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vel of mathematics understanding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22초

초등학교 수학과 소집단 협동학습에 나타나는 의사소통의 수단 분석 (An Analysis of Communication Means in the Elementary Mathematical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 공희정;신항균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81-200
    • /
    • 2005
  • 구성주의 관점에 의하면 수학적 지식은 교사가 일방적으로 전수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자발적인 방법으로 스스로의 지식을 형성해 가는 것이다. 특히 사회적 구성주의에서는 사회구성원간의 의사소통을 통해 수학지식이 형성됨을 강조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학생들의 의사소통은 소집단 협동학습의 환경에서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문제해결을 위해 학생들은 각자의 생각을 교환하고 자유롭게 질문하며 상호간의 사고와 개념을 명확하게 하고 의미 있는 방법으로 서로의 학습에 도움을 주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6학년 학생들이 수학적 논의를 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의사소통의 수단을 언어와 행동의 관점으로 분석하여 매 수업 장면에서는 관찰하기 어려운 소집단 협동학습 내의 집단적인 역학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 PDF

보육교사의 음악-수학 통합활동에 대한 인식과 실제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s on Integrating Music-Mathematics Activities)

  • 권수현;최정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7-37
    • /
    • 2024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 of music-math integrated activities,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se activities. Methods: This study involved 201 childcare teachers from Seoul and surrounding areas. Surveys were employed to collect data on their background, implementation of music-math integrated activities, and the challenges they encountered. Additionally, a tool was also developed and utilized to measure the actual understanding of these activities.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and ANOVA.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while teache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ntegrated activities, they seldom implement them due to challenges related to resources and comprehension of concep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nderstanding of these activities were found based on teachers' experience, workplace type, age group of children under their care, and education level. Conclusion/Implications: In conclusion, the findings emphasize the necessity for the development and provision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raining programs, along with support in educational materials for childcare teachers. These efforts are crucial to facilitate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music-math integrated activities.

중학교 기하의 증명 지도에 관한 소고 - van Hiele와 Freudenthal의 이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oof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Geometry - Focused on the Theory of van Hiele and Freudenthal -)

  • 나귀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291-298
    • /
    • 1998
  • This study deals with the problem of proof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geometry bby examining van Hiele#s geometric thought level theory and Freudenthal#s mathematization teaching theory. The implications that have been revealed by examining the theory of van Hie이 and Freudenthal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proof education at present that follows the order of #definition-theorem-proof#should be reconsidered. This order of proof-teaching may have the danger that fix the proof education poorly and formally by imposing the ready-made mathematics as the mere record of proof on students rather than suggesting the proof as the real thought activity. Hence we should encourage students in reinventing #proving#as the means of organization and mathematization. Second, proof-learning can not start by introducing the term of proof only. We should recognize proof-learning as a gradual process which forms with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proof on the basic of the various activities, such as observation of geometric figures, analysis of the properties of geometric figures and construction of the relationship among those properties. Moreover students should be given this natural ground of proof.

  • PDF

교육소외 학생들을 위한 수업모형과 통계이해수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 Instructional Model and Statistical Thinking Levels to Help Minority Students with Low-SES and Learning Difficulty)

  • 백정환;고상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0권3호
    • /
    • pp.263-284
    • /
    • 2011
  • We took note of the fact that there were not many studies on improvement of mathematics learning in the field of statistics for the minority students from the families who belonged to the Low-SES. This study was to help them understand the concepts and principles of mathematics, motivate them for mathematics learning, and have them feel familiar with it. The subjects were 12 students from the low-SES families among the sophomores of 00 High School in Gyeonggi-do. Although it could not be achieved effectively in the short-term of learning for the slow learners, their understanding of basic concepts and confidence, interests and concerns in statistical learning were remarkably changed, compared to their work in the beginning period. Our discourse classes using various topics and examples were well perceived by the students whose performance was improved up to the 3rd thinking level of Mooney's framework. Also, a meaningful instructional model for slow learners(IMSL) was found through the discourse.

Investigating the reassessment opportunity for prospective teachers within their initial required content course

  • Amanda J. Meiners;Angel Luis Figueroa-Rosado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7권2호
    • /
    • pp.175-193
    • /
    • 2024
  • In K-12 education, reassessment is a common practice, providing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through low-stakes assignments. However, reassessment is underutilized in higher education, including during the challenges posed by the COVID-19 pandemic. Our study advocates for expanding the use of reassessment in university settings to promote holistic learning and focus on what shifts of change were made by students in an initial mathematics content course as they sought to gain licensure for teaching in a birth (daycare/pre-K setting) to eighth-grade classrooms. Our study took place during COVID-19 semesters and aimed to examine how using a reassessment approach early on in a gateway course for Prospective Teachers (PTs) affected the pass rate of the cours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Ts who engaged with the test recovery and those who did not. We propose recovery opportunities like ours provide the necessary guidance to support early degree necessary classes that are typically gatekeeping and, as another, likely cause too few students within the courses because they were able to advance into the teacher pipeline and out into the field. Future studies may consider how the reassessment could be done more before the official summative assessment of a unit or chapter to continue the shifts in teaching practices and pedagogy that are constant within the K-12 education systems at the university level.

시각화가 초등기하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An Influence of Visualization on Geometric Problem Solving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 윤여주;강신포;김성준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655-678
    • /
    • 2010
  • 초등수학에서 기하교육은 공간에 대한 직관의 계발을 통해 도형에 대한 이해와 공간 감각을 이끌어내는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이와 함께 시각화는 기하에서의 문제해결 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이다. 지금까지 시각화에 대한 분석은 주로 중등 기하교육에서 다루어진 반면, 초등수학에서 평면도형과 공간도형에서의 문제해결과 관련해서 학생들의 시각화에 대한 논의는 부족했다. 본 연구는 초등수학에서 시각화가 기하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으로, 기하문제해결에서 나타나는 시각화 방법과 시각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그리고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어려움을 살펴본 것이다. 먼저 평면도형과 입체도형의 문제해결에서 시각화 방법을 구분하여 살펴보고, 이러한 방법에 따라 도형에 대한 이해와 시각화 과정이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도식화하여 살펴본다. 또한 시각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구분하고, 시각화 과정의 어려움으로 인해 어떤 오류가 나타나는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초등기하문제해결에서 시각화에 대한 논의를 이끌어낸다.

  • PDF

마이크로티칭에서 예비수학교사들의 동기유발에 대한 수업 행동과 변화 (A study 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behaviors and changes about motivation in microteaching)

  • 심상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9권4호
    • /
    • pp.643-66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티칭에서 예비수학교사들의 동기유발에 대한 수업 행동과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두 차례의 마이크로티칭을 실시하고, 녹화된 자료와 수업 분석보고서를 분석하였다. 예비수학교사들은 동기유발을 위해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였으나 사용하지 못하는 전략들도 있었다. 또한, 동기유발에 대한 행동 변화에서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도 있다. 이는 두 차례의 마이크로티칭의 경험만으로 모든 동기유발 전략에 관련된 수업 개선의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그러나 마이크로티칭을 통해 예비수학교사들은 반성에 의한 행동 변화와 미래 수업에 대한 개선의 의지를 보였다. 따라서 예비수학교사들이 자신의 수업에 대한 반성을 통해 수업을 개선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이를 교원 양성기관인 대학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아울러, 예비수학교사들의 동기유발에 대한 수업 행동의 개선을 위해 마이크로티칭과 같은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예비수학교사들에게 더 많이 제공할 필요가 있다.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서 요구하는 수학 관련 과학 개념의 수준 및 학생들의 인지 수준 분석: 2015 개정 교육 과정의 화학과 생물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Level of Mathematical Concepts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and Students' Cognitive Levels: Focused on Chemistry and Biology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양희선;조향래;강성주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8권1호
    • /
    • pp.15-30
    • /
    • 2024
  • 본 연구는 학생들이 과학 개념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학습을 회피하는 이유를 파악하기 위해 학생들의 인지 수준과 수학과 관련된 과학 개념이 요구하는 인지 수준을 분석했다. 먼저, 2015 개정 교육 과정의 수학 및 과학 교육 과정을 분석하여 중학교 과학 내용 중 수학과 연계된 부분의 학습 요소를 추출했으며, CAT (Curriculum Analysis Taxonomy)을 이용하여 학습 내용에서 요구되는 인지 수준을 분석했다. 화학의 경우, 수학과 관련된 총 20개의 학습 요소 중 12개가 초기 형식적 조작 수준(3A)의 이해가 필요하며, 3개가 후기 형식적 조작 수준(3B)의 이해가 필요했다. 3A와 3B에 해당하는 학습 요소들에는 비례 논리, 수리적 조작, 측정 기술에 관련된 사고 논리 유형이 많이 사용되는 것을 확인했다. 생물의 경우, 수학과 관련된 총 7개의 학습 요소 중 3개가 초기 형식적 조작 수준(3A)의 이해가 필요하며, 2개가 후기 형식적 조작 수준(3B)의 이해가 필요했다. 3A와 3B에 해당하는 생물 요소들은 상관 논리에 해당하는 학습 요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어 학생들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인지적 원인이 화학 영역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이는 GALT 축소본을 통해 분석된 형식적 사고가 가능한 중학교 학생의 평균 비율이 1학년의 경우 12.1 %, 2학년의 경우 16.6 %, 3학년의 경우 29.3 %임을 고려할 때, 학생들의 인지 수준에 비추어 수학과 연계된 화학 및 생물 학습 내용에서 요구하는 인지 수준이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초등교사들의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수학교과서의 효율적인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thods for Teaching Math Texts Applying Storytelling in Elementary School)

  • 허윤라;김용태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9-187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현재의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초등학교 1~2학년군 수학 교과서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와 2학년 아동들의 반응을 중심으로 스토리텔링 수학의 효율적인 지도방안을 알아본다. 이를 위하여 J교육청 산하의 초등학교교사와 초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스토리텔링 교과서의 도입취지와 같이 아동들의 평균 흥미도는 신장이 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업성취도가 아주 낮은 아동들과 아주 높은 아동들의 흥미도에는 별다른 효과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초등 교사 대부분은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교과서의 중요성은 잘 알고 있으나 아동들의 이해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잘 알지 못하며 특히, 많은 교사들이 스토리텔링과 수학적 개념과의 연결지도 과정에서 곤란을 겪으므로 스토리텔링 교과서를 충분히 이해하고 의미충실하게 지도하는데 도움이 되는 제도적인 장치가 필요하다고 한다. 그러므로 스토리텔링 교과서를 모든 교사가 지도하는데 용이하며 모든 아동들의 성취도를 높이는 데에 도움이 되는 방안이 필요해 보였다.

  • PDF

탐구지향 수학적 모델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xploration- Oriented Mathematical Modeling:)

  • 신은주;권오남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157-177
    • /
    • 2001
  • Modern society's technological and economical changes require high-level education that involve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and communication with others. Thus, today's perspective of mathematics and mathematics learning recognizes a potential symbolic relationship between concrete and abstract mathematics. If the problems engage students' interests and aspiration, mathematical problems can serve as a source of their motivation. In addition, if the problems stimulate students'thinking, mathematical problems can also serve as a source of meaning and understanding. From these perspectives, the purpose of my study is to prove that mathematical modeling tasks can provid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attach meanings to mathematical calculations and procedures, and to manipulate symbols so that they may draw out the meanings out of the conclusion to which the symbolic manipulations lead. The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regarding mathematical modeling and model are performed as a theoretical study. I especially concentrated on the study results of Freudenthal, Fischbein, Lesh, Disessea, Blum, and Niss's model systems. We also investigate the emphasis of mathematising, the classified method of mathematical modeling, and the cognitive nature of mathematical model. And We investigate the purposes of model construction and the instructive meaning of mathematical modeling. In conclusion, we have presented the methods that promote students' effective model construction ability. First, the teaching and the learning begins with problems that reflect reality. Second, if students face problems that have too much or not enough information, they will construct useful models in the process of justifying important conjecture by attempting diverse models. Lastly, the teachers must understand the modeling cycle of the students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models that the students have constructed from their classroom observations, case study, and interaction between the learner and the teach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