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vel of reasoning

검색결과 353건 처리시간 0.025초

대용량 데이터를 위한 사례기반 추론기법의 실시간 처리속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심장병 예측을 중심으로 (A Case-Based Reasoning Method Improving Real-Time Computational Performances: Application to Diagnose for Heart Disease)

  • 박윤주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6권1호
    • /
    • pp.37-50
    • /
    • 2014
  • 사례기반 추론기법(case-based reasoning)은 수많은 데이터 속에서 현재 문제와 유사한 과거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탐색하고 복원해내야 하기 때문에, 과거에 축적된 데이터의 양이 방대하거나 또는 데이터의 축적 속도가 빠를 경우 계산비용(computational cost)이 급격히 높아지는 확장성(scalability) 문제를 갖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일부 연구들은 클러스터링(clustering) 기법을 적용하여, 전체 데이타를 사전에 몇 개의 그룹으로 분류한 후, 특정 클러스터 내에서만 과거 사례를 탐색하도록 하는 클러스터링과 사례기반 추론의 하이브리드 기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기법은 클러스터 수를 얼마로 설정했는지에 따른 성능편차가 심하고, 또한 기본적인 사례기반 추론기법에 비해 일반적으로 낮은 예측성능을 도출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존의 클러스터-사례기반추론기법의 문제점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하이브리드(hybrid) 사례기반 추론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실제 심장병환자를 예측하는 문제에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 제안된 기법이 기존의 사례기반 추론기법에 비해 현격하게 낮은 계산비용을 사용하면서도, 유사한 수준의 예측성능을 도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재학생들의 지식수준에 따른 과학적 문제해결 전략 분석 (An Analysis of the Scientific Problem Solving Strategies according to Knowledge Levels of the Gifted Students)

  • 김천웅;정정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1호
    • /
    • pp.73-86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roblem solving strategies that gifted students use in science inquiry problem.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the notes and presentation materials that the 15 team of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have solved the problem. They are a team consisting of 27 elementary gifted and 29 middle gifted children who voluntarily selected topics related to dimple among the various inquiry themes. The analysis data are the observations of the subjects' inquiry process, the notes recorded in the inquiry process, and the results of the presentations. In this process, the knowledge related to dimple is classified into the declarative knowledge level and the process knowledge level, and the strategies used by the gifted students are divided into general strategy and supplementary strateg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ategorizing gifted students into knowledge level, six types of AA, AB, BA, BB, BC, and CB were found among the 9 types of knowledge level. Therefore, gifted students did not have a high declarative knowledge level (AC type) or very low level of procedural knowledge level (CA type). Second, the general strategy that gifted students used to solve the dimple problem was using deductive reasoning, inductive reasoning, finding the rule, solving the problem in reverse, building similar problems, and guessing & reviewing strategies. The supplementary strategies used to solve the dimple problem was finding clues, recording important information, using tables and graphs, making tools, using pictures, and thinking experiment strategies. Third, the higher the knowledge level of gifted students, the more common type of strategies they use. In the case of supplementary strategy, it was not related to each type according to knowledge level. Knowledge-based learning related to problem situations can be helpful in understanding, interpreting, and representing problems. In a new problem situation, more problem solving strategies can be used to solve problems in various ways.

Internal Control Risk Assessment System Using CRAS-CBR

  • Hwang, Sung-Sik;Taeksoo Shin;Ingoo Han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38-346
    • /
    • 2003
  • Information Technology (IT) and the internet have been major drivers the changes in all aspects of the business processes and activities. They have brought major changes to the financial statements audit environment as well, which in turn has required modifications in audit procedures. There exist, however, certain difficulties with current audit procedures especially for the assessment of the level of control risk. This assessment is primarily based on the auditors' professional judgment and experiences, not based on the objective hies or criteria.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this paper proposes a prototype decision support model named CRAS-CBR using case based reasoning (CBR) to support auditors in making their professional judgment on the assessment of the level of control risk of the general accounting system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To validate the performance, we compare our proposed model with benchmark performances in terms of classification accuracy for the level of control risk. Our experimental results showed CRAS-CBR outperforms a statistical model (MDA) and staff auditor performance in average hit ratio.

  • PDF

중학생의 논리적 사고력과 통합적 과학탐구 능력에 관한 한.일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Logical Thinking Skills and Integrated Process Skill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Japan)

  • 소원주;우종옥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12-320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logical thinking skills and integrated process skills,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general tendency of subskills by grade level and gender betwee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nd Japanese one. The performance level of skills was measured using GALT and TIPS II.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of Japan (Mattheis et al., 1992). Summary of the results are as follow. 1. Percentages of formal and transitional stage of males are more than females in developmental level. It has been found out that the males attain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logical thinking skills than the females in middle school stag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ores by gender show a good correlation with those for Japanese middle school students. Developmental level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shows a remarkable improvement as they move up from 8th grade to 9 on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velopmental level by grade also show a good correlation with those for Japanese middle school students. Total scores of GALT for Japanese middle school students are higher than Korean one, but it has been found nearly same scores for 9th grade in both countries. Scores of subskills of logical thinking skills, except correlational reasoning, for Korean students show lower than those for Japanese students. It could be noted that the combinatorial reasoning is considered to be easiest and the correlational reasoning to be most difficult in both countries. 2. It also has been found out similar pattern for integrated process skills in both countries because the males and females did not examplify significant differences, although males gain somewhat higher scores than females in Korea. Scores of subskills of integrated process skills for Japanese middle school students show higher them Korean one. It could be noted that the identifying variables is considered to be easiest and stating hypothesis to be most difficult in both countries. 3.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r= .65) between logical thinking skills and integrated process skills,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integrated process skills for developmental level. In integrated process skills, the students who belong to the higher grade levels acquired better score than who belong to the lower grade level. It has been also found remarkable improvement between 8th and 9th grade, an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for grade level in both countries.

  • PDF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이 중학생의 가정교파 인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ractical reasoning home economics instruc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views of home economics)

  • 유태명;박미정;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5-79
    • /
    • 2007
  • 본 연구는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이 가정 교과 인식을 변화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가정교과에 대한 인식은 Thomas(1986)가 분류한 시대에 따른 여섯 가지의 견해, 즉 전통적 여성역할, 수공훈련, 과학지식의 응용, 가족관리, 가족발달, 어려움에 처해 있는 집단을 도와주는 교육으로서의 견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은 중학생의 가정교과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는가?"의 연구문제를 다루기 위하여 독립변수는 수업방식(실험집단은 실천적 추론 수업 비교집단은 교과서 위주의 수업), 종속변수는 가정교과에 대한 인식으로 하여 의사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광주광역시에 소재하는 중학교 2학년 학생 137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서는 '실천적 추론 수업'을, 비교집단에서는 '일반적인 가정과 교과서를 위주로 한 수업'을 각각 10차시씩 진행하였다. 집단의 사전 사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한 대응표본 t-test 결과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은 가정과교과에 대한 인식 가운데 수공 훈련을 강조하는 교과라는 인식을 감소시켰고, 어려움에 처해 있는 집단을 도와주는 교과라는 인식을 향상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실천적 추론 수업은 가정교과를 전근대적 교육으로 생각하는 사회적 인식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좋은 수업이라 사료된다 또한 현재의 제 7차 교육과정을 토대로 개발된 가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수업을 한다고 해도 가정교과를 가족관리나 가족발달을 강조하는 교과로 인식시킬 수 있어 앞으로 가정교과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데이터 출처 유형에 따른 중학생의 소집단 논변활동의 인식론적 수준 (Epistemic Level in Middle School Students' Small-Group Argumentation Using First-Hand or Second-Hand Data)

  • 조현아;장지은;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486-500
    • /
    • 2013
  • 본 연구는 탐구 맥락에서 실시된 논변활동 과정에서 학생들이 이용하는 데이터 출처에 따라 학생의 인식론적 추론과 논변의 구조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중학교 1학년 '식물의 영양' 단원에서 1차 데이터를 이용하는 3가지 논변 과제와 2차 데이터를 이용하는 3가지 논변 과제를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논변활동 과정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인식론적 추론은 데이터 출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1차 데이터를 이용한 논변활동에서는 대부분 현상기반추론이나 관계기반추론을 통해 설명을 구성하였지만 2차 데이터를 이용한 논변활동에서는 모든 소집단이 모형기반추론을 포함하여 설명을 구성해 나갔다. 현상기반추론이나 관계기반추론을 바탕으로 작성된 논변의 경우, 학생들은 관찰 가능한 특징만을 기술하였고 논변에서 보장이 생략되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 모형기반추론을 포함한 논변의 경우 관찰 결과를 이론 지식과 결합하여 설명을 구성해가고 논변에서 보장이 보다 잘 드러났다. 그리고 이 때, 소집단 내에서는 더욱 다양한 아이디어가 제안되었고 이에 대한 평가 맥락이 형성되면서 논변활동을 더욱 자극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한 두 예비교사의 공변추론 이해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wo Pre service Teachers' Development of Covariational Reasoning)

  • 신재홍;이중권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453-472
    • /
    • 2009
  •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어떻게 공변추론(covariational reasoning)의 개념을 이해하는지를 정성연구방법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Geometer's Sketchpad를 이용해 만들어진, 문제상황들을 위한 모의실험을 통해 두 학생들은 공변 추론의 단계가 '방향'수준에서 '순간비율' 수준으로 발전하였음이 연구분석 결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 연구를 통해 함수 학습을 위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인과성'이 공변추론 양식틀에서 빠져있음을 알 수 있었고, 따라서 앞으로 학생들의 함수개념 발달의 연구를 위해서 공변추론과 인과성이 서로 연계되어 이루어 져야 할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 PDF

중등수학교사들의 통계적 추론 전략 및 수준 분석 연구: 상자그림을 활용한 두 집단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analyzing statistical reasoning strategies and levels of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Focusing on comparing two groups using boxplots)

  • 지영명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3권3호
    • /
    • pp.505-526
    • /
    • 2024
  • 본 연구의 목표는 상자그림을 활용한 집단 비교 과제에 대해 수학교사들의 통계적 추론 양상은 어떠한지를 살펴봄으로써 상자그림 관련 교사 교육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어느 지역교육청의 교사통계캠프에 참여한 중등수학교사 48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한 다음, 이들을 대상으로 상자그림과 관련된 기본적인 통계 개념과 이를 활용한 집단 비교 활동을 포함한 4차시 분량의 교사 연수를 실시하였다. 이후 상자그림을 활용한 집단 비교 문항을 포함한 설문 조사와 온라인 면담을 실시하여 수집한 자료를 본 연구 문제에 초점을 맞춰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연구참여자들이 상자그림을 활용하여 두 집단을 비교할 때 요약 요소와 퍼짐 요소에 의지하여 추론한 반면, 이동 요소와 신호 요소에는 거의 주목하지 않았고 표집 요소를 사용한 응답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연구참여자들의 전반적인 비교 추론 수준은 1수준의 빈도(44%)가 가장 높았고, 3수준에 도달한 응답은 확인할 수 없었다. 본고에서는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상자그림 관련 교사 교육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도출하였다.

보일의 법칙에 대한 개념 학습에서 비유의 부연 수준이 학생들의 대응 관계 이해 및 개념 이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Level of Enrichment for Analogies upon Students' Mapping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in Concept Learning about Boyle's Law)

  • 김유정;김경순;노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248-256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보일의 법칙에 대한 개념 학습에서 비유의 부연 수준이 학생들의 대응 관계 이해 및 개념 이해에 미치는 영향과 학생들이 범하는 대응 오류 유형을 조사하였다. 본 수업 이전에 비유 추론 능력 검사를 실시하여, 그 점수를 구획 변인으로 사용하였다. 중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비유의 부연 수준에 따른 단순, 부연, 확장의 세 가지 유형의 비유 학습 활동지를 무선 배포하여 학습하도록 한 직후에, 대응 관계 이해도와 개념 이해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두 검사에 대한 파지 검사를 4주 후에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대응 관계 이해도의 직후 검사에서는 비유의 부연 수준에 따른 주효과는 없었지만, 비유 추론 능력과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개념 이해도 파지 검사에서는 부연 집단의 점수가 단순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세 집단 간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전체 대응 오류의 빈도는 단순 집단이 가장 높았고, 대응 오류 유형별 빈도에서도 대부분 단순 집단의 빈도가 부연 집단과 확장 집단의 빈도보다 높았다. 또한, 대응 오류 유형별 빈도는 학생들의 비유 추론 능력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는 과학교사들이 체계적인 비유 사용 수업을 계획하고 실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삼각형 세 각의 크기의 합'에 관한 초등학생의 추론 연구 (An analysis of elementary students' reasoning on the sum of triangle angles)

  • 김지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7권2호
    • /
    • pp.155-171
    • /
    • 2024
  • 본 연구는 '삼각형 세 각의 크기의 합'의 학습에서 수학수업의 도입 초점을 측정과 기하의 두 측면으로 달리하였을 때 학생들의 추론 과정 및 정당화 방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H초등학교 4학년 1개 학급을 선정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삼각형 세각의 크기의 합'을 수학 수업에서 도입할 때, 측정 관점에서 도입하는 것과 도형 관점에서 도입하는 것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둘째, '삼각형 세 각의 크기의 합은 180°이다.'를 정당화하기 위해 '세 각을 모으면 평각이 된다.'와 같은 도형 방식보다 '세 각의 크기를 더하면 180°이다.'와 같은 측정 방식으로 참임을 설명하는 것이 더 도움이 된다. 초등학생은 조작적 활동을 통해 수학적 지식을 이해하기 때문에, 활동의 수준은 수학 학습의 질로 연결된다. 이러한 추론 과정에 대한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도형과 측정'이라는 하나 영역 속에서 '삼각형의 세 각의 크기의 합'을 어떤 계열로 접근할 것인지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