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licit Interpretation of Advertising Content Language and Possible Connection of Media Literacy Education

미디어콘텐츠 언어의 암묵적 의미 해석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연계 가능성

  • 임지원 (국립한밭대학교 노마드칼리지대학)
  • Received : 2021.03.23
  • Accepted : 2021.04.26
  • Published : 2021.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implicit meaning of advertising content with highly persuasive language formats from a communication perspective and its interpretation process in relation to communication education, while simultaneously developing interpretative codes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in modern society. For a successful discussion, I assumed the narrative content of advertising content that implements a special purpose as a general conversational act, and raised the issue anew that regularity exists for implicit semantic expressions. It also said that in order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in the present society to proceed correctly, linguistic interpretations of implicit meaning cannot be guided as a principle of communication in prior research. As a solution, we confirm that socio-cultural sharing knowledge and recognition are essential interpretation codes. For further discussion, the analysis of advertising media languages with special purposes in terms of language usage was conducted to verify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implicit meaning shown in them. After analyzing the implicit advertising language that I arbitrarily typified, I found that the linguistic meaning implicit with the intention of persuading the speaker can be provided mostly as media literacy education as a framework for analysis by various information and cognitive effects. In other words, acceptors should not perform only literal interpretations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implicit meaning inherent in the media language. If guided by including native language materials and background knowledge, socio-cultural customs, and general common knowledge, efficient media literacy education can be expected.

본 연구는 의사소통의 관점에서 고도의 설득적 언어형식을 담은 광고콘텐츠의 암묵적 의미와 그 해석 과정을 의사소통 교육과 관련하여 논의하고 동시에 현대사회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해석적 코드를 마련하는데 논의의 목적을 가진다. 성공적인 논의를 위해 필자는 특별한 목적을 구현하는 광고콘텐츠의 서사적 내용을 일반적인 대화행위로 가정하고, 내포된 암묵적 의미 표현에 대한 규칙성이 존재함을 새롭게 문제제기로 밝혔다. 또한 현 사회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올바르게 진행되기 위해선 선행연구의 의사소통의 원리로 암묵적 의미에 대한 언어적 해석을 지도할 수 없음을 밝혔다. 해결방안으로 사회 문화적 공유 지식과 인지가 필수적인 해석 코드임을 확인하였다. 확장된 논의를 위해 언어사용적인 면에서 특수한 목적을 지닌 광고미디어언어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그 속에 나타난 암묵적 의미의 해석 과정을 검증하였다. 필자가 임의적으로 유형화시킨 암묵적 광고언어를 분석한 결과, 화자가 설득할 의도로 암묵화한 언어적 의미는 다양한 정보 및 인지효과에 의한 분석의 틀로 대부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수용자들은 미디어 언어에 내재된 암묵적 의미를 해석해 나가는 과정 속에서 글자 그대로의 해석만을 수행하지 않아야 한다. 모국어 자료 및 자신의 배경지식, 사회문화적 관습, 일반적인 공통지식 등을 포함시켜 지도한다면 효율적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우(2003). 라디오 광고 메시지의 언어적 구조, 고려대 대학원 수업 발표문.
  2. 이민행(2000). 광고카피와 대화함축, 독일언어문학, 독일언어문학회, 13호, 53-67.
  3. 김완석(1992). 광고 언어의 심리학, 새국어 생활, 국립국어연구, 2(2), 41-45.
  4. 이성범(2001). 추론의 화용론, 서울 한국문화사, 56-88.
  5. 김진우(1994). 언어와 의사소통-수사학과 화용론의 만남-, 서울, 한신문화사.
  6. Sperber, D. & Wilson, D.(1986). Relevance: Communication and Cognition. Blackwell, Oxford.
  7. 임지룡(1997). 인지의미론, 서울, 탑출판사.
  8. 정희자(2002). 전경 함축과 배경 함축, 담화와인, 담화인지언어학회, 9(1), 162-169.
  9. 정동규(2000). 광고언어의 단어유희, 독어학, 한국독어학회, 2(!), 85-206.
  10. 전병용(1999). 디지털 시대의 광고와 언어, 서울, 글로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