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ttempt to the possible link between vocational ability improvement and educational·training projects - Based on lifelong education and regional employment -

직업능력향상과 교육·훈련사업의 연계 가능성 탐색 - 평생교육분야와 지역고용사업을 중심으로-

  • Yeo, Shang Woon (Dept. of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 Chen, Dan (Dept. of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 Park, Changun (Dept. of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8.03.19
  • Accepted : 2018.05.11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possible link between lifelong education and local education·training projects to enhance vocational skills. To this end, we first looked at vocational training in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We looked at the areas of lifelong education presented by the Lifelong Education Act and the status of job improvement in them, as well as the actual number of learners across the country. Next, we looked at local education training projects. In this case, We investigated the significance and type of education·training projects, and identified the number of programs and the number of learners. Looking at them, we looked for five possibilities the possible link of between vocational abilities and educational·training projects. The five were to strengthen employment related lifelong learning of the economically inactive population, to strengthen lifelong education related to the underprivileged people, to enhance vocational skills for lifelong education centered on the employed, to utilize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nd universities in the region, and to strengthen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to guide local job demands and suppliers.

이 연구는 직업능력향상을 위한 평생교육과 지역의 교육훈련사업의 연계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평생교육기관의 직업능력향상 교육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기에서는 평생교육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생교육 영역과 거기에서의 직업능력향상의 위상을 살펴보고, 실제 전국의 프로그램과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 수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지역의 교육훈련 사업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교육·훈련사업의 의의와 유형에 대해 알아보고, 교육·훈련사업의 프로그램 수와 학습자 수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들을 살펴보면서 직업능력향상과 교육·훈련사업의 연계 가능성을 다섯 가지로 모색하였다. 그 다섯 가지는 비경제 활동 인구에 대한 고용관련 평생학습, 소외계층에 대한 평생교육과 연계의 강화, 재직자 중심의 평생교육 직업능력의 강화, 지역 내 평생교육기구와 대학을 활용한 직업능력 강화, 그리고 지역 일자리 수요와 공급자를 매개할 수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강화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