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ntinula edodes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28초

Availability of Sikhae Factory Wastewater as a Submerged Culture Medium for Lentinula edodes

  • Jung, Heon-Ho;Lee, Jae-Yun;Kim, Gi-Young;Park, Hyung-Sik;Nam, Byung-Hyouk;An, Won-Gun;Lee, Sang-Joon;Lee, Jae-Dong
    • Mycobiology
    • /
    • 제29권3호
    • /
    • pp.160-163
    • /
    • 2001
  • Sikhae is a Korean traditional beverage of saccharified rice. Its factory waste(SFW) is usually thrown away instead of being used. We developed a cheap substrate of SFW for use in liquid spawn that is known for its higher fruit body yields than grain spawn in sawdust cultivation. Mycelia of Lentinula edodes ASI 3046, which is regarded as the most suitable strain for sawdust cultivation, were cultured on six kinds of previous known media and SFW. As the seven kinds of media were applied, a Sikhae Factory Waste(SFW) was most excellent in growth. The dried mycelial weight in SFW was almost four times as much as that in the other media. In the flask culture, optimum culture conditions for the mycelial growth were obtained after 13 days of cultivation at media volume of 100 ml, 100 rpm, initial pH 4.5, and $25^{\circ}C$. The best mycelial growth was observed when $MgSO_4{\cdot}7H_2O$ and D-sucrose were added as a supplement in SFW. SWM must be a remarkable medium for L. edodes because of its simple preparation and low cost.

  • PDF

계방산, 오대산 및 지리산 야생 표고균주의 유전적 변이 (Genetic Variation of the Wild Strains of Lentinula edodes in Three Mountains of Korea)

  • 김둘이;박원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99-103
    • /
    • 2001
  • RAPD 검정법을 이용하여, 우리 나라에 자생하고 있는 야생 표고균주의 지역간 유전변이에 관해 분석하였다. 사용된 야생 표고균주는 계방산 수집 10개, 오대산 수집 11개, 지리산 수집 11개의 야생 표고 총 32균주를 사용하였다. Genomic DNA를 추출하여 10개의 random primer를 사용하여 PCR 증폭시킨 후 전기영동 한 결과 170개의 밴드가 관찰되었으며, 그중 다형성 밴드는 161개가 검출되었다. 이들 전기영동 상에 나타난 밴드의 유무(1,0)로 cluster 분석을 한 결과, 계방산과 오대산 표고균주들이 하나의 그룹으로, 나머지 지리산 표고균주들이 다른 하나의 그룹으로 형성되었다. 또한 AMOVA 분석결과 세 지역의 집단간 유전적인 차이는 12.5%를 나타내었고, 각 균주들 간에는 87.5%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계방산과 오대산 균주들은 그룹 내 분화가 큰 것이 주요 원인일 것으로 생각되며, 반면, 지리산 균주들은 계방산과 오대산과는 유전적 격리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참나무 톱밥배지의 살균 및 배양온도가 표고 균사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erilization and Cultivation Temperatures of Oak Sawdust Medium on Lentinula edodes Hyphal Growth)

  • 구창덕;이화용;이귀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1호
    • /
    • pp.77-82
    • /
    • 2012
  • 표고를 재배하기 위하여 톱밥배지를 $65^{\circ}C$로 저온살균하는 과정은 살균시설비용이 적게들고 배지성분도 보전되는 장점이 있으나, 오염 확률이 높아서 효과는 일정하지가 않았다. 본 연구는 참나무 톱밥배지의 저온살균 후 성공률이 높은 효과적인 배양조건을 알고자 하였다. 참나무톱밥배지를 $65^{\circ}C$, $100^{\circ}C$, $121^{\circ}C$로 살균한 후, 표고톱밥종균을 접종하고 $15^{\circ}C$, $20^{\circ}C$, $25^{\circ}C$, $30^{\circ}C$에서 배양하거나, 표고종균의 접종간격을 1 cm, 2 cm, 4 cm(표면적 비율은 4%, 11%, 25%)로 하여 표고균사의 생장과 배지의 오염정도를 비교하였다. 저온살균된 배지에서 표고균사생장은 배양온도 $25^{\circ}C$ 이하에서는 $100^{\circ}C$$121^{\circ}C$ 살균된 배지에서 처럼 양호하였으나, $30^{\circ}C$ 배양에서는 표고균사생장이 크게 위축되었다. 그리고 저온살균배지에서 표고종균 접종밀도를 1 cm 간격으로 하였을 때에는 배지가 표고균사로 완전점유되었으나, 2~4cm 간격 접종밀도에서는 14~33%의 배지가 오염되었다. 따라서 저온살균배지는 $25^{\circ}C$ 이하에서 25% 이상의 충분한 종균을 접종하여 배양하는 것이 성공적이라고 결론짓는다.

표고 지면재배용 참나무 톱밥배지의 분해와 갈변의 형태적 특성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Decomposition and Browning of Oak Sawdust Medium for Ground Bed Cultivation of Lentinula edodes)

  • 구창덕;이선정;이화용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85-9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표고톱밥 지면재배에서 참나무 톱밥 조직의 분해와 배지의 갈변 특성을 내외부 형태적으로 조사하였다. 표고균 접종 50일후에는 갈변이 시작되었다. 접종 110일 후 표고균사는 참나무 톱밥 목부조직내 도관, 목섬유, 유세포의 내외부에서 세포벽을 분해하고, 톱밥 표면에 밀집한 균사는 세포외벽을 부정형으로 분해하였다. 그동안에 흰색인 배지 표면 균사는 대부분 깨끗한 갈색으로 변하였고, 이 갈변층 두께는 약 0.34 mm로 표고균사가 치밀하였고, 그 아래에는 흰색의 활력있는 균사층이 있었다. 반면에 검정색 층은 두께가 약 1.17 mm로 미끈거리는 표면에는 세균과 잡균 균사 및 포자들이 점유하고, 그 아래에는 활력이 쇠퇴한 균사층이 존재하였다. 갈변표면의 경도는 약 $0.73kgf/cm^2$로 검정색 표면의 경도 약 $0.91kgf/cm^2$보다 물렀으나 탄력이 있었다. 표고 자실체는 표고균사 접종 150일 후에 밝은 갈색의 배지 표면에서는 발생하였으나, 검정색 표면층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표고 톱밥재배용 신품종 '농진고' 특성 (Characteristic of a new variety Lentinula edodes, 'Nongjin-go')

  • 문지원;이찬중;정종천;공원식;김길자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28-232
    • /
    • 2015
  • 모본 ASI 3305mut와 L5(3265-238701-2)-16을 2011년에 교잡하여, 2012년부터 2013년까지 생산력 검정시험을 통해 PM-L5(농진고)를 출원하였다. 농진고의 균사배양 최적온도는 $30^{\circ}C$이며, 버섯 발생온도는 $15{\sim}23^{\circ}C$로 중고온성이다. 자실체의 갓은 평반구형이며 색깔은 황갈색이고, 인피는 갓의 둘레에 생긴다. 버섯의 배양은 1.5kg 배지에서 최소 90~100일이 소요되며, 갈변이 다소 늦은 편이다. 버섯 발생형은 집중형이나 산조701에 비하여 초기 발생이 다소 늦으면서 개체수가 10개 내외이고, 주기별 발생이 고른 편이다. 톱밥 봉지재배 품종으로 지면 재배, 균상재배에서 모두 적합하다.

참나무시들음병 피해목을 이용한 표고 톱밥재배에 대한 연구 (Study on Sawdust Bag Cultivation of Shiitake (Lentinula edodes), using Oak Wilt-Diseased Logs)

  • 김세훈;서수영;장영선;유림;서상태;가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00-30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참나무시들음병 피해목을 이용해서 표고 톱밥재배 가능성을 알아보고 생산된 표고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았다. 총 3개 균주와 4가지 톱밥재료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생산량 검정 결과 고사목을 이용하여 재배한 모든 균주는 건전목과 통계적으로 비슷한 생산량을 나타냈으며 산마루2호를 제외하고 훈증목과 고사진행목을 이용하였을 때 건전목보다 생산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처리구에서 수확한 표고의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는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 FRAP, reducing power에서 훈증목이 다른 배지재료에 비해서 항산화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참나무시들음병 피해목의 이용 증진을 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참나무시들음병 피해목을 이용한 표고 톱밥재배 가능성과 생산된 표고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참나무시들음병 피해목을 활용한 톱밥재배 관련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의 표고 톱밥재배 품종의 에르고티오네인 함량 분석 (Analysis of the Ergothioneine Content in the Fruiting Bodies of Sawdust-cultivated Lentinula edodes Cultivars in Korea)

  • 김민준;정연석;김은진;장영선;가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01-31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국내 톱밥 재배 표고품종 24개를 같은 조건에서 배양하고 자실체를 발생시켜 형태적인 특성과 버섯의 대표적인 기능성 물질인 에르고티오네인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자실체 생산량과 형태적 특성은 품종별로 차이를 보였으며 에르고티오네인 함량이 높은 갓 부위의 경우 태향고와 산조713호가 각각 가장 크고 두껍게 측정되었다. 품종별 자실체 부위 에르고티오네인 함량 측정 결과 표고는 갓이 대보다 높은 에르고티오네인 함량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갓부위는 산조715가 kg당 1,225 mg으로 가장 높았고 대부위는 산조711가 kg당 753 mg으로 가장 높은 에르고티오네인 함량이 확인되었다. 갓부위의 에르고티오네인 함량이 kg당 1,000 mg 이상인 품종은 밤빛향, 산산향, 설백향, 태향고, 산조705호, 산조709호, 산조715호 그리고 산조716호로 이들 품종을 모균주로 선발하여 에르고티오네인의 기능성 강화 신품종 개발에 이용할 것이다.

표고 자실체 물 추출물과 베타글루칸이 한우 근육위성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entinula edodes water extracts and Lentinan on proliferation of myosatellite cell of Bos taurus Hanwoo)

  • 김소희;오세혁;박상훈;김은진;최정석;이화용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60-66
    • /
    • 2023
  • 표고는 전세계적으로 많이 생산되는 버섯 중 하나이다. 베타글루칸은 근아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증가시키며, 골격근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고 물 추출물과 표고의 베타글루칸인 렌티난이 한우 근육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표고 물 추출물의 베타글루칸의 함량은 85 ℃ 4시간 추출조건에서 약 15.20%, 100 ℃ 4시간 추출조건에서 약 13.64%, 40 ℃ 8시간 추출조건와 상온 24시간 추출조건에서 각각 약 9.48%와 약 8.21%였다. 표고 물 추출물을 한우 근육위성세포의 배양에 첨가하였을 때, MyoD 유전자는 40 ℃ 8시간, 그리고 100 ℃ 4시간 추출물에서 그리고 Myogenin 유전자는 40 ℃ 8시간 추출물에서 발현이 증가하였고, 증식과 활성은 무처리에 비하여 증가하지 않았다. 하지만, 근육위성세포의 배양에 렌티난의 첨가는 한우 근육위성세포의 세포분화와 근육형성에 관련된 Myogenin 유전자의 발현, 세포의 증식과 활성을 증가시켰다. 본 연구는 표고의 성분이 한우근육위성세포의 증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추가연구를 통하여 차후 버섯 산업 및 배양육 산업의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Ergothioneine Contents of Shiitake (Lentinula edodes) Fruiting Bodies on Sawdust Media with Different Nitrogen Sources

  • Jang, Yeongseon;Park, Jiheon;Ryoo, Rhim;Park, Youngae;Ka, Kang-Hyeon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00-102
    • /
    • 2016
  • Ergothioneine is a natural compound with strong antioxidant propertie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different nitrogen sources including ammonium nitrate, ammonium sulfate, sodium nitrate, and histidine in sawdust media were investigated to enhance ergothioneine contents in Shiitake (Lentinula edodes) fruit bodies. The addition of 0.2% ammonium sulfate in the growth media showed the highest enhancement of ergothioneine content in shiitake fruit bodies which was 1.7-fold higher than the control. On the other hand, histidine, a building block of ergothioneine decreased the concentration of ergothioneine significantly.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cultivation of shiitake in sawdust media with suitable nutrients was effective to enhance its ergothioneine contents.

표고골목에서 발생한 미기록 Hypoxylon sp., 회색버짐버섯(가칭)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an Unrecorded Hypoxylon sp. Occurred on the Bed-log of Oak-mushroom in Korea)

  • 박원철;이봉훈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70-172
    • /
    • 2002
  • An unrecorded Hypoxylon sp. was observed on the bed-log of oak-mushroom (Lentinula edodes) in Korea. The stroma of the fungus was formed on the bed-log (Quercus spp.) damaged by Korean squirrel (Sciurus vulgaris coreae). Perithecia were $200{\sim}400{\mu}m$, and asci containing 8 ascospores were $7{\sim}8{\times}150{\sim}230{\mu}m$ in size. Paraphysis was cylindrical shape, Ascospores were $5{\sim}9{\times}12{\sim}17.5{\mu}m$ in size, pale brown to dark brown, elliptical, and smooth. They have germination cleft and $1{\sim}2$ oil dropl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