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earning styles

검색결과 273건 처리시간 0.024초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의 상호작용 과정과 메를로 퐁티의 몸 현상학 (The Intercommunication Process of Interactive Media Art and Merleau-Ponty's corporeity phenomenology)

  • 하임성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29호
    • /
    • pp.77-102
    • /
    • 2012
  • 디지털 시대의 도래는 상호작용 미디어 아트의 비약적인 발전을 야기시켰다. 특히 관객이 작품과 분리된 대상으로 존재하던 전통 미술의 형식에서, 관객이 직접 작품 내에 접속하여 상호작용하고, 그 세계 내 일부, 주체로 활동하게 됨은 타 미술장르와 구별되는 그것만의 독자적인 특성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의 상호작용 과정들을 분류화 하여, 메를로 퐁티의 몸 현상학 이론들과 비교하고 그 의미를 고찰함에 있다. 메를로 퐁티의 몸 현상학은 대상/세계, 의식/정신, 주/객 등 이항대립적 사유가 만연하던 서구 지성사를 몸을 통한 통합적 인식을 주장하며 그 한계를 뛰어 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세계와 주체의 새 시각을 견지한 메를로 퐁티의 몸 현상학 이론을 미디어 아트의 상호소통 과정의 세부 요인들과 비교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미디어 아트의 상호작용 과정을 <작품 구성, 감상의 주요 요인인 관객의 신체>, <작품 감상방법의 현존적 체득>, <정해진 프로그램 내의 유영>, <통합되는 감각>, <가상세계 내에서 활동>으로 세분화하고, 이를 메를로 퐁티의 몸 현상학 이론 중 <몸틀>, <습관의 획득>, <몸의 구조화>, <지평의 종합>, <세계-에로-존재> 개념들과 비교하여 상호 유사점 및 의미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미디어 아트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도출되는 신체성, 공감각성, 다중감각, 공간성 등은, 타 미술장르 및 미니멀리즘 미술양식보다 더욱 메를로 퐁티의 몸 현상학 이론들과 일맥상통함을 명료하고 세세하게 밝힐 수 있었고, 이를 통해 현대 상호작용 미디어 아트의 연구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독해·영작 중심의 교양영어프로그램이 한국 대학생의 영어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xploring the Effects of Reading & Writing English Program on Self-Efficacy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 신영헌;현일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99-106
    • /
    • 2020
  • 성공적인 외국어 학습을 위해 필요한 요소 중 하나로 자기효능감이 주목받아 왔지만, 이와 관련된 연구 중 다수는 중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들이다. 본 연구는 영어 독해와 작문 중심의 교양영어프로그램이 대학 신입생들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교양영어프로그램을 수강하는 중급반 학생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설문을 실시하였고, 해당 학생들을 지도하는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영작 지도 유형을 파악하기 위한 인터뷰도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의 사전-사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test로 분석하였으며, 일원분산분석으로 교수자의 지도 유형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독해·작문 중심의 교양영어프로그램이 중급반에서 영어를 학습하는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교수자의 영작과제 부여 횟수와 운영방식에 따른 차이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신입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양영어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성공적인 학습 경험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과제 개발과 효과적인 교수자의 피드백 방식 등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며, 이는 학습자의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데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인 교양영어 수업 모델 개발로 이어질 것이다.

웹 기반 학습에 있어서 공간 지각력과 정보제공 창의 형태 간의 관계 분석 (A STUDY OF SPATIAL ABILITY AND WINDOW PRESENTATION STYLES IN WEB-BASED INSTRUCTION)

  • 임연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649-659
    • /
    • 2005
  • 공간적 표현에 대한 지식은 공간적 배열의 특징과 그 특징들 사이의 관계를 그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인지하는 방식과 연관이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웹기반 교육에 있어서 두 가지의 정보제공 창의 형태(타일창, 단일창)를 학습자의 공간지각력과 연관지어서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공간지각력과 정보제공 창의 형태에 대한 상호작용을 학생들의 인지적 지식의 습득도를 통해 조사, 연구하기 위해 미국 펜실베니아 주의 Falk School에 재학 중인 71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공간지각력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두 실험 집단으로 나누어 과학내용에 관한 웹기반 수업을 실시하였다. 사후검사를 통해 학생들의 인지적 지식의 습득도가 측정되었고 이는 다변량 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한 바에 의하면, 공간 지각력은 사후 검사 점수에 명백하게 통계적으로 유의한 주효과를 보였다. 이 같은 결과는 전체표본과 부표본에서 모두 나타났다. 웹 기반 학습에서의 아동들의 인지적 지식의 습득도는 그들의 공간지각력과 정(+)의 관계가 있으며, 공간지각력과 정보 제공 창의 형태 사이에 상호 작용의 패턴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웹 기반 학습에 있어서 공간지각력이 낮은 학생들은 타일창에서 인지적 지식의 습득도가 더 높게 나타났고 공간지각력이 높은 학생들은 단일창에서 인지적 지식의 습득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 PDF

중학생들의 학습 양식과 과학에 대한 태도에 따른 한자기반 지구과학용어에 대한 이해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Earth Science Terms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in Different Learning Styles and Attitudes toward Science)

  • 정진우;조현준;박숙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4-34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9학년 학생들의 학습 양식과 과학에 대한 태도에 따라 한자기반 지구과학용어에 대한 이해 수준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위해, 과학과 성취수준이 중간 순위 학생 8명을 선발하였으며, 이들을 시각적 학습자이자 과학에 대해 높은 태도를 가진 학생, 시각적 학습자이자 과학에 대하여 낮은 태도를 가진 학생, 언어적 학습자이자 과학에 대해 높은 태도를 가진 학생, 언어적 학습자이자 과학에 대해 낮은 태도를 가진 학생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이들의 한자기반 과학용어에 대한 이해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한글 표기형, 그림 표현형, 한자 음 훈 병행 표기형의 형태로 세 가지 형태의 질문지가 개발되었다. 이 질문지들로 9학년 학생들의 응답 자료를 수집한 결과, 학습 양식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한글 표기형이나 그림 표현형 보다는 한자 음 훈 병행 표기형에서 높은 이해수준을 보였다 따라서 중학생들에게 한자기반 과학용어를 제시할 때 한자의 음과 훈을 동시에 제공한다면 학생들의 과학용어 이해에 효과적일 것이다.

아동복지시설 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ocial Skill Enhancement Group Counselling Program for children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 이대규;변상해;문인숙;정의정
    • 벤처창업연구
    • /
    • 제5권1호
    • /
    • pp.113-127
    • /
    • 2010
  • 본 연구는 시설 아동에게 맞는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서울특별시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4학년부터 6학년 아동선택 후 각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분하여 실험집단에게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희망하고 시간이 가능한 아동 10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여 6주 동안 총 12회의 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시설 아동의 자기주장, 협력, 자기 통제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의미 있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본 프로그램은 아동의 사회적 기술 증진에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둘째,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아동의 자기주장, 협력, 자기통제 행동 반응이 증진되어졌음을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시설 현장에 활용 할 수 있으며 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지리 용어에 대한 학습자의 블러핑(Bluffing)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Student's Bluffing on Geographical Terms)

  • 장의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615-632
    • /
    • 2014
  • 본 연구는 서답형 문항의 채점에서 평가의 객관성, 타당성,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주제의 하나인 블러핑 문제를 탐구한 것이다. 먼저 연구자는 블러핑의 개념과 주요 유형을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이론적 수준에서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지리 교과의 주요 용어를 사례로 학습자의 블러핑 전략과 유형을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기존의 연구 보고와 비교할 때, 본 연구에서 밝혀진 전체 학생들의 평균적 블러핑율은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남녀 학생의 블러핑율이 유사하다는 점, 최고 성적 집단의 블러핑율이 가장 낮았다는 점은 기존의 연구 보고와 유사하였다. 블러핑의 실제 유형은 크게 '발문의 반복 서술형', '기존 지식 편중형', '추상적 개념 활용형', '채점자 공감 유도형'의 네 가지로 구분되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보다 타당성과 신뢰성이 있는 서답형 문항 채점을 위해 몇 가지 시사점 및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블러핑과 학생들의 성별 및 학령, 학습 성적 및 지적 수준, 학습자의 학습 스타일 등과의 관계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블러핑 유형과 사례 분석 내용이 포함된 서답형 문항 채점 매뉴얼 개발 보급 및 채점 관련 연수가 확대되어야 한다. 셋째, 일반적인 블러핑 유형 외에 지리 영역의 특수한 블러핑 유형을 탐구하는 실증적인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 PDF

소나무 상징성에 대한 헤어아트 연구 (The Study of Hair Art about the Symbolism of the Pine)

  • 채선숙;이중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538-544
    • /
    • 2007
  • We usually try to accomodate ourselves to our nature surroundings interacting with nature. There fore I've decided to apply nature materials, esp. the pine to Hair Art as a way of expressing our feelings from Nature. 'Hair Art' is a follow-up study based on the various artistic point of view. There has been various works of 'Hair Art' with nature materials. However, it is rare to see a work of 'Hair Art' with the pine. That's why I've decided to study more about this. This study is a new experiment in 'Hair Art' against a conventional idea "Hair Art values practicability." Therefore,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is to do much for the cause of learning in 'Hair Art' and encourages some development of 'Hair Art' industry. I've researched an image of a pine tree in art of Joseon Dynasty and contemporary art. Then I've tried to apply the image to a work of 'Hair Art'. First of all, in a view of expression technique for the symbolism of the pine, the artists in Joseon Dynasty drew pictures of a pine tree with a paintbrush but the modern artists make a new attempt from the thought of Modernism. We can find it in some photos. Next, to express traditional oriental idea such as 'unconventional and elegance', comtemporary artists chose the symbolism of the pine tree as an object of their works like pen and ink sketches from the thought of Modernism. Third, in a fusion style picture which contains features of both oriental paintings and western paintings and in a sexualism style picture that depicts a harmony of a male and a female as a shape of a pine, we can find colorful images of a pine tree and Their figurative beauty in art. Those are another symbols of the pine. In conclusion, the implication of the pine tree still hasn't changed even there are differences of drawings of pine tree in the past and the present. I've tried to combine these symbolic ideas of the pine with 'Hair Art' and made 5 hair styles. Throughout the process of researching this topic which is 'The Study of Hair Art Using The Symbolism of The Pine', I've realized that pine trees make it possible to express intrinsic tough spirit of human being and abundance in color and figurative beauty in art. I hope this can contribute to the field of 'Hair Art' and would become an important educational resource for further study.

과학 탐구활동지 만들기 수업 프로그램이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Scientific Inquiry Worksheet-making Class Program o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 김동렬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2호
    • /
    • pp.261-27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교 초등과학교육론 수업에서 과학 활동지 만들기 수업 프로그램을 통해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교육대학교 3학년에 재학중인 예비교사 14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탐구활동지 만들기 수업 프로그램은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를 개선시켰으며, 과학에 관한 지식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에 도움을 주어 장래 학교에서 과학을 가르치는 일을 더 즐거운 것으로 느끼게 만들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과학 탐구활동지 만들기 수업 프로그램은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즉, 탐구 기반 학습 유형을 중요한 과학 수업의 과정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학 탐구활동지 만들기 수업 프로그램이 현장에 가서 어떠한 도움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개방형 질문 결과, 수업모형의 활용 방안 측면에서 도움이 된다는 반응이 가장 많았고,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지식이나 탐구과정 이해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 PDF

행위기법을 중심으로 한 알코올의존 재발방지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 Relapse Prevention Program for Alcoholics focused on Action Methods)

  • 노인숙;김성재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10권1호
    • /
    • pp.27-40
    • /
    • 2004
  • Relapse is one of the most series problems in alcoholics treatment.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significant proportions of treated alcoholics show an early relapse and go through a chronic phase. It is necessity to find more effective relapse prevention progra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relapse prevention program that emphasis on group activities using various action methods. Previous studies revealed that there was no effective therapeutic strategy to prevent relapse and proposed that action methods were more practical ways to be able ti cope with high-risk situation than verbal methods such as discussions and lectures. The special attempt of this program was the application of various actions methods and the integration of many psychosocial therapeutic strategies as compared with many relapse prevention programs.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is relapse prevention program was based on mainly the Marlatt's Relapse Prevention model and Prochescha and DiClemente's Transtheoretical model. This Program consists of eight structure sessions. Every session has three phase: Warm-up phase, action phase, and sharing phase as sociodrama structure. Sociodrama is based on many of the principles of adult learning. And sociodrama looks at how groups work through an understanding of systems and role theory. Therefore, in working with a group a therapist might explore with them the roles that people play, roles that are missing at present such a visionary and how people can develop new roles or new ways of playing existing roles. The researchers explai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all participants after their agreement to participate. Voluntary informed consent was obtained from all participants. Every session allows participants to recognize personal specific high-risk situation and to examine possible coping behaviors creatively. Multiple solutions can be proposed, tested and evaluated dramatically, giving new insights or breakthroughs in thinking. This is vital for the initiation of change, and if appropriate, expanding new role development. The first two sessions aim at understanding of relapse process and recognize of high-risk situations focused on orientation about action methods. The next four sessions deal with high-risk situations. The last two sessions give participants opportunities to venture new life-styles. The methods and approaches used in this program utilized as a tool to explore and practice possible coping strategies. and this program can contribute to prevent relapse episode if tune with the particular high-risk situation by using active practices in safe environment.

  • PDF

제 6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보건교육 시간 수 및 내용의 분석 (A Study on Health Education Hours and Contents of the 6th Grade Primary School Curriculum)

  • 유재순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3-84
    • /
    • 2000
  • Primary school is regarded as an important period when many health-related behaviors and life-styles begin to be formed. Acquiring them through school heath education has a strong influence on the health promotion of not only the family but also the community. Primary school health education in Korea has a systematic flaw in that health-related subjects are divided and taught under various subjects in primary school. In order to develop a proper school health curriculum, it is essential to assess what is currently being taught. In this study the current health education of the 6th grade primary curriculum was investigated to improve school health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health education contents and time in textbooks of the 6th grade primary school curriculum. In this study, the textbooks & teacher's teaching manuals of the 6th grade curriculum were analyzed with a health instruction framework for Korean schools developed by the Korean Nurse Association & Korean School Health Education Association in 1993 and health care framework for health education curriculum presented by Kim in 1991.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Health education hours of the curriculum are 206 hours, about 34.3 hours a year. 2) The contents of health education were divided into nine subjects at primary schools. Organizing principles of learning experience(eg, integrity, sequence and continuity) were not considered sufficiently. The physical education & natural science subjects include a lot of health education contents. 3) The major content areas are community & environmental health areas and daily healthy life areas. 4) The major areas at each grade level are daily healthy concerns and safety & first-aid 5) The remarkable contrast to the 5th primary school curriculum are that environmental health is offered to the first grade step by step, and that drug use & abuse and mental health education are included in the 6th primary school curriculum. 6) The main contents of health education in 1st, 2nd. and 3rd grade curricula consist of treatment & recovery health functions. Those of the 4th grade curriculum consist of treatment & recovery health functions, and daily healthy life functions. Those of the 5th grade consist of growth & development functions. Those of the 6th grade consist of treatment & recovery health, growth & development functions. Most health care functions belong to physical health care. The results above suggest that we put together the divided contents of health education and manage them on the basis of systematic integr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