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pase inhibition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26초

Stability Analysis of Bacillus stearothermopilus L1 Lipase Fused with a Cellulose-binding Domain

  • Hwang Sangpill;Ahn Ik-Sung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0권4호
    • /
    • pp.329-333
    • /
    • 2005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stability of a lipase fused with a cellulose­binding domain (CBD) to cellulase. The fusion protein was derived from a gene cluster of a CBD fragment of a cellulase gene in Trichoderma hazianum and a lipase gene in Bacillus stearother­mophilus L1. Due to the CBD, this lipase can be immobilized to a cellulose material. Factors affecting the lipase stability were divided into the reaction-independent factors (RIF), and the re­action-dependent factors (RDF). RIF includes the reaction conditions such as pH and tempera­ture, whereas substrate limitation and product inhibition are examples of RDF. As pH 10 and $50^{\circ}C$ were found to be optimum reaction conditions for oil hydrolysis by this lipase, the stability of the free and the immobilized lipase was studied under these conditions. Avicel (microcrystal­line cellulose) was used as a support for lipase immobilization. The effects of both RIF and RDF on the enzyme activity were less for the immobilized lipase than for the free lipase. Due to the irreversible binding of CBD to Avicel and the high stability of the immobilized lipase, the enzyme activity after five times of use was over $70\%$ of the initial activity.

민들레 뿌리로부터 Pancreatic lipase 저해 물질의 분리 (Pancreatic Lipase Inhibitors in the Roots of Taraxacum ohwianum, a Herb Used in Korean Traditional Medicine)

  • 김태완;김태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3-58
    • /
    • 2011
  • 신선한 울릉도 민들레 뿌리를 70% ethanol로 침지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n-hexane, EtOAc, n-BuOH로 순차용매 분획하였다. 이중 상대적으로 높은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을 나타낸 EtOAc 분획에 대해 Toyopearl 및 $C_{18}$겔을 활용한 column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5종의 페놀성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스펙트럼 데이터 해석 및 표품과의 HPLC 직접 비교를 통하여 3,5-di-O-caffeoylquinic acid, chicoric acid, caffeic acid, protocatechuic aldehyde, luteolin 으로 동정하였다. 이들 화합물중 3,5-di-O-caffeoylquinic acid 는 $IC_{50}$ 값이 $65.1\;{\pm}0.7\; {\mu}M$로 가장 강한 효능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tartaric acid의 수산기에 2분자의 caffeic acid가 결합한 chicoric acid 의 IC50 값이 $126.3{\pm}2.3{\mu}M$의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민들레 뿌리의 EtOAc 가용부에에 존재하는 caffeic acid 유도체가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 물질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들 활성은 caffeic acid가 결합한 quinic acid 및 tatrtaric acid 등의 구성화합물에 따라 다름이 시사되었다. 향후 이들 활성물질의 활성 기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결과는 보다 우수한 pancreatic lipase 저해능을 가지는 새로운 선도화합물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울릉도에 자생하는 민들레 뿌리의 식물 화학적 성분에 대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tudies on the Inhibitory Effect of Eugenia aromaticum Extract on Pancreatic Lipase

  • Kim, Seung-Kyum;Kim, Yong-Mu;Hong, Mi-Jeong;Rhee, Hae-Ik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2호
    • /
    • pp.84-88
    • /
    • 2005
  • To develop functional food and anti-obesity drug through inhibition of dietary lipid absorption, inhibitory effects of herb extracts on pancreatic lipase were investigated. Due to high yield and simplicity of isolation, lipase inhibitor (ELI) was isolated from ethyl acetate extract of Eugenia aromaticum, which showed highest inhibitory activity, and characterized for development of novel functional material. Stability of ELI at high temperature and low pH was investigated. Results showed ELI is relatively stable under thermal and acidic conditions, reversible, and noncompetitive inhibitor of pancreatic lipase.

Effects of Onion (Allium cepa) Skin Extract on Pancreatic Lipase and Body Weight-related Parameters

  • Kim, Hye-Yo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3호
    • /
    • pp.434-438
    • /
    • 2007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onion (Allium cepa) skin extract (OSE) on pancreatic lipase (PL), the key enzyme of the digestion and absorption of dietary fat in the small intestine, and to evaluate its potential for the inhibition of body-weight gain. OSE inhibited PL with an $IC_{50}$ of 53.70 mg/mL, which means as potent as 0.07635% of the activity of orlistat. At 3 and 4 hr after administration of OSE, the plasma triacylglycerol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OSE-treated rats than control. Body-weight gain and parametrial adipose tissue weight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mice fed the high-fat diet (fat comprises 31% of total calories) with 5%(w/w) OSE than in control. The results suggest that OSE may be an effective nutraceutical for the inhibition of body-weight gain.

Anti-Obesity Effects of Red Beet Extract

  • Song, Hwa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4호
    • /
    • pp.225-232
    • /
    • 2021
  • Obesity is caused by the accumulation of triglycerides in adipocytes by the differentiation and lipid synthesis process of pre-adipocytes, and excessive accumulation of adipocytes by the activated Adipogenesis process within the differentiated cells. Therefore, inhibiting the differentiation of adipocyte cells or controlling the adipogenesis process is known a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for obesity. This study evaluates the inhibition of Red beet root extract on pancreatic lipase and pre-adipocyte cell differentiation. Also it evaluates the Red beet root extract activities on C/EBP-𝛼,𝛽, and PPAR-𝛄. The experiments proved that the Red beet root extract inhibits pancreatic lipase by concentration dependency. Further, in 3T3-L1 inhabitation experiment, it was found Red beet root extract inhibited adipocyte formation. Red beet root extract also inhibits the expression of C/EBP-𝛼, C/EBP-𝛽, and PPAR-𝛾 which effect the process of adipocytic differentiation. We therefore concluded that RBE has a high potential to further studies on anti-obesity effect.

강원도 자생 산채 추출물의 α-Amylase, α-Glucosidase, Lipase 효소 저해활성 탐색 (Screening of α-Amylase, α-Glucosidase and Lipase Inhibitory Activity with Gangwon-do Wild Plants Extracts)

  • 김희연;임상현;박유화;함헌주;이광재;박동식;김경희;김성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308-315
    • /
    • 2011
  • 연구는 강원도 자생 산채류의 다양한 약리 기능 중 ${\alpha}$-glucosidase, ${\alpha}$-amylase, lipase 효소 저해활성이 우수한 식물소재를 탐색하는데 있다. 강원도 양구, 평창, 태백에서 자생하고 있는 산채 90종을 채집하여 물과 에탄올로 각각 추출하였다. 항비만 활성 탐색은 ${\alpha}$-amylase, ${\alpha}$-glucosidase, lipase 저해활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산채 90종 중 ${\alpha}$-amylase 활성 저해능이 높은 식물로 에탄올 추출물 3종, 물추출물 2종, ${\alpha}$-glucosidase 활성 저해능이 높은 식물로 에탄올 추출물 13종, 물 추출물 3종, lipase 활성 저해능이 높은 식물로 에탄올 추출물 7종, 물 추출물 1종이 선발되었다. 향후 본 연구결과는 비만과 당뇨 등 대사성 질환에 대해 예방 혹은 치료 효과가 있는 기능성식품으로 개발하는데 있어 좋은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수수의 탄닌 함량이 소화효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annin content in sorghum on digestive enzymes)

  • 배정숙;고희선;최홍집;이지윤;김세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738-745
    • /
    • 2016
  • 본 연구는 수수 계통들의 탄닌 함량별 소화효소 저해율을 조사하여 향후 수수 품종육성과 수수의 이용성 향상을 위하여 실시하였다. 남풍찰수수의 탄닌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과피와 배유사이의 종피층에 탄닌이 분포함을 알 수 있었다. 도정을 하지 않은 조곡에서 탄닌 함량은 11.54 mg/g이었고, 73% 도정한 종실과 겨에서 각각 4.57 mg/g과 28.71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가 65% 도정한 종실과 겨에서 2.06 mg/g과 26.38 mg/g으로 줄었다. 수수 추출물 탄닌 함량별로 15계통을 대상으로 소화효소 반응을 조사한 결과, 탄닌이 함유된 계통들에서 탄닌이 없는 계통들에 비해 당질가수분해 효소인 ${\alpha}$-amylase, ${\alpha}$-glucosidase, ${\beta}$-glucosidase 저해율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alpha}$-glucosidase의 저해율은 모든 탄닌 계통에서 97% 이상으로 다른 소화효소들에 비해 매우 특이적으로 높은 저해율을 보였다. Protease의 저해율은 탄닌 계통들에서 non-탄닌 계통들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Lipase 저해율은 20% 이하로 저해가 일어나지 않거나 매우 낮아 수수 계통들간의 lipase 저해율의 유의성이 없었다.

Principles of Physiology of Lipid Digestion

  • Bauer, E.;Jakob, S.;Mosenthin, 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2호
    • /
    • pp.282-295
    • /
    • 2005
  • The processing of dietary lipids can be distinguished in several sequential steps, including their emulsification, hydrolysis and micellization, before they are absorbed by the enterocytes. Emulsification of lipids starts in the stomach and is mediated by physical forces and favoured by the partial lipolysis of the dietary lipids due to the activity of gastric lipase. The process of lipid digestion continues in the duodenum where pancreatic triacylglycerol lipase (PTL) releases 50 to 70% of dietary fatty acids. Bile salts at low concentrations stimulate PTL activity, but higher concentrations inhibit PTL activity. Pancreatic triacylglycerol lipase activity is regulated by colipase, that interacts with bile salts and PTL and can release bile salt mediated PTL inhibition. Without colipase, PTL is unable to hydrolyse fatty acids from dietary triacylglycerols, resulting in fat malabsorption with severe consequences on bioavailability of dietary lipids and fat-soluble vitamins. Furthermore, carboxyl ester lipase, a pancreatic enzyme that is bile salt-stimulated and displays wide substrate reactivities, is involved in lipid digestion. The products of lipolysis are removed from the water-oil interface by incorporation into mixed micelles that are formed spontaneously by the interaction of bile salts. Monoacylglycerols and phospholipids enhance the ability of bile salts to form mixed micelles. Formation of mixed micelles is necessary to move the non-polar lipids across the unstirred water layer adjacent to the mucosal cells, thereby facilitating absorption.

솔장다리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Salsola collina Ethanol Extract)

  • 진경숙;이수현;권현주;김병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888-895
    • /
    • 2017
  • 솔장다리(S. collina)는 건조한 대지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한해살이 식물로 한방에서는 고혈압의 치료에 사용되어왔으며 선행연구를 통해 솔장다리가 보유한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밝힌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솔장다리 에탄올 추출물(SCEE)의 항비만 활성을 췌장 lipase 효소 활성 억제능과 세포실험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SCEE는 농도 의존적으로 lipase 효소 활성을 유의적으로 억제시켰으며, 3T3-L1 preadipocyte를 이용하여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생성, 생성된 지방의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방세포 분화, 세포 내 지방 축적, TG 함량 등을 독성 없이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고,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을 유의적으로 분해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솔장다리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능은 핵심 작용 인자인 $C/EBP{\alpha}$, $C/EBP{\beta}$, 그리고 $PPAR{\gamma}$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조절에서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솔장다리가 보유한 췌장 lipase 활성 저해능, 지방세포 분화 억제능, 지방세포 내 지방 분해능, 지방분화관련 인자 신호전달기전 조절을 통한 항비만 활성을 처음으로 밝혀낸 것이며 추후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활성 물질의 규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토복령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 (The Anti-Obesity Effect of Smilax china Extract)

  • 박정애;진경숙;권현주;김병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54-36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토복령(S. china) 메탄올 추출물(SCME)의 항비만 활성을 pancreatic lipase 효소 활성 억제능과 세포 실험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SCME는 농도 의존적으로 lipase 효소 활성을 유의적으로 억제시켰으며, 3T3-L1 preadipocyte에서 MDI로 유도한 지방세포 분화, 세포 내 지방 축적, TG 함량 등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이러한 토복령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능은 핵심 작용 인자인 $C/EBP{\alpha}$, $C/EBP{\beta}$, 그리고 $PPAR{\gamma}$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조절에서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 또한 토복령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분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토복령이 보유한 pancreatic lipase 활성 저해능, 지방세포 분화 억제능, 지방세포 내 지방 분해능을 통한 항비만 활성을 처음으로 밝혀낸 것이며 추후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활성 물질의 규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