021
  • 영화리터러시는 영화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에 대한 이해와 영화 내용에 대한 이해, 그리고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사고과정을 통해 새롭게 창작을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영화리터러시를 글쓰기, 과학, 사회, 지리 등 교과에 적용하거나 인문학적인 소양 기르기, 비판적 사고 능력함양 등에 활용되고 있으나, 영화에서 대사가 차지하고 있는 큰 비중을 고려해보면, 영화 속 영어 대사를 이용한 리터러시 교육이 의외로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화 영어는 실제적이고 진정성 있는 자료로 우리나라와 같은 EFL 환경에서는 영어 학습 교재로 매우 적합하다. 그러나 영화를 이용한 교수학습 방법은 영화 내용과 장르별로 달라지기 때문에, 교사가 수업을 구성하고 준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본 논문에서는, 영화를 이용한 영어교실에 공통으로 적용해볼 수 있는 수업 활동을 분석, 문화, 창의 영역으로 나누어 총 6가지를 제안하였고, 이를 대학교 교양 영어 수업에서 4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후 설문 조사를 통해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이 가장 선호한 활동은 문화, 분석, 창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영어 수업을 벗어나는 창의적 활동이나 교수자가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추가 자료는 학습자에게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지도해야 한다.

미디어콘텐츠 언어의 암묵적 의미 해석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연계 가능성 (Implicit Interpretation of Advertising Content Language and Possible Connection of Media Literacy Education)

  • 임지원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243-250
    • /
    • 2021
  • 본 연구는 의사소통의 관점에서 고도의 설득적 언어형식을 담은 광고콘텐츠의 암묵적 의미와 그 해석 과정을 의사소통 교육과 관련하여 논의하고 동시에 현대사회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해석적 코드를 마련하는데 논의의 목적을 가진다. 성공적인 논의를 위해 필자는 특별한 목적을 구현하는 광고콘텐츠의 서사적 내용을 일반적인 대화행위로 가정하고, 내포된 암묵적 의미 표현에 대한 규칙성이 존재함을 새롭게 문제제기로 밝혔다. 또한 현 사회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올바르게 진행되기 위해선 선행연구의 의사소통의 원리로 암묵적 의미에 대한 언어적 해석을 지도할 수 없음을 밝혔다. 해결방안으로 사회 문화적 공유 지식과 인지가 필수적인 해석 코드임을 확인하였다. 확장된 논의를 위해 언어사용적인 면에서 특수한 목적을 지닌 광고미디어언어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그 속에 나타난 암묵적 의미의 해석 과정을 검증하였다. 필자가 임의적으로 유형화시킨 암묵적 광고언어를 분석한 결과, 화자가 설득할 의도로 암묵화한 언어적 의미는 다양한 정보 및 인지효과에 의한 분석의 틀로 대부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수용자들은 미디어 언어에 내재된 암묵적 의미를 해석해 나가는 과정 속에서 글자 그대로의 해석만을 수행하지 않아야 한다. 모국어 자료 및 자신의 배경지식, 사회문화적 관습, 일반적인 공통지식 등을 포함시켜 지도한다면 효율적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A study on the utilization ability of Instructional media based on NCS for Young Child's Preliminary Teachers

  • Ha, Y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35-141
    • /
    • 2017
  • This thesis progressed research on the improvements of NCS multimedia utilization for preliminary teachers. A national module has not been developed yet in terms of child education, so this thesis suggests a curriculum according to the courses taught for freshmen and sophomores of K University Child Education majors. To lessen the burden of tremendous work and classes, provide motivation and interest in learning and maximize the effect, this thesis provides NCS based curriculum. It expects to improve task performance of teachers and help them with better skills to make class materials using up-to-date multimedia, regardless of the computer literacy of preliminary teachers. This thesis does prior research on the abilities to make use of computers and understand the level of computer literacy. Then it suggests NCS based curriculum goals and its performance standards to utilize task-suitable software. It aims to enable efficient multimedia usage, and optimize the learning efficiency of education linked to Nuri precesses.

비판적 다문화교육을 위한 가정과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미디어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 Focusing on Media Literacy)

  • 김서현;진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34
    • /
    • 2012
  • 본 연구는 가정교과의 다문화교육 관점을 비판적 다문화교육으로 설정하고, 미디어 리터러시를 통해 다문화역량을 강화하는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 및 적용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목적을 지닌다. 이를 위해 우선 다문화역량 내용 요소를 바탕으로 6종 고등학교 기술 가정교과서의 가족생활 문화 단원을 비판적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재구성한 후, 총 4차시의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수 학습 과정안으로 고등학교 1학년 247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개발한 교수 학습 과정안이 다문화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지에 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설문지로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한 후, 이 중 성실하게 작성된 설문지 237부를 SPSS/WIN(versio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교과의 비판적 다문화교육을 위해 고등학교 기술 가정교과서의 가족생활 문화 단원을 재구성하여 4차시의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특히, 교수 학습 과정안은 미디어 리터러시를 중점적으로 활용하여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일상생활에서 접하게 되는 다양한 문화의 의미를 읽어내고, 해석하고, 평가하며,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교육적 경험을 갖도록 하였다. 둘째, 수업을 실행한 후, 개발된 교수 학습 자료가 다문화역량을 강화시키는가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문화 일반 이해'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수업 전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개발된 교수 학습 자료가 바람직한 다문화 가치를 내재화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수 학습 자료는 학생들의 다문화역량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그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