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pid tolerance test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34초

고지방식이 비만쥐의 지방관련 단백질의 변화 (Alteration of Lipid Metabolism Related Proteins in Liver of High-Fat Fed Obese Mice)

  • 서은희;한영;박소영;고형종;이혜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7호
    • /
    • pp.1019-1026
    • /
    • 2010
  • 과체중과 비만은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과 같은 신진 대사 질환의 발병과 강력하게 연관되어 있다. 비만의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고지방식이는 비만의 원인 중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C57BL/6 생쥐에게 22주간의 고지방 식이를 주었으며, 이를 통해 비만과 고혈당을 유도하였다. 22주 후에 고지방식이를 한 생쥐들에서 체중과 혈장 포도당 수준이 정상 식이를 한 생쥐들에 비해 크게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복막 내 당 부하 검사(IPGTT)에서도 고지방 식이를 한 생쥐들은 정상 식이를 한 생쥐들에 비해서 당 내성 이상 반응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고지방식이가 C57BL/6 생쥐에서 비만 및 고혈당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었다. 고지방식이군 생쥐들에서는 정상식이군의 생쥐들에 비해 혈장의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의 양이 증가됨이 관찰되었다. 간에서의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의 수준도 역시 증가하였다. 따라서, 간에서의 지질대사가 어떻게 변하였는지를 알기 위해, 지질대사에 관련된 단백질들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지방 합성과 관련된 효소들 중 FAS와 GPAT가 고지방식이 군에서 의미있게 증가 되어있었으며, 지방 수송에 관련하는 단백질 중에서도 ApoB 및 MTP의 큰 증가가 고지방식이군에서 관찰되었다. 흥미롭게도, 대사 조절 인자로 알려진 AMPK의 단백질의 양과 인산화 정도는 정상식이군에 비해 고지방식이군에서 의미있게 증가되었음이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우리는 고지방식이가 지질 합성과 지질 수송과정을 생리학적으로 증가시키지만, 역설적으로 AMPK의 활성화를 유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당뇨 쥐에서 상엽추출물을 첨가한 보리면의 혈당조절효과 (Effects of Barley Noodles Contained Mulberry Leave Extracts on Blood Glucose Regulation in Diabetic Mice)

  • 박충무;윤현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101-108
    • /
    • 2018
  • 본 연구는 상엽추출물이 포함된 보리면의 혈당조절능력을 입증하기 위하여 4주간 고지방/고탄수화물 식이 후 streptozotocin과 nicotinamide로 당뇨를 유발하고 음성대조군, 양성대조군, 보리면대조군, 상엽대조군, 보리면+상엽추출물 2.5%군, 보리면+상엽추출물 5%군의 6군으로 나누었다. 그 후 2주간 식이를 진행하며 체중, 혈당, 간 기능 및 혈액 내 지질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보리면과 상엽 단독 섭취군보다 혼합섭취군에서 체중 감소가 적었고 혈당조절효과도 뛰어났으며 이는 경구 당 부하검사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간기능, 혈중 지질 개선 효과도 혼합 섭취군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보리면과 상엽추출물을 함유한 식이는 복합식이에서 단독식이보다 강한 혈당조절효과와 간 기능 개선, 지질 강하효과도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상엽을 포함하는 보리면은 혈당을 조절하고, 간 기능, 지질 강하 기능을 보여 만성질환 관리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마(Dioscorea batatas DECENE) 점질물이 Alloxan 유발 당뇨 마우스의 혈당 및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cilage from Yam (Dioscorea batatas DECENE) on Blood Glucose and Lipid Composition in Alloxan-induced Diabetic Mice)

  • 권은경;최은미;구성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95-801
    • /
    • 2001
  • 한국산 마(Dioscorea batatas DECENE, Yam)에서 점질물(mucilage)의 fraction 1, 2를 분획하여 6주령의 ICR 마우스에게 당 부하 검사(glucose tolerance test)를 실시한 결과 마 점질물 fraction 1이 마 점질물 fraction 2에 비해서 더 나은 효과를 나타내었기 때문에 마 점질물 fraction 1을 시료로 채택하여 6주령의 ICR 마우스에게 Alloxan으로 당뇨를 유발시킨 후 10일간 경구 투여를 실시하고 식이 섭취량 및 체중의 변화를 관찰하고 혈액중의 포도당 농도와 혈청과 간장 중의 지질 성분과 각종 장기의 무게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식이 섭취량은 당뇨대조군과 마점질물투여군이 정상대조군에 비해 거의 2배에 가까운 식이 섭취량을 보였다. 체중의 변화는 정상대조군과 당뇨대조군은 증가한데 반해 마점질물 투여은 유의적으로 체중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공복시 혈중 포도당 농토는 시료 투여 직전에 정상 대조군은 $68.00{\pm}6.04\;mg/dL$였으며, 당뇨 대조군과 시료 투여군은 $400.50{\sim}403.50\;mg/dL$였다. 당뇨 대조군의 경우 시료 투여 첫째날부터 종료시까지 고혈당을 유지하였으며, 마점질물 투여군에서는 실험기간 5일째까지는 당뇨 대조군에 비해 혈당이 감소하지 않았지만, 시료투여 10일째에 마점질물투여군은 당뇨대조군에 비해 낮은 혈당치를 나타내었다. 혈액중 중성지방농도는 당뇨 대조군이 정상 대조군에 비해 약 1.7배 정도 유의적으로 높았다. 마점질물투여군은 당뇨 대조군에 비해 중성지방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비장의 무게는 y500F1군이 당뇨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에서 마점질물 fraction 1을 Alloxan 유발 당뇨 마우스에 투여하였을 때 체중의 감소 및 혈중 포도당과 중성지방농도를 감소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어 당뇨병에 대한 개선 효과를 위한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 PDF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에 있어서 발효콩을 주원료로 한 기능성 식품의 혈당강하 효과 (Hypoglycemic Effect of the Functional Food Manufactured by Fermented Soybean as Main Materials in Streptozotosin - Induced Diabetic Rats)

  • 최승필;최형택;이효진;문선영;김수현;이범구;이득식;함승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126-113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발효콩을 주원료로 한 기능성 식품이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당뇨쥐의 체중, 장기무게, 혈당, 혈중 중성 지방, 혈중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기능성 식품군에서는 당뇨군에 비하여 완만한 체중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식이섭취량은 모든 당뇨군에서 현저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식이효율은 모든 당뇨군에서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나 기능성 식품의 투여로 식이효율이 당뇨군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장기의 중량 비교에서 간과 신장의 경우, 모든 당뇨군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기능성 식품의 투여로 다소 감소를 나타내었다. 심장과 비장의 무게는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경구 당내성 검사에서는 당뇨군에서 50분대에 혈당치가 최고에 달하였다. 기능성 식품 투여군에서는 30분대에 최고치에 이르렀으며 120분 후에는 현저하게 감소되어 거의 공복전의 수준에 도달하였다. 혈중 포도당의 수치는 기능성 식품의 4주간 투여에 의해 당뇨군에 비하여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p<0.05).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AI의 수치는 묘든 당뇨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p<0.05). 기능성 식품 400 mg/kg을 투여한 투여군에서는 당뇨군에 비하여 각각 16.4%, 15.4% 그리고 48.3%의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시료사이의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p<0.05). HDL-콜레스테롤은 기능성 식품 투여에 의해 당뇨군에 비해 다소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400 mg/kg을 투여한 군에서는 정상의 수치에 근접하여 정상군과 유의적 차이가 인정되지 않아(p<0.05) 발효콩을 주원료로 한 기능성 식품이 당뇨 흰쥐의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와 지질대사 개선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Effect of Functional Beverage on Weight Control and Body Fat Mass in Overweight Women

  • Chae, Jey-Sook;Lee, Jong-Ho;Koh, Soo-Jeong;Jang, Yong-Soo;Lee, Jin-Hee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1권4호
    • /
    • pp.257-264
    • /
    • 2003
  • Carnitine, hydroxycitric acid, and soy peptide have been known to be anti-obesity ag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mbined effects of carnitine, hydroxycitric acid, and soy peptide mixture as a potential anti-obesity supplement in overweight women. Overweight premenopausal women (n=33; PIBW>110; 20 to 39 years) were randomized into two groups: the placebo group and the functional beverage group (the test group). Functional beverage was composed of 2000 mg soy peptide, 20 mg L-carnitine and 300 mg garcinia(40% hydroxycitric acid). Body weight and 3 day food dimes, biochemical measurements and computerized tomography were measured at baseline and 8-week. After 8-week consumption of functional beverage with usual diet and exercise, body weight fell an average of 1.4 kg (2.1%). Visceral fat area reduced an average of 7.8% at L1($69.6{\pm}8.7\;vs\;64.2{\pm}7.5\;\textrm{cm}^2$) and 5.1% ($60.7{\pm}4.9\;vs\;57.6{\pm}4.8\;\textrm{cm}^2$, p<0.05) at L4level after weight loss in the test group. Calf fat area in the test group showed about 10% reduction ($31.0{\pm}2.7\;vs=\;27.7{\pm}1.7\;\textrm{cm}^2$, p<0.05) after weight loss. These reductions in fat areas were not shown in the placebo group. There were tendencies of increase in serum levels of $\beta-hydroxybutyrate$, acetoacetate, and total ketones in the test group. There were 7% and 17% insignificant increase in fasting free fatty acid (FFA) and response area of FFA during oral glucose tolerance test(OGTT), respectively, in this group. ill addition, little weight loss in the test group showed 8% but not significant reduction in insulin response area during OGTT.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taking a mixture of carnitine, hydroxycitric acid, and soy peptide as a potential anti-obesity supplement for 8-week produced advantageous changes in the weight and visceral fat accumulation of overweight women.

손바닥선인장 복합물이 당뇨 쥐의 혈당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puntia ficus-indica Complexes B(OCB) on Blood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윤진아;손용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8-56
    • /
    • 2009
  • 손바닥선인장 복합물(OCB)의 항당뇨 효과 및 기작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OCB의 급여가 STZ으로 당뇨가 유발된 8주령 수컷 흰쥐의 음수량, 식이 섭취량, 체중, 공복혈당, 당내성에 미치는 효과와 당뇨의 합병증인 고지혈증(중성지방, 유리 지방산,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VLDL-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의 개선효과를 조사하였다. OCB는 손바닥선인장의 줄기, 여주, 천화분, 목단피, 산약, 강황과 호로파를 조합하여 제조하였고, 기본사료에 2%와 5%의 수준으로 첨가하여 8주령 rat 수컷에게 3주간 자유 채식시켰다. OCB의 수분함량 약 12%, 조회분 15.4%, 조지방 1.26%, 조단백질 4.9%, 조섬유량 6.3% 및 탄수화물 함량은 60% 이상으로 주성분은 탄수화물이었다. 체중은 NC에 비해 DC, OCB-2와 OCB-5에서 감소하였다. 음수량과 사료섭취량은 NC에 비해 DC가 각각 약 8배 및 1. 5배 이상 증가하였고, OCB-2와 OCB-5는 DC와 비교해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NC의 공복 혈당은 평균 100 $mg/d{\ell}$, DC는 416 $mg/d{\ell}$이었으며, OCB-2는 362 $mg/d{\ell}$, 그리고 OCB-5는 329 $mg/d{\ell}$로 혈당농도의 감소를 보였다. 당내성 실험에서 모든 실험군은 포도당을 급여한지 30분 후에 최고 혈당을 나타냈고, OCB-5는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p<0.05). 혈장 인슐린 함량도 DC와 비교해 NC, OCB-2, 그리고 OCB-5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OCB의 급여는 STZ으로 당뇨가 유발된 쥐에서 당뇨의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OCB의 급여는 당뇨의 합병증인 지질대사에서 혈장의 중성지방, 유리지방산,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그리고 VLDL-콜레스테롤을 모두 DC와 비교해 유의적인 수준으로 감소시켰다(p<0.05). 이러한 결과에서 볼 때, OCB의 급여는 당뇨의 합병증인 지질대사의 이상도 개선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Oxidative and Anti-oxidative Status in Blood of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Piglets

  • Inoue, H.;Murakami, H.;Matsumoto, M.;Kaji, 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6호
    • /
    • pp.818-824
    • /
    • 2011
  • Eight LW${\times}$D crossbred, castrated weanling piglets were used to examine the effect of hyperglycemia by streptozotocin (STZ)-injection on oxidative and anti-oxidative status in circulating fluid. Every two of the eight piglets were intravenously administrated STZ at a dose of 0 (control), 100, 125 or 150 mg/kg BW, respectively, and on 15th day after the STZ-injection, some markers of the oxidative stress in circulating fluid were measured to evaluate oxidative and anti-oxidative status in the piglets. First, piglets with hyperglycemia were selected from the STZ-injected piglets as measured by the levels of fasting plasma glucose (FPG) during 2 weeks after the STZ-injection. Additionally, data obtained from the intravenous glucose tolerance test (IVGTT) on 14th day were analyzed. Secondly, the data obtained in this experiment were divided into the control group and the hyperglycemic (STZ) group, and compared. The FPG level or area under curve (AUC) for plasma glucose during the IVGTT in the STZ-induced diabetic piglets was slightly significantly (FPG, p = 0.070; AUC, p = 0.072) higher compared with the control. On the other hand, the plasma level of lipid peroxidation in the STZ-induced diabetic piglets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compared with the control. These results raise the possibility that STZ-induced diabetic piglets produc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diabetic animal model to research the pathogenic mechanisms or therapy of complications in diabetic mellitus.

Effects of Fermented Red Ginseng Extracts on Hyperglycemia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Kim, Hyun-Jeong;Chae, In-Gyeong;Lee, Sung-Gyu;Jeong, Hyun-Jin;Lee, Eun-Ju;Lee, In-Seo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4권2호
    • /
    • pp.104-112
    • /
    • 2010
  • Fermented red ginseng (FRG) was prepared by inoculating 0.1% Lactobacillus fermentum NUC-C1 and fermenting them at $40^{\circ}C$ for 12 hours. The ginsenoside contents of FRG were increased compared with those of red ginseng (RG). Moreover, the levels of the ginsenosides Rg2, Rg3, and Rh2 in FRG increased significantly. In an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blood glucose levels were lower in animals fed with RG and FRG extracts than in normal controls. In particular, FRG extracts in OGTT were superior to RG extracts. The antidiabetic effects of FRG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were investigated.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normal control, diabetes mellitus (DM), FRG administered at 100 mg/kg, and FRG administered at 200 mg/kg groups. FRG extracts were orally administered to each treatment group for 3 weeks, and blood glucose, insulin, and lipid levels of each group were determined. Orally administered FRG extracts significantly reduced blood glucose levels and increased plasma insulin levels in diabetic rats. Additionally, the activities of disaccharidases, including sucrase, lactase, and maltase,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FRG groups. FRG groups also had reduced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compared with the DM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FRG may have antidiabetic effects in STZ-induced diabetic rats.

Ovarian volume is more closely related to the different manifestations of polycystic ovary syndrome than follicle number per ovary

  • Shazia Afrine;Jasmine Ara Haque;Md Shahed Morshed;Hurjahan Banu;Ahmed Hossain;Muhammad Abul Hasanat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50권3호
    • /
    • pp.200-205
    • /
    • 2023
  • Objective: Polycystic ovary (PCO), a diagnostic component of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requires either an ovarian volume (OV) criterion or a follicle number per ovary (FNPO) criter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of OV and FNPO criteria with various manifestations of PCOS.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at a university hospital among 100 patients newly diagnosed with PCOS (according to the revised Rotterdam criteria). Fasting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to measure glucose, total testosterone (TT), luteinizing hormone (LH), follicle-stimulating hormone (FSH), lipid, insulin, and hemoglobin A1c levels. An oral glucose tolerance test was performed. Transabdominal or transvaginal ultrasound of the ovaries was done, depending on patients' marital status. All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in the follicular phase of the menstrual cycle. OV >10 mL and/or FNPO ≥12 indicated PCO. A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IR) value ≥2.6 indicated IR, and metabolic syndrome (MS) was defined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harmonization criteria. Results: Seventy-six participants fulfilled the OV criterion, 70 fulfilled the FNPO criterion, and 89 overall had PCO. Both maximum OV and mean OV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T levels (r=0.239, p=0.017 and r=0.280, p=0.005, respectively) and the LH/FSH ratio (r=0.212, p=0.034 and r=0.200, p=0.047, respectively). Mean OV also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asting insulin levels (r=0.210, p=0.036). Multivariate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IR (odds ratio [OR], 9.429; 95% confidence interval [CI], 1.701 to 52.271; p=0.010) and MS (OR, 7.952; 95% CI, 1.821 to 34.731; p=0.006) had significant predictive associations with OV alone, even after adjustment for age and body mass index. Conclusion: OV may be more closely related to the androgenic and metabolic characteristics of PCOS than FNPO.

당뇨 마우스에서 카르노신의 혈당강하 효과 (Antiglycemic Effect of Carnosine in Diabetic Mice)

  • 허진주;김종수;김준형;남상윤;윤영원;정재황;이범준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91-397
    • /
    • 2009
  • 당뇨는 비정상적 인슐린의 작용으로 고혈당상태에 이르게 되는 내분비계 질환으로서, 다양한 합병증을 야기는 질환이다. carnosine은 $\beta$-alanine과 L-histidine으로 이루어진 dipeptide로서 생체내 여러 조직에 널리 분포하고 있고, 항노화, 항산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2형 C57BL/6J db/db mice모델을 사용하여 8주 동안 carnosine 투여 후 carnsoine의 항당뇨 효과를 보았다. 실험군은 총 5개로 정상군, 대조군, carnosine 6, 30, 150 mg/kg 투여군으로 설정하였다. 혈당조절정도를 마우스의 정맥혈에서 혈당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포도당 내성 검사를 통해 시험물질의 포도당 의존성을 보았고, 또한 혈청내의 생화학적수치와 지질학적수치 등을 측정하여 증감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로서, carnosine 투여는 8주후 혈당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p < 0.05), 혈당내성 검사 및 인슐린내성검사에서도 유의적으로 혈당치를 낮추었다(p < 0.05), 혈중 인슐린 량은 carnsoine 투여군 모두에서 낮게 나타났으나, 특히 저농도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p < 0.05). 혈액생화학적 수치에서는 carnosine 투여 군이 대조군보다 총단백질 수치가 높았으며, LDH 및 BUN 수치는 낮게 나타났다. 혈액 지질수치에서도 carnosine투여는 glucose 농도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더불어 LDL 수치를 낮췄으나, HDL 수치에는 변화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carnosine은 제2형 마우스모델에서 농도 비의존적 항당뇨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carnosine는 생체내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와 더불어 항당뇨 효과를 갖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