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5.15.08.611

The Status Quo of Humanities-Based Museum Education Program  

kang, Inae (경희대학교 박물관.미술관교육)
Seol, Yeon-Kyung (용인대학교 교육공학)
Lee, Sohyun (경희대학교 교육공학)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Humanities-collaborated practices in various fields have been supported by several governmental policies as a way to overcome recent social problems. Museum, due to its roles in preserving and sharing cultural and historical heritage for the development of society and communities, has emerged as a key base for the humanities-collaborated practices. This study, in this context, aimed to analyze how the humanities-based museum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practiced in the museums, which, in turn, might provide a basic data for the future direction and development of the programs and the related governmental policy as well.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link between humanities and museum education, from which a survey was developed. The survey was conducted to 75 museum educators who have been in charge of humanities-based educational programs. The result showed that most programs seemed to reflect the basic direction and purpose of the humanities-linked with museum education. Yet, more needs were found in terms of the educational themes and methods which can facilitate multicultural literacy and reflective thinking and activities within experiential learning environments.
Keywords
Humanities; Museum Education; Humanities-based; The status quo of museum educ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2014 문화예술트랜드 분석 및 전망", 기본연구 2013-35, 2013.
2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융성 국민행복시대의 문화정책",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개원 11주년 기면 대토론회, 2013.
3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융성, 국민체감의 시작", 2014년 주요업무계획, 2014.
4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인문학 융합의 현상진단 및 정책방향 연구", 기본연구 2013-54, 2013.
5 최현철, "인문학과 인문학 교육에 대한 소고", 시민인문학, 제23권, pp.183-214, 2012.
6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정책포럼", ER&D Network, 제159권, pp.1-27, 2007.
7 손동현, "인문교양교육의 의미와 과제", 인문과학, 제7집, pp.203-231, 2006.
8 차제순, 이재현, "자유교육의 전통과 하버드 교육",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385-392, 2014.   DOI
9 맹광호, "우리나라 의과대학에서의 인문사회의학 교육: 과제와 전망", 한국의학교육, 제19권, 제4호, pp.5-11, 2007.
10 신상규, "독서토론을 활용한 통합인문학 교육: 독서토론과 인문학 교과목 운영에 대한 사례발표", 사고와표현학회 제4회 학술대회 논문집, 65-85, 2008.
11 이광모, "인문학에 대한 G. 비코의 이념과 교육 방법", 헤겔연구, 제26권, 단일호, pp.149-168, 2009.
12 채교문, 정진주, 최효승, "국내 박물관의 체험활동프로그램 조사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제6권, 제1호, pp.13-21, 2004.
13 박소영, "박물관을 활용한 초등학교 역사 체험학습 프로그램의 현황과 특징: 사설기관 운영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역사교육연구, 제16권, pp.70-102, 2012.
14 박진아, 정아영, 공순구, "국립민족학박물관의 전시, 교육, 운영, 지역연계프로그램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3권, 제5호, 통권106호, pp.146-156, 2014.   DOI
15 강인애, 서세민, "가상박물관을 활용한 다문화교육 수업 사례 연구", 초등교육연구, 제24권, 제1호, pp.249-276, 2011.
16 강인애, 설연경, "전시연계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학습 이론으로서 전시물 기반학습 (Object-based learning)에 대한 사례연구", 조형교육, 제33권, pp.1-38, 2009.
17 강인애, 설연경, "온라인 학습환경으로서 가상박물관(Virtual Museum)의 가능성에 대한 탐구", 한국콘텐츠학회, 제10권, 제4호, pp.458-470, 2010.   DOI
18 방선희, 이효진, 겅효정, "박물관 교육을 위한 스마트퐅 어플리케이션 설계 원리 및 프로토타입 개발", Korean Journal of Learning Sciences, 제6권, 제1호, pp.45-64, 2012.
19 이용섭, 김순식, "생태 박물관 전시물과의 커뮤니케이션을 강조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영재학생들에게 미치는 효과", 한국환경과학회지, 제19 권, 제10호, pp.1283-1291, 2010.
20 김우영, 이병승, "인문학적 리터러시의 의미와 교육적 함의", 증등교육연구, 제61권, 제4호, pp.901-930, 2013.
21 A. Alvarado and P. Herr, What is object-based learning? In A. Alvarado & P. Herr, Inquiry-based learning using everyday objects (pp.3-11), NY: Corwin Press, 2002.
22 명지원, "교양교육에서의 인문학의 역할: 클레멘트스쿨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안", 한국교양교육학회 2009학년도 춘계 심포지엄 자료집, pp.225-238, 2009.
23 이상옥, "한국 인문교육 진단모형과 정책대안의 종합적.단계적 추진 전략", 인문사회연구회, pp.1-128, 2003.
24 M. Borun, Object-basedl earning and family groups, In S. Paris (Ed.), Perspectives on object-centered learning in museums, Lawrence. NJ: Erlbaum Associates, 2002.
25 A. Kennedy, enhancing pupil learning on museum visits, Retrieved 20, Sep. 2012 from http://www.open.edu/openlearn/education
26 강인애, 민진아, "PBL 기반 어린이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의 학습효과에 대한 비교연구-한방박물관 교육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조형교육, 제35권, pp.1-31, 2009.
27 강인애, 홍혜주, "PBL에 의한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경희대학교자연사박물관의 사례연구", 조형교육, 제34권, pp.1-38, 2009.
28 설연경, "문화예술활동 기반 교육의 의미와 구성 주의적 학습 환경과의 관련성 탐구", 문화예술교육연구, 제8권, 제4호, pp.179-200, 2013.
29 존 듀이, 이재언 역, 존 듀이의 경험으로서의 예술, 서울: 책세상, 2009.
30 맥심 그린, 문승호 역, 블루 기타 변주곡: 맥신 그린 박사의 링컨 센터 인스티튜트 강의록, 서울: 다빈치, 2011
31 설연경, 강인애, "문화예술활동 기반교육에서 미적경험이 주는 교육적 효과 분석을 위한 루브릭 개발", 조형교육, 제46권, pp.165-197, 2013.
32 M. F. Holzer, "Aesthetic education, inquiry, and the imagination," Retrieved March, 12, 2009, from http://www.lcinstitute.org
33 김석수, "21세기 사회에서 로컬리티와 인문학", 철학연구, 제107권, pp.91-116, 2008.
34 강인애, 박물관(미술관)교육의 이론과 학습환경, 최종호 외 (공저), 한국박물관교육학, pp.117-157, 서울: 문음사, 2010.
35 김형숙, "예술교육을 통한 창의.인성교육", 한국토등미술교육학회, 제32권, pp.1-29, 2012.
36 강인애, 설연경, 이소현 외 5인, 박물관 '길 위의 인문학' 기본교육프로그램 결과보고서, 사립박물관 협회, 2014.
37 박이문, 통합의 인문학: 둥지의 철학을 위하여, 지와사랑, 2009.
38 전선자, "문화예술교육과 인문학적 바탕", 한국문화과 예술, 제8권, pp.103-127, 2011.
39 최희봉, "인문학, 인문학 실천, 그리고 인문치료", 인문과학연구, 제25권, pp.327-345, 2010.
40 고미숙, "체현과 도덕적 정서교육", 한국윤리교육하괴, 제21권, pp.91-107, 2010.
41 홍병선 외 4인, "인문학 교육 실태 분석 및 진흥 방안 연구" 정책 2011-위탁-,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2011.
42 설규주, "세계시민사회의 대두와 다문화주의적 시민교육의 방향", 사회과교육, 제43권, 제4호, pp.31-54, 2004.
43 I. A. Kang and S. H. Lee, "A Conceptual Framework for Smart Museum Education," In Museums and the Web Asia 2014, N. Proctor & R. Cherry (eds). Silver Spring, MD: Museums and the Web. Published October 2, 2014.
44 백령, 멀티미디어 시대의 박물관 교육, 서울:예경, 2005.
45 양지연, "박물관미술관 교육프로그램 운영 현황과 개선방향", 예술경영연구, 제2권, pp.36-53, 2002.
46 김호연, 유강하, "인문학 교육의 역할과 효용성에 관한 연구, K중학교 '인문학교'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중등교육연구, 제60권, 제1호, pp.83-107, 2012.
47 신재한,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박물관 교육탐색", 한국예술연구, 제9권, pp.207-230, 2014.
48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기반시설 다문화 프로그램 현황 및 개선방안", 기본연구 2010-04, 2010.
49 강선주, "역사교육과 박물관 역사 전시의 만남", 역사교육연구, 제16권, pp.7-35, 2012.
50 김민정,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현황과 역사 학습", 역사교육연구, 제16권, pp.37-68, 2012.
51 차윤경, "한국 다문화교육의 실제", 다문화교육 심포지엄 자료집:문화예술기반 다문화교육 인력 양성의 새로운 모색, 서울: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9-24, 2012.
52 에릭 부스, 강주헌 역, 일상 그 매혹적인 예술, 서울: 에코의 서재, 2009.
53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 운영 계획, (2013.05.28.보도자료)
54 강인애, 이재경, "시각문화 미술교육을 통한 청소년 진로교육 사례 연구", 조형교육, 제45권, pp.37-65, 2013.
55 이승건, 정남용,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진로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 제27권, 제1호, pp.101-115, 2014.
56 이병준, 이경아, "사립박물관 경영자의 핵심역량 분석 연구", 문화예술교육연구, 제9권, 제2호, pp.1-16, 2014.
57 서은숙, "한국 문화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과 방향", 한국콘텐츠학회, 제9권, 제1호, pp.417-427, 2009.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