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participation

검색결과 1,064건 처리시간 0.037초

비대면 실기 수업 적용 교수법이 학업성취도와 학습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디자인 수업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Teaching Methods Applied to the Remote Practical Technique Classes on Learning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 Focusing on Design Classes)

  • 이희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697-710
    • /
    • 2022
  • 본 연구는 비대면 실기 수업에서 효과적인 교수법이 학습 참여도와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일러스트레이션 디자인 교과목 실습수업을 소재로 한 사례 탐구와 함께 설문조사를 통한 자료의 수집 및 분석을 시행하고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측정 도구는 원격 실기 수업, 학습 참여도, 학업성취도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및 AMOS 프로그램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교육은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참여도에 부(-)의 영향으로 나타났다. 둘째, Flipped Learning은 인지적 참여와 정서적 참여에 정(+)으로, 행동적 참여도에는 확인되지 않았다. 셋째, PBL은 정서적 참여, 인지적 참여 및 행동적 참여 모두에 정(+)으로 나타났다. 넷째, 동영상은 인지적 및 정서적 참여도에 유의한 영향은 없었고, 행동적 참여도에만 정(+)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지적 참여도만 학업성취도에 정(+)의 영향, 정서적 및 행동적 참여도는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PBL 방식과 Flipped Learning을 중심으로 실제 수업에 결합하고 VR 콘텐츠 제작 방식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라는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평생교육 참여유형별 시민참여교육 참여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for the Participation in Citizen Participation Education by Types of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 Focusing on Chungcheongnam-do)

  • 정재헌;임세영;강현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331-340
    • /
    • 2018
  • 본 연구는 '2016 충남도민 평생교육요구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시민참여교육 기초실태를 분석하고, 영역별 평생교육 참여 관심과 참여의사를 유형화 하여 유형별 시민참여교육 참여관심과 참여의사 비교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충남의 시민참여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16 충남도민 평생교육요구조사 4,108명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평생교육 참여 관심과 참여의사에 따라 3개의 하위 집단으로 유형화 되었고, 학습누리형, 학습편중형, 실버학습형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학습누리형 집단은 평생교육영역 전반에 걸쳐 참여하면서 즐기는 집단이다. 학습편중형 집단은 보편적으로 평생교육이 직업능력교육, 문화예술교육, 인문교양교육에 한정되어 있다고 인지하는 집단으로 3가지 분야에만 관심과 참여의사가 있는 집단이다. 실버학습형 집단은 전형적인 노인학습자의 특성을 보이고 있는 집단으로 문화예술교육에 참여가 집중되고 있는 집단이다. 셋째, 학습누리형 집단은 참여경험이 두번째로 많고, 참여관심과 참여의사가 가장 높은 집단이며, 학습편중형집단은 가장 많은 집단이며, 참여관심과 참여의사는 두 번째로 높은 집단이다. 실버학습형 집단은 참여경험, 참여관심, 참여의사가 가장 낮은 집단이다. 마지막으로 평생교육분야에서 시민참여교육 활성화 방안을 유형별로 제시하였다.

Participation Metaphor for Learning and Its Implication for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 Oh, Phil-Seok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40-148
    • /
    • 2006
  • 이 연구는 학습에 대한 참여 비유(participation metaphor, PM)의 의미를 알아 보고 과학 교수 학습에의 시사점을 탐색하기 위한 이론 연구이다. 문헌 고찰을 통하여 참여 비유가 공동체 내에서의 사회 문화적 활동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학습으로 보는 관점과 맥을 같이 하며, 인지적 도제(cognitive apprenticeship)가 참여 비유와 밀접하게 관련된 수업 모형이라는 것을 살펴 보았다. 이를 토대로 참여 비유에서 주장하는 것과 같은 과학 교수 학습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과학 학습자 공동체의 육성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과학 학습자 공동체의 한 사례로서 어느 고등학교의 과학 클럽 활동을 간략히 소개하였으며, 앞으로의 과학 교육 연구에서 고려해야 할 점들을 진술하였다.

플로우 경험과 인터넷 중독이 이러닝 참여에 미치는 영향 (An Empirical Study on E-learning Participation Affected by Flow Experience and Internet Addiction)

  • 이주양;장필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8호
    • /
    • pp.341-34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 환경에서의 학습참여도에 플로우 경험과 인터넷 중독이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학습참여도는 이러닝 웹 로그 분석을 통해 학습컨텐츠 접속횟수, 접속시간 및 지연시간(컨텐츠 업로드 시간과 접속시간의 시차)을 산정하여 활용하였으며, 이러한 학습참여 변인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또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플로우 경험은 모든 이러닝 참여 관련변인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 중독은 지연시간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더 자주, 더 오래 학습컨텐츠에 접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닝 참여 변인 중에서는 접속횟수와 지연시간이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e-Learning 2.0 환경에서의 학습자 중심의 자기주도적 학습 시스템 (A Self-Directed Learning System of the Learner center e-Learning 2.0 Environment)

  • 성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687-690
    • /
    • 2007
  • 최근 웹2.0기술의 보급 확대로 개방과 참여, 공유를 의미하는 블로그, UCC 등과 함께 2.0시리즈가 대중화되고 있다. 그동안의 e-Learning이 강사주도형, 지식전달형으로 많이 치우쳐 이러닝에 학습자들의 참여가 저조한 실정이었던 반면, 웹2.0기술을 활용한 e-Learning 2.0은 이러한 한계를 뛰어 넘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e-Learning도 웹2.0을 잘 적용해 학습자들의 참여와 공유를 바탕으로 이러닝 2.0 시스템의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e-Learning 2.0은 참여와 공유를 바탕으로 학습방법이나 노하우, 정보, 요약 노트를 주고받으면서 획기적으로 공부의 효율성을 서로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PDF

문제중심학습 교육을 받고 있는 간호학생의 학습유형에 따른 참여도와 학업성취도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by Learning Styles in Problem Based Learning)

  • 김지윤;최은영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00-206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nursing students' learning styles and relationship of learning style to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Method: The study participants were nursing students in C college learning through problem based learning (PBL).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Kolb's learning styles. Performance evaluation and paper examination were used to evaluate academic achievement. Results: Most of the students had converger type learning style. Student with a tendency to abstract conceptualization, such as converger type and assimilator type, preferred discussion and presentation. The students with converger type learning style participated and achieved better than students with diverger style.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learning style was related to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refore in order to use PBL effectively, facilitators should consider students' learning styles.

  • PDF

대학생의 개인특성이 학습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individual traits on learning activity participation)

  • 이성주;김경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249-256
    • /
    • 2017
  • 본 연구는 융복합교육 실천에 관심을 두고, 대학생의 개인특성(성별, 학년별, 전공별)에 따라 학습활동참여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실행되었다. 이를 위해 학습활동 유형을 교수주도형, 교수개입형, 또래리더형, 학생상호형으로 구분하여 학습자 특성별 학습활동 참여 유형 차이를 살펴보았다. 학습자 특성에 따른 학습활동 참여 차이를 살펴보기 위한 교차분석 결과, 학습자 개인특성별로 학습활동 참여 유형에 차이가 있다. 성별로는 여학생, 학년별로는 1학년, 전공별로는 보건복지계열의 참여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온라인 문제기반학습에서의 학습행태 분석: 학습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Investigating Learning Type in Online Problem-Based Learning: Applying Learning Analysis Techniques)

  • 이성혜;최경애;박민서;한정윤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77-90
    • /
    • 2020
  • 본 연구는 온라인 문제기반학습에서 학습자의 학습행태에 따른 학습유형을 파악하고 각 학습유형의 특징을 조사하여 효과적인 온라인 문제기반학습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6주 동안 K대학에서 운영된 문제기반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1,341명의 초·중학생의 온라인 활동 데이터가 수집되었고, 이를 통하여 학습자들의 학습행태를 나타내는 48개의 변인이 추출되었다. 추출된 변인은 학습자들의 학습유형을 구분하기 위한 계층적 군집분석 기법에 활용되었으며, 구분된 학습유형에 따라 학습행태와 학업성취도 측면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의 온라인 학습유형은 학습참여 수준에 따라 '고수준 학습참여형(군집 1)', '중수준 학습참여형(군집 2)', '저수준 학습참여형(군집 3)'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학습참여 수준이 높은 군집이 높은 학업성취도를 얻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문제기반학습을 효과적으로 설계·운영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학습자 특성에 따른 학습공동체 참여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arning Community Participation According to Learner Characteristics)

  • 김경희;최주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199-20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학습자 특성과 학습공동체 참여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공동체 유형은 교과연계형 학습공동체를 전공기초 학습공동체와 전공심화 학습공동체로 구분하였으며, 학습자 특성을 성별, 학년별, 전공별로 분류하였다. 학습자 특성에 따른 전공기초 학습공동체와 전공심화 학습공동체 참여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학생의 전공기초 학습공동체, 전공심화 학습공동체 참여가 남학생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학습 공동체 참여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기초 학습공동체의 경우 1학년과 2학년의 참여 비율이, 전공심화 학습공동체의 경우 3학년과 4학년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전공기초 학습공동체와 전공심화 학습공동체 모두에서 보건복지대학의 참여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이러닝 학습자들의 사회비교동기 유형에 따른 EngageGram이 학습참여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ngageGram on e-Learning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Learners' Social Comparison Motive)

  • 진성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652-661
    • /
    • 2015
  •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사회비교동기 유형에 따라 이러닝 참여도 동기부여자인 EngageGram이 학습자들의 이러닝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에 참여한 학습자들은 A대학교 '창의적 사고' 교과목을 수강한 144명(남: 106명, 여: 38명)이다. 학습자들의 사회비교동기는 사회비교동기 척도를 활용하는 방법과 학습자들이 이러닝 학습상황에서 EngageGram을 보고 든 느낌이나 생각을 적도록 한 의견을 분석함으로써 사회비교동기 유형을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비교동기 척도를 활용한 경우, 학습자들의 사회비교동기 수준과 이러닝 참여도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러닝 학습맥락에서 수집한 학습자들의 의견을 분석함으로써 도출한 사회비교유형에 따른 이러닝 참여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은 학습상황에서 대체로 자기보다 참여도가 높은 학습자들을 비교대상으로 선정함으로써 참여동기가 촉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학습분석연구 분야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하리라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