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evel of motivation

검색결과 1,077건 처리시간 0.032초

대학생 창업교육동기에 대한 사람중심접근법 : 잠재프로파일 유형에 따른 창업의도 및 창업유형 (A latent Profile Analysis of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Profiles on Entrepreneurial Educational Motiv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Type of Entrepreneurship)

  • 오현성;변지연;김준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365-379
    • /
    • 2020
  • 본 연구는 Houle(1961)의 교육참여동기 세 가지 유형(학습지향성, 활동지향성, 목표지향성)을 중심으로 창업교육동기 잠재프로파일의 정량적, 질적 유형 및 특징을 분석하고 창업의도와 창업유형의 차이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614명을 중심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실시하였으며, 창업교육동기 프로파일 1(표류자), 프로파일 2(정체형), 프로파일 3(소심가), 프로파일 4(추종자), 프로파일 5(선도자)를 도출하였다. 프로파일에 따른 창업의도는 5개 프로파일 중 프로파일 5, 프로파일 4, 프로파일 3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프로파일 5와 프로파일 4 그룹의 창업 선호도가 높으며, 프로파일의 창업유형은 개인창업과 공동창업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프로파일 분석방법을 통해 대학생 창업연구에 새로운 방법론적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도출된 5개 프로파일에 따른 창업의도 및 창업유형 분석을 통해 창업교육의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요인 (Factors Convergent Influencing Rehabilitation Motivation among Stroke Patients)

  • 김선연;김인홍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9호
    • /
    • pp.375-38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환자의 우울, 가족지지, 그리고 의료인지지가 재활동기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설계는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대상자는 종합병원 및 요양병원에 입원 중인 뇌졸중 환자 206명 이었고 IBM SPSS Win 22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재활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족지지, 의료인지지, 교육, 연령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58.3%였다. 그리고 우울은 재활동기의 영향요인은 아니었다. 그러나 재활동기가 더 높으면 우울은 더 낮아지고 가족지지와 의료인 지지는 더 높아졌다. 이러한 결과는 뇌졸중 환자의 성공적인 재활을 위해서는 가족지지와 의료인 지지지를 위한 체계적인 중재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추후 가족지지와 의료인지지에 대한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 할 수 있는 실험연구 등을 제언한다.

Emotional Intelligence, Academ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among Health Science Students in Saudi Arabia: A Self-Deterministic Approach

  • Mahrous, Rasha Mohammed;Bugis, Bussma Ahmed;Sayed, Samiha Hamdi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571-583
    • /
    • 2023
  • Purpose: This study used a self-deterministic approach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EI), academic motivation (AM), and achievement among health science students. Method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cities of Saudi Arabia (Dammam, Riyadh, and Jeddah). A convenience sample of 450 students was incorporated using the multistage cluster sampling technique. The online survey contained three sections: students' basic data and academic achievement level, the modified Schutte self-report inventory, and the Academic Motivation Scale lowercase. Results: This study revealed moderate overall scores for EI (57.1%), AM (55.6%), and grade point average (GPA) (57.6%). The overall EI score, its domains, and GPA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overall AM and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p < .01). Amotivation had an insignificant correlation with GPA (p < .05), but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EI and its domains (p < .0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roved that EI domains predicted 5.0% of GPA variance; emotions appraisal and expression (β = .02, p = .024), regulation (β = .11, p = .032), and utilization (β = .24, p < .01). EI domains also predicted 26.0% of AM variance; emotions appraisal and expression (β = .11, p = .04), regulation (β = .33, p < .01), and utilization (β = .23, p < .01). Moreover, AM predicted 4.0% of the variance in GPA; intrinsic (β = .25, p = .004) and extrinsic (β = .11, p = .022) motivation. AM also predicted 25.0% of the variance in EI: intrinsic (β = .34, p < .01) and extrinsic motivation (β = .26, p = .026). Conclusion: EI and AM have a bidirectional influence on each other, significantly shaping the GPA of health sciences students in Saudi Arabia, where intrinsic motivation has a predominant role. Thus, promoting students' AM and EI is recommended to foster their academic achievement.

한국 청소년의 학업동기 발달 (The Development of Academic Motiva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 김아영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1호_spc
    • /
    • pp.111-134
    • /
    • 2008
  • 이 논문에서는 한국 청소년의 학업동기가 어떤 양상으로 발달하는 가를 탐색하기 위하여 학업동기에 핵심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각된 유능감과 자율성 개념을 중심으로 중학생과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경험적 연구 논문들을 검토하였다. 지각된 유능감은 자기효능감 이론과 기대-가치이론, 자기결정성이론에 기초한 연구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율성은 내재동기이론의 하나인 자기결정성이론에 기초한 연구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들을 종합한 결과, 초등학생시기부터 중학교로 올라가면서 유능감은 감소하다가 고등학교로 가면 약간 증가하거나 변화가 없는 경향을 나타냈다. 자기조절 유형 별로 확인한 자율적 동기 역시 중학생들의 발달 상태가 초등학생에 비해 퇴보된 것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 모든 연령 수준에서 내재동기가 낮고 확인된 조절 동기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무동기 경향이 높아지는 결과가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 연구와 교육현장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 제안하였다.

  • PDF

전공선택동기와 학업성취도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jor Choice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n Career Maturity)

  • 문은조;오지원;김용석;박정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161-168
    • /
    • 2023
  • 이 연구는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개인적 동기, 사회적 동기), 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진로성숙도의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C도 소재 대학생 199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전공선택 개인적동기 사회적동기, 학업성취도와 진로성숙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진로성숙도는 전공선택 개인적동기(r=.417, p=.00)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전공선택 사회적동기, 학업성취도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진로성숙도의 영향요인은 전공선택 개인적 동기, 경제활동, 전공계열 순이었으며 설명력은 24%이었다. 따라서 전공과 관련있는 분야에서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대학차원의 지원이 필요 할 것으로 보여지며 전공선택시 개인적동기가 중요한 만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체험이나 미래 직장체험등의 기회를 폭넓게 제공하여 전공선택시 개인적 동기를 높이는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동기유발(ARCS) 전략을 적용한 가정과 수업이 학습동기 및 교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Home Economics Instruction Using Motivation(ARCS) Strategy on th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ttitude toward the Subject)

  • 유미숙;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57-173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2학년 가정교과의 '자원의 활용과 환경' 단원을 중심으로 Keller의 동기유발(ARES) 전략을 적용한 수업을 개발하고 실행하여 이 수업이 가정과 학습동기 및 가정교과태도에 효과를 주는 지를 알아보고 학습자의 성적수준 및 동기수준에 따라 가정과 학습동기와 가정교과 태도에 효과를 주는 지를 밝히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이질 통제 집단 전후 검사 설계(Nonrandomized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이다. 본 연구 대상은 인천광역시 소재의 중학교 2학년으로 4개 학급 남학생 155명(실험집단 2학급 76명, 비교집단 2학급 79명)이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1학기말 가정교과 성적의 학급 평균이 비슷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학급으로 선정하였다. 수업 방법에 따른 효과 검증에서 교사 변인을 최대한 통제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수업을 한명의 가정과it사가 모두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학습동기 검사도구는 Keller(1987)가 개발한 'The Course Interest Survey'를 박수경(1998)이 번안한 것을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cdot$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교과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는 이희애(2001)의 도구와 황옥주(2001)의 도구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수정$\cdot$보완하여 개발하였다. 동기유발(ARCS) 전략을 적용하여 개발한 교수$\cdot$학습 과정안은 중학교 2학년 자원의 활용과 환경 단원으로 5차시에 해당하는 분량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기유발 전략을 적용한 가정과 수업은 전체 가정과 학습동기, 하위요소인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 모두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동기유발 전략을 적용한 가정과 수업은 학습자의 가정교과에 대한 태도 및 그 하위영역인 흥미도, 자신감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동기유발 전략을 적용한 가정과 수업은 학습자의 성적수준이나 동기수준에 관계없이 강의식 수업보다 학습동기나 가정교과태도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 PDF

전문간호실무를 위한 조직환경과 간호사의 근무의욕간의 관계 (A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Its Impact on Nurses' Task Motivation)

  • 강소영;엄영란;한성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53-361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at (a) describing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 environments embedded in nursing care units and (b) examining its relationships to nurses' task motivation. Method: Using the Nursing Work Index Revised (NWI-R) and the Work Preference Inventory (WPI), a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a sample of 320 registered nurses on 26 nursing care units in one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Result: Mean scores were 12.9 on a 5-20 score range of an autonomous environment scale, 7.3 on a 3-12 score range of a collaborative environment, and 15.8 on a 7-28 score range of control over nursing practice. Nurses' age, educational level, job position, working period at the hospital and employment statu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degree of a professional practice environment. The extent to which a professional practice environment accounted for task motivation was $19.5\%$. Conclusion: There is a certain degree of professionalism in the workplace environment that nurses perceived within the nursing care units. When nurses care for patients, the degree of task motivation depends on the work environment supporting the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

패션 모바일 놀이의 유형과 경험적 가치 -놀이 이론을 중심으로- (Types and Experiential Value of Fashion Mobile Play -Focusing on Play Theory-)

  • 박신영;이윤경;이미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73-93
    • /
    • 2021
  • This study typifies fashion mobile plays in a digital environment and explores the experiential value created by them through a case study of a fashion brand mobile app. For the case analysis, mobile plays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intrinsic motivation/active participation, intrinsic motivation/passive participation, external motivation/active participation, and external motivation/passive participation, depending on the mobile players motivation and level of participation. Among the global fashion brand mobile apps released from 2009 to 2019, 16 cases suitable for the analytical framework were used for final analys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bile play value include characteristics such as networkability, immersion, hyper-spatiality, and super-temporality in addition to the attributes of a traditional play such as spontaneity, uncertainty, regularity, and playfulness. Second, the four types of mobile play provide participants with an experiential value such as creative value, emotional value, social value, and exploitative value. This study has academic implications in terms of introducing a new framework that can typify mobile plays and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for what experiential value fashion companies can give consumers through mobile app marketing.

아동학, 유아교육 전공 대학생의 읽기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A Survey of Reading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hild Development 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박찬화;김길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97-10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ading habits, reading patterns and reading motivation of 362 college students from the capital area majoring in child development 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70 percent of students spent less than three hours a week on reading academic or school-related material, and 75 percent spent less than three hours a week on independent or recreational reading. Students most preferred reading the "cultural" genre and least preferred reading the "human life(spiritual)" genre. The "cultural" and the "human life(spiritual)" genres also represented the most and least frequently read genres, respectively. Secondly, students presented high-level reading patterns, in that they previewed the reading material before reading, understood the meaning of it during reading, and shared their reading experience with others after reading. Thirdly, the average reading motivation levels scored near the midpoint on a five-point scale. Fourthly, students with higher reading motivation levels displayed higher reading frequencies and preference levels for each genre, with the exception of the "fiction and humor" genre. Moreover, students with higher levels of reading motivation received higher ratings for their reading patterns.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학과선택 동기 및 적응도 (A study on motivation for major choice and major adaptation among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 장계원;이지영;정미경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335-342
    • /
    • 201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atisfaction level of students with a job tour program and their major and their adaptation to their major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student guidance and the improvement of dental hygiene education.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69 freshmen to find out their views of job tour and the relationship of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otivation of major choice to satisfaction level with their major and adaptation to the department,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arried out.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made to look for connections among major satisfaction, major adaptation and satisfaction with job tour. Results : 1. As for the choice of major, the biggest group of 128 students (47.6%) made a decision on their own. 2. In regard to satisfaction level with their major, the freshmen got $3.55{\pm}0.67$, and the sophomores got $3.36{\pm}0.66$.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cademic year(p<0.05). 3. Concerning the links between motivation for major choice and major satisfaction, the students who chose their major in consideration of their own aptitude or personality got the highest marks of $3.96{\pm}0.64$(p<0.05). 4. As to satisfaction level with the job tour program, they were most satisfied with field trip($4.03{\pm}0.74$). 5. Regarding the correlation among major satisfaction, major adapta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job tour program,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all the variables(p<0.01). Conclusions : The students who gave priority to their own aptitude and personality in choosing their major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major and were better adapted to that. Therefore it's required to consider how to boost the satisfaction level of students with their major and their adaptation to t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