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ssons

검색결과 1,966건 처리시간 0.029초

드로잉 과제 활용 수업이 과학 영재들의 개념변화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Lessons with the Application of Drawing Tasks on Changes in Conception among Gifted Science Students)

  • 김순식;최성봉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99-108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드로잉 과제를 활용한 수업이 과학 영재들의 개념 변화와 과학에 대한 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드로잉 과제를 활용한 수업이란 학생들이 수업의 주제와 관련된 핵심 개념을 그림으로 표현한 후 이를 수업에 활용하여 학습자의 개념을 발전시켜 나가는 형태의 수업이다. 본 연구는 2008년 3월부터 10월까지 8개월에 걸쳐서 드로잉 과제를 활용한 수업을 받은 실험 집단과 일반 영재 수업을 받은 비교 집단 간의 사전 및 사후 개념 점수를 비교하여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개발된 수업의 효과가 영재학생들의 메타인지 수준,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력 수준, 과학탐구능력 수준에 따라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도 알아보았다. 드로잉 과제를 활용한 10차시 분량의 수업 절차는 Osborne과 Freyberg(1985)의 발생학습 모형을 기초로 하여 개발하였으며, 이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울산광역시 U영재교육원 중3과학반 60명의 학생들을 실험집단 30명과 비교집단 30명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은 드로잉 과제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였고, 비교 집단은 일반 영재수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드로잉 과제를 활용한 수업은 과학 영재의 개념을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이것은 동료 학생들의 드로잉과 자신의 드로잉을 서로 비교하고, 토론하는 과정에서 학습자의 개념 변화가 효과적으로 일어났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둘째, 드로잉 과제를 활용한 지각변동 수업의 효과는 과학 영재의 메타인지 수준에 관계없이 모든 과학 영재들의 개념 변화에 골고루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드로잉 과제를 활용한 지각변동 수업은 메타인지 수준에 관계없이 모든 과학 영재들의 개념 변화를 위해 적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셋째, 드로잉 과제를 활용한 지각변동 수업의 효과는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력 '중' 수준의 과학 영재에게 수업의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넷째, 드로잉 과제를 활용한 지각변동 수업의 효과는 과학 탐구능력 '중' 수준의 과학 영재에게 수업의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드로잉 과제를 활용한 수업은 과학 영재들의 개념 변화와 과학에 대한 태도 변화에 매우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많은 과학영재들이 수업 전에 자신이 가지고 있던 사전 개념을 드로잉으로 표현하는 학습활동에 높은 흥미와 관심을 보였으며, 다른 동료 학생들과 드로잉을 서로 비교하고 분석하는 학습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이러한 사실을 종합해 볼 때, 드로잉 과제를 활용한 수업을 적용하면 과학 영재들의 개념을 효과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학에 대한 태도 역시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

GeoGebra를 활용한 귀납활동이 초등수학영재의 증명능력 및 증명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ductive Activities Using GeoGebra on the Proof Abilities and Attitudes of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 권윤신;류성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6권2호
    • /
    • pp.123-145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GeoGebra를 활용한 귀납활동이 초등수학영재들의 증명능력 및 증명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영재교육원에서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초등수학영재 20명(실험집단 10명, 비교집단 10명)이고, 실험집단은 GeoGebra를 활용한 귀납활동 중심의 증명 수업을 하고, 비교집단은 GeoGebra를 활용하지 않은 일반적인 증명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실시 후 증명능력 검사와 증명학습태도 검사를 통해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증명 이전의 선행활동으로서의 GeoGebra를 활용한 귀납활동으로 학습한 실험집단은 전통적인 증명 학습을 한 비교집단보다 증명능력에 있어서 더 높은 성취도를 보였다. 둘째, 증명 이전의 GeoGebra를 활용한 귀납적 활동을 통해 증명 학습을 한 실험집단은 전통적인 증명 학습을 한 비교집단보다 증명에 대한 신념 및 태도에 있어서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탐구형 소프트웨어인 GeoGebra의 측정 및 끌기 기능을 통해 학생들이 도형을 변화시켜 불변의 성질을 탐구하며 가정 및 결론을 분리하여 직접 명제를 만드는 것이 증명 학습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Lessons from history

  • Walters, K.
    • Korea-Australia Rheology Journal
    • /
    • 제11권4호
    • /
    • pp.265-268
    • /
    • 1999
  • The main events i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Rheology are traced and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to the leading players, the controversies, the priority disputes and the nomenclature disagreements. Some of the lessons to be learned from the past are then highlighted and a positive assessment is given of the prospects for rheological research in the next millennium

  • PDF

현실주의 수학교육론에 근거한 비율그래프 지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aching of Ratio Graph based on 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

  • 윤재훈;류성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1권1호
    • /
    • pp.39-5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현실주의 수학교육 이론을 바탕으로 '비율그래프' 단원을 재구성한 수업이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성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봄으로써 교실 수업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6학년 학생 68명(실험반 34명, 비교반 34명)이었으며, 수업은 MiC 교재를 참고하여 재구성한 프로그램을 8차시에 걸쳐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실주의 수학교육론에 근거하여 재구성한 교재를 활용한 수업이 학습자의 수학 학업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현실주의 수학교육론에 근거하여 재구성한 교재를 활용한 수업이 학습자의 수학적 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황우석·김병준·이필상 사례에서 배우는 연구윤리교육적 교훈 (Research Ethics Education's Lessons Learned through Cases of Woo Suk Hwang, Byong Joon Kim and Phil Sang Lee)

  • 최용성
    • 철학연구
    • /
    • 제105권
    • /
    • pp.95-126
    • /
    • 2008
  • 최근 한국 사회는 학문 공동체에서의 연구위반 사례에 대해 잘 알게 되었다. 날조와 표절 등 연구윤리의 스캔들과 연관된 황우석 교수, 전 교육부 장관 김병준, 전 고려대 총장 이필상과 같은 이들에 의해 연구윤리는 중요한 사회적 이슈가 되었다. 먼저 서울대학교 황우석 연구자는 2005년도에 발표된 논문에 데이터의 날조와 변조 활용에 대한 책임을 완전히 시인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황우석 사례를 통해 배운 중요한 교훈으로 데이터의 날조 및 변조의 문제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연구윤리 규정의 필요성, 올바른 저자 표시와 공로배분 및 공동 연구자들의 책임감, 인간 인체 대상 실험과 불충분한 보호, 이해갈등이란 연구윤리의 문제 등을 제시하였다. 황우석 사건 이후의 중요한 연구부정 사례로서 김병준 사례가 있다. 김병준 사건의 교훈으로서 표절 자기표절의 기준 문제, 과거 표절 청산과 표절 기준 적용 시점의 문제 등을 제시하였다. 보다 최근의 고려대 이필상 사례는 연구부정행위의 조사 절차와 후속 조치의 문제, 연구지도의 문제, 바람직한 내부고발의 문제 둥을 교훈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사례들의 개요와 교훈에 대한 결론적 고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교훈을 제시하였다. 첫째, 연구윤리와 관련된 제도적 정비의 계기 마련이며 둘째, 언론 및 미디어의 역할 제고이다. 셋째, 연구윤리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성에 대한 모색이다. 정부나 대학 그리고 연구기관이나 학회들은 황우석 사건 및 그 이후의 사례들에서 보이는 여러 연구윤리에 대한 문제점들과 교훈들을 배우고 연구윤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가이드라인 그리고 제도적 방책들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과학교사의 과학의 본성(NOS) 수업에서 나타나는 특징 분석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탐구실험'의 맥락에서- (The Characteristics of NOS Lessons by Science Teachers: In the Context of 'Science Inquiry Experiment' Developed Unde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김민환;신해민;노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6권5호
    • /
    • pp.362-375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사의 NOS 수업을 직접 관찰하고 이 수업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탐구실험'의 수업에서 NOS를 가르치고 있는 과학교사 3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의 NOS 수업을 관찰하였고 수업의 전후에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분석적 귀납법과 지속적 비교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NOS에 대한 교사들의 전통적 관점이 수업 중에도 그대로 드러났으며 면담에서 현대적인 관점을 보이더라도 수업에서는 전통적인 관점으로 모순된 모습을 보이는 경우도 있었다. 세 교사가 가르친 NOS의 영역은 다양하였으나 '잠정성'은 모두 가르쳤으며 이를 중요한 목표로 생각하였다. 교사들은 주로 자신의 전공과 관련된 내용으로 NOS를 가르치고자 하여 NOS 교수는 교사의 전공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미지의 탐구 대상을 추론함으로써 NOS를 학습하는 활동에서 활동의 규칙과 달리 탐구 대상을 공개하기도 하였는데 이것이 오히려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는 견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은 NOS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나 NOS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지 않거나 제한된 방법으로만 평가를 실시하는 등 평가에서 부족한 모습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교육과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창의성 관점에서 본 제 7차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 규칙성과 함수를 중심으로 (Mathematical Creativity and Mathematics Curriculum: Focusing on Patterns and Functions)

  • 서경혜;유솔아;정진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7권1호
    • /
    • pp.15-29
    • /
    • 2003
  •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7th national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from a perspective of mathematical creativity. The study investigated to what extent the activities in the Pattern and Function lessons in the national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promoted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creativ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was limited in many way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creativity. Regarding the activities in Pattern lessons, for example, most activities presented closed tasks involving finding and extending patterns. The lesson provided little opportunitie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various patterns, apply patterns to different situations, or create ones own patterns. In regard to the Function lessons, the majority of activities were about computing the rate. This showed that the function was taught from an operational perspective, not a relational perspective. It was unlikely that students would develop the basic understanding of function through the activities involving the computing the rate. Further, the lessons had students use exclusively the numbers in representing the function. Students were provided little opportunities to use various representation methods involving pictures or graphs, explore the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various representation methods, or to choose more effective representation methods in particular contexts. In conclusion, the lesson activities in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were unlikely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creativity.

  • PDF

학습자 중심의 수업 분석 사례 연구 - 초등학교 STEAM 수업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a Learner-centered Class Analysis - Focus on STEAM Lesson in Elementary School -)

  • 정경화;신영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7권3호
    • /
    • pp.254-266
    • /
    • 2018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EAM lessons focused on the learner's learning. This study was conducted on 4th-graders in Y city, Kyung-gi province. The lessons were based on a joint teaching plan for students through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LC) with three teachers from the same school. Each of the three classes that conducted the class was selected and analyzed as the main center of observation by three students. The conclus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identified that different levels of learners are learning in STEAM lessons through a learner-centered class analysis. Some students arrived on their own by taking the initiative in class, others by consulting with a group of friends, and others needed active teacher guidance to learn. Second, Depending on the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some learning criteria were not reached. Some students need guidance at a glance level, and others need individually instructed or guided activities. Teachers need to keep an eye out for students and give them an appropriate level of guidance during class. In STEAM lessons, it appears that students of different levels and characteristics can immerse themselves in their own way, as well as the clear guidance of activity for their students.

청소년의 식행동과 심리적 요인이 피곤 자각도에 미치는 영향 (Contribution of Food Behavior an Psychological Factor to Perceived Tiredness in Adolescens)

  • 윤군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4권1호
    • /
    • pp.89-97
    • /
    • 2001
  • The relationship among food behavior, psychological factor(life strees) and perceive tiredness was investigated in 514 adolescents. Tiredness was measured in four cases: in lessons, before school, in the early evening and at weekends. Adolescents felt most tired in lessons and before school, and leat at weekends. Irregularity of meal times and skipping breakfas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iredness in lessons and befor school. Consumption of some foods was related to perceived tiredness. High sugar or fat containing ice-cream, hamburger of fizzy drinks in boys, and crisps and cookies in gir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iredness. Whereas beans and mushrooms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iredness in girls. Life stress(by scholastic problem and personal problem) of adolescents was positively related to tiredness. The contribution of stress to tiredness was much greater than of food behavior according to multiple linear regression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nutrients intake and tiredness in lessons and before school which were more strongly influenced by stress, whereas the relationship was found at weekend without influences of stress. The more tired, the lower NARs(nutrient adequacy ratio) of energy, phosphorus, vitamin A, vitamin B$_2$, and niacin were. In conclusion, some eating behavior and psychological factor can cause tiredness in adolescents, but tiredness in school and before school had more of a psychological cause than at weekend. (Korean J Nutrition 34(1):89-97, 2001)

  • PDF

초등학생의 안전사고예방을 위한 웹기반수업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Development and Effect Analysis of Web-Based Instruction Program to Prevent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Safety Accidents)

  • 정은순;정인숙;송미경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85-494
    • /
    • 2004
  •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a WBI(Web Based Instruction) program on safety for 3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test the effects of it. Method: The WBI program was developed using Macromedia flash MX, Adobe Illustrator 10.0 and Adobe Photoshop 7.0. The web site was http://www.safeschool.co.kr. The effect of it was tested from Mar 24, to Apr 30, 2003. The subjects were 144 students enrolled in the 3rd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in Gyungju.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WBI program lessons while each control group received textbook-based lessons with visual presenters and maps, 3 times. Data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chi}^2$test, t-test, and repeated measure ANOVA. Result: First, the WBI group reported a longer effect on knowledge and practice of accident prevention than the textbook-based lessons, indicating that the WBI is more effective. Second, the WBI group was better motivated to learn the accident prevention lessons, showing that the WBI is effective. As a result, the WBI group had total longer effects on knowledge, practice and motivation of accident prevention than the textbook-based instruction. Conclusion: We recommend that this WBI program be used in each class to provide more effective safety instruction in elementary sch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