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Ethics Education's Lessons Learned through Cases of Woo Suk Hwang, Byong Joon Kim and Phil Sang Lee

황우석·김병준·이필상 사례에서 배우는 연구윤리교육적 교훈

  • Received : 2008.01.05
  • Accepted : 2008.02.04
  • Published : 2008.02.29

Abstract

We are all too aware of the ravages of scientific misconduct in the Korean academic community. Plagiarism and fabricated research have become an important issue after many figures such scientist Hwang Woo-suk, former Education Minister Kim Beong-joon and former Korea University President Lee Phil-sang were involved in research ethics scandals. Recent case of falsified data is the instance of Seoul University investigator Hwnag Woo-suk admittted full responsibility for the fabrication and use of false data in a paper published in 2005. Another important lessons learned by Hwang case were that the need of international accepted standards about research misconduct, the matter of authorship, proper allocation of credit, respect for human subjects in scientific research and conflict of interests. And Education Minister Kim Byong-joon have drawn the attention of the general public to the issue of self-plagiarism. Important lessons learned by Kim case were that the need of clear criteria on what is considered plagiarism and historical application. Most recently, Korea University president Lee Phil-sang plagiarized his pupils' academic work. Important lessons learned by Lee case were that the need of after penalty about research misconduct, research mentoring, and desirable whistleblowing. And I suggested three major lessons learned by synthesized review. The fist is the need of public system and institution, the second is the role of media, and the third is the need and direction of research ethics education. The government, universities and research centers are aware of the matters and lessons learned about reseach ethics of Hwang, Kim and Lee cases. And they suggest to set up education programs, guidelines and institutional measures for research ethics.

최근 한국 사회는 학문 공동체에서의 연구위반 사례에 대해 잘 알게 되었다. 날조와 표절 등 연구윤리의 스캔들과 연관된 황우석 교수, 전 교육부 장관 김병준, 전 고려대 총장 이필상과 같은 이들에 의해 연구윤리는 중요한 사회적 이슈가 되었다. 먼저 서울대학교 황우석 연구자는 2005년도에 발표된 논문에 데이터의 날조와 변조 활용에 대한 책임을 완전히 시인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황우석 사례를 통해 배운 중요한 교훈으로 데이터의 날조 및 변조의 문제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연구윤리 규정의 필요성, 올바른 저자 표시와 공로배분 및 공동 연구자들의 책임감, 인간 인체 대상 실험과 불충분한 보호, 이해갈등이란 연구윤리의 문제 등을 제시하였다. 황우석 사건 이후의 중요한 연구부정 사례로서 김병준 사례가 있다. 김병준 사건의 교훈으로서 표절 자기표절의 기준 문제, 과거 표절 청산과 표절 기준 적용 시점의 문제 등을 제시하였다. 보다 최근의 고려대 이필상 사례는 연구부정행위의 조사 절차와 후속 조치의 문제, 연구지도의 문제, 바람직한 내부고발의 문제 둥을 교훈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사례들의 개요와 교훈에 대한 결론적 고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교훈을 제시하였다. 첫째, 연구윤리와 관련된 제도적 정비의 계기 마련이며 둘째, 언론 및 미디어의 역할 제고이다. 셋째, 연구윤리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성에 대한 모색이다. 정부나 대학 그리고 연구기관이나 학회들은 황우석 사건 및 그 이후의 사례들에서 보이는 여러 연구윤리에 대한 문제점들과 교훈들을 배우고 연구윤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가이드라인 그리고 제도적 방책들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