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k-status

검색결과 279건 처리시간 0.031초

불확실성 DEA모델을 이용한 컨테이너 항만의 효율성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Container Ports' Efficiency using Uncertainty DEA model)

  • 팜티큔마이;김화영;이청환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5-178
    • /
    • 2016
  • 컨테이너 항만은 공급망관리(SCM)에 있어서 연결점(link) 역할을 하고 있어 국제 간 무역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컨테이너 항만의 운영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컨테이너 항만의 운영 효율성을 평가하는 것은 공급망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일이다. 과거 항만의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해 많은 방법을 사용되었다. 그 가운데 자료포락분석(DEA, Data Envelopment Analysis) 방법은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DEA 모델에 사용되는 투입, 산출 데이터는 때때로 복잡하고 불확실하기 때문에 기존 DEA모델 사용에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모델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불확실변수를 취급할 수 있는 불확실성 DEA(UDEA, Uncertainty DEA)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불확실성 DEA모델을 이용하여 41개 컨테이너 항만의 효율성을 측정하여 불확실성 DEA 모델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항만 클러스터링 방법으로 항만의 규모별로 효율성을 측정하여 6개의 컨테이너 항만이 효율성이 있음을 식별하였다. 이와 같이 제안된 불확실성 DEA(UDEA)모델이 기존 DEA모델 보다 효율성 측정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시계열 자료의 데이터마이닝을 통한 한국산업표준의 제정과 활용 분석 (Analysis of Enactment and Utilization of Korean Industrial Standards(KS) by Time Series Data Mining)

  • 윤재권;김완;이희상
    • 기술혁신연구
    • /
    • 제23권3호
    • /
    • pp.225-253
    • /
    • 2015
  • 표준은 산업발전 및 무역 자유화의 기반이며 사회 경제적인 효율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수단이다. 표준과 관련된 정책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중요한 이슈 중 하나가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산업 분야별 한국산업표준 제정과 활용에 대한 분석은 표준과 관련된 연구에서 중요한 부분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분야별 KS 보유 및 제정현황 분석 그리고 열람실적을 이용하여 표준의 활용도를 분석한다. 먼저 KS의 보유현황을 국가정책적인 이슈와 함께 살펴보고, 세부적으로 KS 제정현황이 유사한 분야들은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다차원 척도법을 이용하여 시각화 및 군집화를 실시한다. 이후 각 군집별 제정현황이 유사한 분야들의 표준화 제정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이 무엇인지 가설설정에 따른 회귀분석을 실시한다. 연구결과 자본집약도, 연구개발 그리고 매출액이 표준화 제정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정부는 자본집약도가 큰 기업들이 표준화 과정에서 선도적 역할을 유도하고, 연구개발에 따른 표준과 기술특허 등을 정책적으로 연계시키며, 매출액이 큰 기업들이 표준화 활동을 선도하도록 지원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두 번째로 표준의 활용도를 분석하기 위해, KS 열람실적 데이터를 사용하며, 각 KS의 제정연도, 형태 분야별 활용도가 어떻게 다른지 기초통계분석과 의사결정나무를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한다. 그 결과 표준의 제정시기가 활용도에 영향을 크게 미치며, 특정 분야와 형태의 KS들은 최근에 제정되었더라도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열람실적이 낮은 표준들에 대한 홍보 정책과 함께, 표준을 제정할 때 미열람되는 표준이 적어지도록 활용도를 고려하는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인지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경로 신뢰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라우팅 기법 (An Efficient Routing Protocol Considering Path Reliability in Cognitive Radio Ad-hoc Networks)

  • 최준호;유상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B권11호
    • /
    • pp.730-742
    • /
    • 2014
  • 인지무선 애드혹 네트워크(Cognitive Radio Ad-hoc Networks)에서 요구기반 라우팅을 수행할 경우, 경로 탐색 과정에서 발생하는 경로탐색 메시지의 브로드캐스팅은 공통 제어 채널의 과부하를 유발하고 패킷 간의 충돌을 발생시킨다. 이런 현상은 경로탐색의 오버헤드를 증가 시키며, 정확하고 신뢰성있는 경로의 탐색에 제한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하여 신뢰성있는 채널을 찾는 경로가 제한되기 때문에 경로의 생존 시간이 단축되고 경로의 안정성이 감소된다. 본 논문에서는 인지무선 ad-hoc네트워크에서 주사용자의 출현 가능성과 주변 사용자의 상황을 고려하여 패킷 충돌을 감소시키고 경로의 생존시간을 향상 시키는 라우팅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각 노드는 주기적인 센싱을 통해 주사용자의 사용패턴을 감지하고 채널의 사용 확률과 현재 채널 상태를 알고 있다. 또한 이웃 노드와 메시지 교환을 통해 공통된 채널과 해당 채널의 품질을 파악하여 노드 사이에 링크 레벨을 부여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링크 레벨을 이용하여 경로 탐색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어 메시지의 수를 감소시킨다. 또한 링크의 생존성과 품질을 홉 카운트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경로를 선택함으로써 경로의 생존 시간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성능 평가를 통해 기존의 방법 보다 제안된 방법을 이용하여 라우팅을 수행할 경우 제어 채널의 오버헤드가 감소되고 경로의 생존시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직업능력향상과 교육·훈련사업의 연계 가능성 탐색 - 평생교육분야와 지역고용사업을 중심으로- (An attempt to the possible link between vocational ability improvement and educational·training projects - Based on lifelong education and regional employment -)

  • 여상운;천단;박창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407-416
    • /
    • 2018
  • 이 연구는 직업능력향상을 위한 평생교육과 지역의 교육훈련사업의 연계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평생교육기관의 직업능력향상 교육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기에서는 평생교육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생교육 영역과 거기에서의 직업능력향상의 위상을 살펴보고, 실제 전국의 프로그램과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 수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지역의 교육훈련 사업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교육·훈련사업의 의의와 유형에 대해 알아보고, 교육·훈련사업의 프로그램 수와 학습자 수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들을 살펴보면서 직업능력향상과 교육·훈련사업의 연계 가능성을 다섯 가지로 모색하였다. 그 다섯 가지는 비경제 활동 인구에 대한 고용관련 평생학습, 소외계층에 대한 평생교육과 연계의 강화, 재직자 중심의 평생교육 직업능력의 강화, 지역 내 평생교육기구와 대학을 활용한 직업능력 강화, 그리고 지역 일자리 수요와 공급자를 매개할 수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강화로 나타났다.

적응형 이동정보 보고 알고리즘에 기반한 무선 단말의 이동성 예측 정확도 향상 방안 (Prediction Accuracy Enhancement Based on Adaptive Reporting Schemes of Mobile's Mobility Status Information)

  • 고용채;배정화;박진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7A호
    • /
    • pp.778-784
    • /
    • 2007
  • 본 논문은 셀룰러 망에서 GSP와 같이 실시간 이동성을 파악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탑재한 단말이 자신의 이동정보를 효율적으로 기지국에 전달하기 위하여 자신의 이동성 패턴을 인지하고 적절한 보고등록 알고리즘을 수행함으로써 핸드오프시 단말이 이동할 것으로 예상되는 목적 셀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이동단말의 속도와 방향성에 따라서 이동성 패턴을 분류하고 이에 따른 적절한 보고등록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해당 알고리즘을 적용한 네트워크에서 단말은 이동정보 보고횟수와 핸드오프 호의 단절을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무선자원의 사용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우리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방식이 기존의 방식보다 뛰어난 성능을 가져옴을 증명하였다.

Magnesium Status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nd/or Autism Spectrum Disorder

  • Skalny, Anatoly V.;Mazaletskaya, Anna L.;Ajsuvakova, Olga P.;Bjorklund, Geir;Skalnaya, Margarita G.;Chernova, Lyubov N.;Skalny, Andrey A.;Tinkov, Alexey A.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1권1호
    • /
    • pp.41-45
    • /
    • 2020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serum, hair, and urinary magnesium (Mg) levels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nd both ASD and ADHD to reveal potential interactive effects. Methods: A total of 148 boys aged 4-9 years old were enrolled in this study, including 44 children with ADHD, 40 pediatric patients with ASD, 32 patients with both ADHD and ASD, as well as 32 healthy neurotypical children. Hair, serum, and urinary Mg levels were assessed using inductively-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ICP-MS). Laboratory quality control was performed using certified reference materials of human hair, plasma, and urine. Results: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in serum Mg levels was observed. Mg content in hair was found to be reduced in children with ADHD and ADHD+ASD compared to that in healthy controls by 11% and 15%, respectively. Urinary Mg levels in children with ADHD+ASD exceeded the control, ADHD, and ASD values by 51, 76, and 65%, respectively. Factorial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contribution of ADHD to hair and urinary Mg level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hair and urinary Mg levels were considered as significant predictors of neurodevelopmental disorder complexity. Conclusion: We propose that impaired Mg status may provide a link between ADHD and ASD.

일개 도시 지역사회 간호센터 모형개발을 위한 요구조사 (A Study on Model Development for Urban Community Nursing Center)

  • 윤순녕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60-271
    • /
    • 200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basic health needs of adult clients to develop a community nursing center model in Seoul.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from 894 adults registered at a public health center who were health management members, and visiting 4 community nursing centers, University of Wisconsin, Milwaukee during the period from July 1999 to January 2000.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ile, t-test, and ANOVA. Results: 1) The University of Wisconsin- Milwaukee School of Nursing has a long tradition of developing 4 community nursing centers with innovative health care programs. CNCs integrate the ability to implement and test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with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s of nursing students and faculty. They were designed to enhance the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for urban communiti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productive, outcome focused, collaborative partnerships among UWM-Nursing faculties and staff, other health and human service providers, consumers, and policy makers. It links the financial resources between UWM and 9 voluntary agencies and 12 public funding organizations including federal. state, and local governments. 2) Of the total health management members, 37.4% were reported to have at least one type of chronic disease such as hypertension, diabetes, and arthritis. Ten percent of them reported having obesity, and 44.2% reported lack of exercise. The health status of the subjects was within normal range in laboratory tests. However, female subjects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obesity and cholesterol levels than male subjects. The subjects, who were in their 50s,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obesity, SGOT, SGPT, and cholesterol levels than the subjects in other age groups. Conclusion: A community nursing center needs to be developed, that has a link between the nursing college and the public health center, with partnerships and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Based on the study results, exercise programs for middle aged adults are considered necessary. In particular, specific exercise programs for pre-menopausal women needs to be implemented in the future to prevent them from developing osteoporosis.

  • PDF

생산현장의 유연성 및 다양성을 지원하기 위한 설비정보 수집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for Equipments on Shop Floor)

  • 이재경;이승우;남소정;박종권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5권1호
    • /
    • pp.39-45
    • /
    • 2011
  • 제품에 따라 상이한 생산공정과 각 공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관리하는 제조실행시스템(MES) 구현을 위해서는 제조 시스템의 특성을 고려한 데이터 수집 시스템(Data Acquisition System)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작업지시부터 작업실적보고 사이에서 발생하는 생산현장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처리하여 MES 에 제공하는 설비정보 수집 시스템을 소개한다. 제안 시스템은 다양한 설비 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데이터 파서 모듈, 이를 작업실적정보로 생성하는 데이터 맵퍼 모듈, 생성된 작업실적정보를 상위 시스템인 MES, ERP 에 제공하는 SOA 기반 데이터 연동 모듈로 구성된다. 시스템의 시범적용 결과, 설비나 공정의 추가, 변경에도 쉽게 재구성 가능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였다.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비용의 중장기 추계 (Projecting Public Expenditures for Long-Term Care in Korea)

  • 윤희숙;권형준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7-63
    • /
    • 2010
  • Public expenditures on long-term care are a matter of concern for Korea as in many other countries. The expenditure is expected to accelerate and to put pressure on public budgets, adding to that arising from insufficient retirement schemes and other forms of social spending. This study tried to foresee how much health care spending could increase in the future considering demographic and non-demographic factors as the drivers of expenditure. Previous projections of future long-term expenditure were mainly based on a given relation between spending and age structure. However, although demographic factors will surely put upward pressure on long-term care costs, other non-demographic factors, such as labor cost increase and availability of informal care,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as well. Also, the possibility of dynamic link between health status and longevity gains needs to be considered. The model in this study is cell-base and consists of three main parts. The first part estimated the numbers of elderly people with different levels of health status by age group, gender, household type. The second part estimated the levels of long-term care services required, by attaching a probability of receiving long-term care services to each cell using from the sample from current year. The third part of the model estimated long-term care expenditure, along the demographic and non-demographic factors' change in various scenarios. Public spending on long-term care could rise from the current level of 0.2~0.3% of GDP to around 0.44~2.30% by 2040.

박물관에서의 인문학 연계 교육을 위한 현황 분석 (The Status Quo of Humanities-Based Museum Education Program)

  • 강인애;설연경;이소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611-624
    • /
    • 2015
  • 최근 들어 인문학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정부에서도 인문학에 대한 다양한 정책 모색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와 함께 인문정신의 가치 확산을 위한 핵심거점으로 박물관의 역할이 대두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부의 지원 하에 인문학 연계 박물관 교육이 실행되고 있는 박물관을 대상으로, 그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좀 더 발전된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인문학과 박물관 교육의 연계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하여 프로그램 분석틀과 설문을 개발하였다. 이후 이것을 2014년 전국의 75개 박물관에서 운영되었던 인문학 연계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의 특성과 교육 담장자의 인식현황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부분의 박물관 교육에서 인문학적 연계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이해가 비교적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교육주제나 교육방법에서, 기존의 박물관 교육프로그램과 차별되는 방향으로서의 선택과 수용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인문학적 역량과 사고가 다문화시대라는 특징과 어우러지도록 교육주제가 확장되며, 배움의 실천성을 넓히기 위한 성찰적, 체험적 활동의 도입이 더욱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