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ght curing

검색결과 464건 처리시간 0.025초

Biological Effects of Light-Emitting Diodes Curing Unit on MDPC-23 Cells and Lipopolysaccharide Stimulated MDPC-23 Cells

  • Jeong, Moon-Jin;Jeong, Soon-Jeo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9-47
    • /
    • 2019
  • Background: Light-emitting diodes curing unit (LCU), which emit blue light, is used for polymerization of composite resins in many dentistry. Although the use of LCU for light-cured composite resin polymerization is considered safe, it is still controversial whether it can directly or indirectly have harmful biological influences on oral tissu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biological effects of LCU in wavelengths ranging from 440 to 490 nm, on the cell viability and secre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in MDPC-23 odontoblastic cells and inflammatory-induced MDPC-23 cells by lipopolysaccharide (LPS). Methods: The MTT assay and observation using microscope were performed on MDPC-23 cells to investigate the cell viability and cytotoxic effects on LCU irradiation. Results: MDPC-23 cells and LPS stimulated MDPC-23 cells were found to have no effects on cell viability and cell morphology in the LCU irradiation. Nitric oxide (NO) and prostaglandin $E_2$ which are the pro-inflammatory mediators, and interleukin-$1{\beta}$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which are the proinflammatory cytokin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MCPD-23 cells after LCU irradiation as time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LCU irradiation has the potential to induce inflammation or biological damages in normal dental tissues, including MDPC-23 cells. Conclu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imit the use of LCU except for the appropriate dose and irradiation time. In addition, LCU irradiation of inflammatory-induced MDPC-23 cells by LPS was reduced the secretion of NO compared to the LPS alone treatment group and was significantly reduced the secretion of TNF-${\alpha}$ in all the time groups. Therefore, LCU application in LPS stimulated MDPC-23 odontoblastic cells has a photodynamic therapy like effect as well as inflammation relief.

Relationship between battery level and irradiance of light-curing units and their effects on the hardness of a bulk-fill composite resin

  • Fernanda Harumi Oku Prochnow ;Patricia Valeria Manozzo Kunz;Gisele Maria Correr;Marina da Rosa Kaizer;Carla Castiglia Gonzaga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7권4호
    • /
    • pp.45.1-45.10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ttery charge level and irradiance of light-emitting diode (LED) light-curing units (LCUs) and how these variables influence the Vickers hardness number (VHN) of a bulk-fill resin. Materials and Methods: Four LCUs were evaluated: Radii Plus (SDI), Radii-cal (SDI), Elipar Deep Cure (Filtek Bulk Fill, 3M Oral Care), and Poly Wireless (Kavo Kerr). Irradiance was measured using a radiometer every ten 20-second activations until the battery was discharged. Disks (4 mm thick) of a bulk-fill resin (Filtek Bulk Fill, 3M Oral Care) were prepared, and the VHN was determined o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when light-cured with the LCUs with battery levels at 100%, 50% and 10%. Data were analyzed by 2-way analysis of variance, the Tukey's test, and Pearson correlations (α = 5%). Results: Elipar Deep Cure and Poly Wirel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rradiance when the battery was fully charged versus discharged (10% battery level). Significant differences in irradiance were detected among all LCUs, within each battery condition tested. Hardness ratios below 80% were obtained for Radii-cal (10% battery level) and for Poly Wireless (50% and 10% battery levels). The battery level showed moderate and strong, but non-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VHN and irradiance. Conclusions: Although the irradiance was different among LCUs, it decreased in half of the devices along with a reduction in battery level. In addition, the composite resin effectiveness of curing, measured by the hardness ratio, was reduced when the LCUs' battery was discharged.

Bulk fill 유동성 복합레진의 변연 누출에서 다른 중합시간의 영향에 대해 마이크로시티를 이용한 평가 (Evaluation of marginal leakage of bulk fill flowable composite resin filling with different curing time using micro-computed tomography technology)

  • 김은지;이규복;진명욱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3호
    • /
    • pp.184-193
    • /
    • 2016
  • 목적: 중합 시간이 bulk fill 유동성 복합레진의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을 마이크로시티를 이용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0개의 발거된 인간 대구치에 변형된 2급 와동인 vertical slot cavity를 형성하였다. SonicFill과 SureFil SDR flow을 단일 충전하였으며, 다른 중합시간(20, 40, 60초)으로 광중합 하였다. 모든 표본은 5000번의 thermal cycle을 시행하였다. 치아는 silver nitrate 용액에 24시간 동안 침전 후 8시간 동안 현상액에 침전하였다. 마이크로시티를 사용하여 시편을 촬영 후 침투된 silver nitrate solution을 3차원적으로 재건하여 그 부피를 측정하였다. 변연 누출 결과값의 통계 처리는 Mann-Whitney 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광중합 시간의 증가는 두 bulk fill 유동성 복합레진에서 변연 누출을 증가시켰다. 두 복합레진 사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중합 시간은 bulk fill 유동성 복합레진의 변연 누출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이었다. 또한 마이크로시티를 통해 레진-치아 계면에서 변연 누출의 양을 비파괴적 방법으로 3차원적으로 재건하여 측정할 수 있었다.

성견 상악 치근 이개부 병소에 Glass Ionomer Cement 충전 시 조직 반응에 관한 연구 (Effects on the Tissue Reaction Using GI Cement in the Maxillary Grade II Furcation in the Beagle Dogs)

  • 이용곤;정진형;임성빈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0권4호
    • /
    • pp.793-803
    • /
    • 2000
  • Procedures for treatment of molar furcation invasion defects range from open flap debridement, apically repositioned flap surgery, hemisection, tunneling or extraction, to regenerative therapies using bone grafting or guided tissue regenerative therapy, or a combination of both. Several clinical evaluations using regenerative techniques have reported the potential for osseous repair of treated furcation invasions. Regenerative treatment of maxillary molars are more difficult due to the multiple root anatomy and multiple furcation entrances therefor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d histologically self-curing glass-ionomer cement and light-curing glass-ionomer cement as a barrier in the treatment of a bi-furcated maxillary premolar. Five adult beagle dogs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With intrasulcular and crestal incision, mucoperiosteal flap was elevated. Following decortication with 1/2 high speed round bur, degree II furcation defect was made on maxillary third(P3), forth(P4) and fifth(P5) premolar. 2 month later experimental group were self-curing glassionomer cement and light-curing glassionomer cement. After 4, 8 weeks, the animals were sacrificed by vascular perfusion. Tissue block was excised including the tooth and prepared for light microscope with Gomori's trichrome staining.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all experiment group, there were not epithelial down growth and glass ionomer cement were encapsulated connective tissue. 2. In 4 weeks experiment I group slighly infiltrated inflammatory cells but not disturb the new bone or new cementum formation. 3. In 8 weeks, experiment groups I, II were encapsulated fine connective tissue. 4. Therefore glass-ionomer cement filling to the grade III maxillary furcations with multiple root anatomy and multiple furcation entrances were possible clinical methods and this technique is useful method for Maxillary furcation involvement.

  • PDF

건조 House의 차광조건과 버어리종 담배건조 (Effect of Shading Conditions on Curing of Burley Tobacco in Pipe Vinyl Houses)

  • 배성국;추홍구;임해건;류점호;한철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48-251
    • /
    • 1983
  • 차관율을 달리하여 Burley 21을 공시하고 급건엽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온도는 차광량이 적을수록 높았으며 상대온도는 떨어졌다. 2. 줄말림시 엽면에서 받는 광량은 10%미만으로 그 양이 적었다. 3. 건조경과는 차광량이 적을수록 빨랐으며, 급건엽도 더 발생하였다. 4. 품질은 처리간 유의차가 없었으나 물리성 및 연소성은 차광량이 적은 처리에서 떨어졌다. 이와 같이 차광효과는 실제 엽면에 수광량이 적어서 주로 온습도의 영향으로 보며 충분한 환기로 급건엽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PDF

광중합 광원의 종류와 조사시간에 따른 치면열구전색제의 미반응 모노머 용출 (ELUTION OF RESIDUAL MONOMER ACCORDING TO VARIOUS LIGHT SOURCES AND CURING TIME ON THE POLYMERIZATION OF PHOTOACTIVATED PIT AND FISSURE SEALANTS)

  • 오유향;박윤경;이난영;이창섭;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21-43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할로겐 광과 보다 강한 강도와 짧은 조사시간을 갖는 아르곤 레이저와 플라즈마 광의 광중합도를 평가하기 위해 많은 양의 TEGDMA를 용출하는 치면열구전색제를 실험재료로 이용하여 각각의 중합시간과 용출시간에 따른 미반응 TEGDMA의 양을 측정, 비교 분석하여 중합도를 평가하였다. 광원에 따른 중합시간 당 각각 10개의 시편을 제작하여 3차 증류수에 넣은 후 바로 용출시킨 액을 0시간으로 하고 $37^{\circ}C$ 항 온기에서 10분, 1시간, 12시간, 24시간 동안 용출시켰다. 각 용출액의 $20{\mu}l$를 역상 크로마토그래피(RP-HPLC)에 적용시켜 미반응 모노머의 시간경과에 따른 용출양을 측정하였다. 이상의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할로겐 광은 중합시간이 증가할수록 TEGDMA의 초기 용출량 감소를 보였다(p>0.05). 2. 플라즈마 광은 6초, 9초로 중합한 군에서는 TEGDMA의 용출량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3초 중합 군에서는 6초와 9초 중합 군보다 초기 용출량이 크게 나타났다(p<0.05). 3. 아르곤 레이저는 전반적으로 할로겐 광과 플라즈마 광보다 TEGDMA의 초기 용출량이 컸으며 조사시간이 증가할수록 용출량은 감소되었다(p<0.05). 4. 광원의 제조회사에서 권장하는 최소 중합시간인 할로겐 광 20초, 플라즈마 광 3초, 아르곤 레이저 5초로 조사시 TEGDMA의 용출량은 할로겐 광, 플라즈마 광 아르곤 레이저 순으로 용출량이 적었다(p>0.05). 5. 제조회사의 권장 중합시간인 할로겐 광 40초, 플라즈마 광 6초, 아르곤 레이저 10초 조사시 할로겐 광 40초와 플라즈마 광의 6초의 TEGDMA의 용출량은 아르곤 레이저 보다 낮게 나타났다(p>0.05). 6. 권장시간 이상인 할로겐 광 60초와 플라즈마 광 9초, 아르곤 레이저 20초 중합시 나타나는 TEGDMA의 용출량 간에는 유의 할만한 차이가 없었다(p>0.05).

  • PDF

스트레인 게이지법을 이용한 복합레진과 컴포머의 중합수축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POLYMERIZATION SHRINKAGE OF COMPOSITE AND COMPOMER USING STRAIN GAUGE METHOD)

  • 김윤철;김종수;권순원;김용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9-29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중합과정에 따른 복합레진과 컴포머의 수축 양상을 스트레인 게이지법(strain gauge method)을 이용하여 평가해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광중합기는 기존의 할로겐 시스템인 XL 3000(3M, USA)과 최근 소개된 plasma arc curing 시스템인 Flipo(LOKKI, France)를 사용하였고, 충전 재료는 복합레진인 Z-100(3M, USA)과 컴포머인 Dyract AP(Dentsply, Germany)를 사용하였다. 주형과 치아 와동 내에 충전된 실험재료의 중합수축을 각각 측정하였으며,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중합수축 측정 결과 모두 중합초기에는 일시적인 재료의 팽창을 나타냈고, 그 후 약 1분간은 수축량이 급격히 증가하다가 증가의 폭이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컴포머를 사용한 군에 비해 복합레진을 사용한 군에서 중합수축이 크게 나타났으며 plasma arc curing 시스템을 사용한 군에 비해 기존의 광조사 시스템 군에서 더 큰 중합수축을 보였다. 압축 강도의 측정결과는 컴포머 군에 비해 복합레진 군에서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plasma arc curing unit와 컴포머의 사용은 시술시간의 단축과 항우식 효과를 감안한다면 소아치과 영역에서의 사용이 긍정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

Plasma arc light를 이용한 bracket 부착시의 전단결합강도와 파절양상의 유형 (Shear bond strength and adhesive failure pattern in bracket bonding with plasma arc light)

  • 유형석;오영근;이승연;박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2호통권85호
    • /
    • pp.261-270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bracket 부착시 광조사시간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plasma arc light의 임상적 유용성을 visible light 중합시의 전단결합강도와 접착파절양상과 비교해 봄으로써 평가해 보는데 있다. 사람의 상하악 소구치를 포매하여 만든 레진블럭시편에 광중합 접착제인 Transbond$^{\circledR}$를 사용하여 수종의 bracket을 각각의 조건에 따라 부착한 후 만능 물성시험기를 이용하여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접착파절양상을 stereoscope을 이용하여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lasma arc light를 이용한 수종의 bracket 접착시 metal bracket과 ceramic bracket의 전단결합강도는 임상적으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resin bracket 경우 다른 bracket 비해 전단결합강도가 현저히 작은 값을 나타내었지만 임상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값을 나타내었다. 2. Visible light를 이용한 metal bracket의 광중합시 광조사시간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는 광조사 시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임상적으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나타내었다. 3. Plasma arc light를 이용한 수종의 bracket 접착시 접착제 잔류지수를 통해 접착파절양상을 관찰한 결과, metal bracket과 resin bracket 경우 bracket기저면에 접착제가 반 이상 남아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았으며, ceramic bracket의 경우 bracket기저면에 접착제가 반 이상 남아 있는 경우가 많았다. 4. Metal bracket의 부착시 plasma arc light를 2초간 광조사한 군과 visible light를 10초간 광조사한 군의 전단결합강도와 접착파절양상을 비교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6. Plasma arc light를 이용한 광중합시 광조사 거리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는 거리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는 plasma arc light를 이용한 bracket의 접착시 전단결합강도 저하의 우려 없이 임상적으로 사용 가능함을 시사한다.

  • PDF

직접수복용 레진과 기공용 레진으로 제작한 레진 인레이를 투과한 광중합기의 광강도 (Power density of light curing units through resin inlays fabricated with direct and indirect composites)

  • 장훈상;임영준;김정미;홍성옥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5호
    • /
    • pp.353-358
    • /
    • 2010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직접수복용 레진 (Filtek Z350, Supreme XT)과 기공용 레진 (Sinfony)으로 제작한 레진 인레이를 투과하는 광중합기의 광강도를 측정하고 레진 인레이를 구성하는 색조에 따라 투과되는 광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A3 색조의 레진 인레이를 Z350 A3 한 가지 색조로 제작한 것과 Supreme XT A3B와 A3E 두 가지 색조로 제작한 것을 이용하였으며 Sinfony는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A3, E3, T1 세 가지 색조로 제작하였고 두께는 1.5 mm로 통일하였다. 할로겐 광중합기 (Optilux 360)와 LED 광중합기 (Elipar S10)를 이용하여 레진 인레이를 투과하는 광강도를 휴대용 광강도 측정기 (Cure Rite)로 측정하였다. 각 레진의 색조가 광강도의 투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0.5mm 두께로 레진 시편을 제작하여 광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Z350 A3로 제작한 레진 인레이를 투과한 광강도가 가장 낮았으며, 다음으로 Supreme XT A3B와 A3E로 제작한 레진 인레이, 그리고 Sinfony A3, E3, T1으로 제작한 레진 인레이 순으로 광강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 < 0.05). 0.5mm의 레진 시편을 투과한 광강도를 측정한 결과 dentin shade인 Sinfony A3, Z350 A3, Supreme XT A3B가 가장 낮았으며, enamel shade인 Supreme XT A3E, Sinfony E3, 그리고 translucent shade인 Sinfony T1 순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 < 0.05). 결론: 레진 인레이를 제작할 경우 단색의 직접 수복용 레진을 사용하기 보다는 기공용 레진의 dentin shade, enamel shade, translucent shade를 모두 사용하는 것이 레진 인레이 하방으로 더 많은 중합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