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pase inhibitor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9초

Extraction and Characteristics of Anti-obesity Lipase Inhibitor from Phellinus linteus

  • Lee, Jong-Kug;Jang, Jeong-Hoon;Lee, Jong-Tae;Lee, Jong-Soo
    • Mycobiology
    • /
    • 제38권1호
    • /
    • pp.52-57
    • /
    • 2010
  • To develop a potent anti-obesity lipase inhibitor from mushroom, the lipase inhibitory activities of various mushroom extracts were determined. Methanol extracts from Phellinus linteus fruiting body exhibited the highest lipase inhibitory activity (72.8%). The inhibitor was maximally extracted by treatment of a P. linteus fruiting body with 80% methanol at $40^{\circ}C$ for 24 hr. After partial purification by systematic solvent extraction, the inhibitor was stable in the range of $40\sim80^{\circ}C$ and pH 2.0~9.0. In addition to lipase inhibitory activity, the inhibitor showed 59.4% of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and 56.3% of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y.

상황버섯 자실체로부터 항비만성 라이페이스 저해물질의 정제 (Purification of Anti-obesity Lipase Inhibitor from the Fruiting Body of Phellinus linteus)

  • 이종국;송정화;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7-6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버섯으로부터 새로운 항비만 치료(예방) 효과를 갖는 물질을 추출, 정제하여 그 특성을 규명하고, 이를 기능성식품 개발의 소재로 용용하고자 lipase 저해 활성이 높은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의 lipase 저해 물질을 각종 chromatography로 정제 하였다. 먼저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자실체 추출물에 대한 용매 계통분획을 실시하여 저해 활성이 가장 높은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얻었고 이를 3차례의 sillicas gel column chromatography와 분취용 HPLC를 실시하여 $IC_{50}$값이 175 ng의 lipase 저해활성을 가진 연한 연두색 분말의 정제된 lipase 저해 물질을 얻었다. 정제한 lipase 저해물질을 일련의 NMR spectrometry를 실시한 결과 분자량이 523.06 Da으로 추정되었고 225.1 nm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가진 물질이었다.

Studies on the Inhibitory Effect of Eugenia aromaticum Extract on Pancreatic Lipase

  • Kim, Seung-Kyum;Kim, Yong-Mu;Hong, Mi-Jeong;Rhee, Hae-Ik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2호
    • /
    • pp.84-88
    • /
    • 2005
  • To develop functional food and anti-obesity drug through inhibition of dietary lipid absorption, inhibitory effects of herb extracts on pancreatic lipase were investigated. Due to high yield and simplicity of isolation, lipase inhibitor (ELI) was isolated from ethyl acetate extract of Eugenia aromaticum, which showed highest inhibitory activity, and characterized for development of novel functional material. Stability of ELI at high temperature and low pH was investigated. Results showed ELI is relatively stable under thermal and acidic conditions, reversible, and noncompetitive inhibitor of pancreatic lipase.

톳 유래 수용성 다당류의 Lipase 저해활성과 지질 및 체중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Soluble Polysaccharides from Tott on Lipid Absorption and Animal Body Weight)

  • 백구;구본근;안병제;박제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56-56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유기용매를 이용한 추출을 지양하고 환경 친화적이고 간단한 추출방법을 고안하여 톳의 다당류 성분(WSP-A)을 추출해내었고, WSP-A가 지질의 흡수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in vitro 상으로 lipase inhibition assay와 in vivo로 고지방 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rat을 이용한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톳 유래 다당류는 alginate와 유사한 성분이지만 성분당 분석을 통하여 fucose가 주 당성분인 polysaccharide로 밝혀졌고, 이는 alginate보다 뛰어나고 안정한 lipase inhibitor로써 작용하였다. 또한 동물실험에서는 WSP-A를 포함하는 음용수로 제공한 것과 제공하지 않은 대조군은 무게 변화량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일 뿐 아니라 비만 예방군과 비만 치료군 사이에서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식이섬유를 이용한 연구와 비교해보았을 때, 톳 유래 다당류는 식이섬유 이상의 효과뿐만 아니라 뛰어난 lipase inhibitor로 체중감량을 나타내었고 이는 인간췌장유래 리파아제(human pancreatic lipase)의 저해활성과 더불어 인체 내에서의 작용 가능성을 짐작하고 있다. 따라서 톳 유래 다당류 성분은 식이성 섬유의 공급원 뿐만 아니라 추후에 효소활성 저해 효과에 대한 보다 명확한 작용기전을 밝혀낸다면 단순한 건강 기능성 식품 소재보다 lipase inhibitor로써 항비만 약물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해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도둑놈의 갈고리의 지질분해효소 저해물질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ipase Inhibitor from Desmodium oxyphyllum DC.)

  • 이종국;강민구;백승예;안용근;이종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91-294
    • /
    • 2011
  • A lipase inhibitor from Desmodium oxyphyllum DC. was purified by methanol extraction, systematic solvent extraction,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C_{18}$ solid phase extraction chromatography and RP-HPLC. We obtained the purified lipase inhibitor with 182 ng($IC_{50}$) of lipase inhibitory activity for a 0.06% yield. Its molecular weight was estimated to be 655.37 Da from an instrumental analysis of MALDI-TOF-MS and it was identified copper-3,5-dibromo-2-hydroxybenzoic acid ($C_{14}H_8Br_4CuO_6$) by $^1H$, $^{13}C$ NMR analysis.

지질분해효소 저해물질 함유 약용식물의 선발 및 저해물질 추출조건 (Screening of Medicinal Plants containing Lipase Inhibitor and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 이종국;강민구;김영헌;이종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7
    • /
    • 201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new anti-obesity agents for functional foods from medicinal plants and herbs. Methanol extracts from 560 kinds of medicinal plants and herbs, and their lipase inhibitory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Methanol extract from Desmodium oxyphyllum Dc showed the highest lipase inhibitory activity at 74.2%. This lipase inhibitory activity was maximally extracted when powder of Desmodium oxyphyllum Dc was treated with 80% methanol (1 : 20) for 48 h.

지질분해효소 저해물질 함유 도둑놈의 갈고리 추출물의 영양특성 및 생리기능성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Lipase Inhibitor-Containing Desmodium oxyphyllum DC. Extracts)

  • 이종국;강민구;이종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53-158
    • /
    • 2011
  • 천연물로부터 lipase 저해물질을 개발하여 기능성 식품 산업에 응용하고자 lipase 저해 활성이 우수하여 전보에서 최종 선발된 도둑놈의 갈고리(Desmodium oxyphyllum DC.) 에탄올 추출물의 영양성분, 온도, pH 안정성과 생리기능성 등을 측정하였다. Lipase 저해물질을 함유한 도둑놈의 갈고리 에탄올 추출물의 지질과 단백질 함량은 각각 26.5%와 5.7%이었고 유리아미노산으로 asparagine과 tryptophan 함량이 각각 4,860 mg/건조중량 100 g, 1,209 mg/건조중량 100 g으로 물 추출물보다 높았다. 또한, 도둑놈 갈고리의 에탄올 추출물은 pH 3.0~9.0, $80^{\circ}C$ 이하에서 비교적 안정하였고, 이에 대한 생리 기능성을 측정한 결과, lipase 저해 활성은 74.2%, 항 치매성 Acetylcholinesterase 저해 활성은 68.4%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비만성 Lipase 저해물질을 함유한 식품첨가용 상황버섯 분말의 제조 및 특성 (Manufacture and Characteristics of Food Additives, Phellineus linteus Powder-containing Anti-obesity Lipase Inhibitor)

  • 이종국;장정훈;서건식;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4-56
    • /
    • 2010
  • 천연물로부터 항비만 lipase 저해물질을 개발하여 산업화에 용용 하고자 lipase 저해활성이 높은 상황버섯 추출물을 동결 건조 방법과 분무건조 방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상황버섯 분말을 제조하여 이들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덱스트린과 검아라비아를 10% 이상 첨가함으로써 물성이 우수한 식품첨가용 분말을 제조할 수 있었고, 최적 분무건조 온도는 $130^{\circ}C$ 전후이었다. 또한, 제조된 상황버섯 분말을 밀봉하여 6개월간 음지에서 상온 저장하였을 때 분말상태는 양호하였고, 분말 제조 시 0.3M의 oxalic acid, citric acid, ascorbic acid를 각각 첨가하였을 때 무처리 보다 색상 변화가 적었다.

A Convergent Synthesis of Bis-2-oxo Amide Triacylglycerol Analogues as Potent Lipase Inhibitors Using Acyl Cyanophosphorane Methodology

  • Lee, Kie-Seu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3권2호
    • /
    • pp.351-354
    • /
    • 2002
  • A number of bis-2-oxo amide triacylglycerol analogues, a recently reported potent human gastric lipase inhibitor and its new analogues, have been prepared starting from 1,3-dibromo-2-propanol utilizing acyl cyanophosphorane methodology as a key step in a convergent manner. The key coupling reaction has been accomplished at -$78^{\circ}C$ between 1,3-diamino-2-propanol derivative and the labile diketo nitriles, derived from acyl cyanotriphenylphosphoranes upon oxidizing with $O_3$, under mild condition in moderate yields.

강원도 자생 산채 추출물의 α-Amylase, α-Glucosidase, Lipase 효소 저해활성 탐색 (Screening of α-Amylase, α-Glucosidase and Lipase Inhibitory Activity with Gangwon-do Wild Plants Extracts)

  • 김희연;임상현;박유화;함헌주;이광재;박동식;김경희;김성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308-315
    • /
    • 2011
  • 연구는 강원도 자생 산채류의 다양한 약리 기능 중 ${\alpha}$-glucosidase, ${\alpha}$-amylase, lipase 효소 저해활성이 우수한 식물소재를 탐색하는데 있다. 강원도 양구, 평창, 태백에서 자생하고 있는 산채 90종을 채집하여 물과 에탄올로 각각 추출하였다. 항비만 활성 탐색은 ${\alpha}$-amylase, ${\alpha}$-glucosidase, lipase 저해활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산채 90종 중 ${\alpha}$-amylase 활성 저해능이 높은 식물로 에탄올 추출물 3종, 물추출물 2종, ${\alpha}$-glucosidase 활성 저해능이 높은 식물로 에탄올 추출물 13종, 물 추출물 3종, lipase 활성 저해능이 높은 식물로 에탄올 추출물 7종, 물 추출물 1종이 선발되었다. 향후 본 연구결과는 비만과 당뇨 등 대사성 질환에 대해 예방 혹은 치료 효과가 있는 기능성식품으로 개발하는데 있어 좋은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