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materials

검색결과 2,019건 처리시간 0.024초

중학교 기술.가정과 옷차림 단원 학습을 위한 e-러닝 시스템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e-Learning System for the Dress Unit in the Subject of Technology & Home Economics in the Middle School)

  • 이영림;조현주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45-60
    • /
    • 2009
  • 본 연구는 중학교 기술 가정과 옷차림 단원을 위한 e-러닝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학습자의 흥미와 이해를 높여 보다 효과적인 교수 학습활동을 할 수 있게 하고 기술 가정 의생활 영역에 대한 e-러닝 개발의 기초자료가 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구체적인 상황학습의 효과와 보다 현실감 있는 학습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학습내용을 학습자가 직접 클릭해서 조작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고 학습자의 주의와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의류 쇼핑몰의 최신 의복자료를 이용하여 개성 있게 코디하는 방법 등을 제시하고 또래들의 패션 사진을 사례에 맞게 적절히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뮬레이션 조작과 가시적 관찰을 할 수 있는 학습 자료의 구현으로 보다 쉽게 학습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텍스트 보다는 오디오와 이미지, 동영상 자료를 많이 사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교수 학습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셋째, 옷차림 단원 학습은 특히 유행과도 관련이 있는데 멀티미디어가 갖는 현실감 있고 생동적인 교육 자료를 시의 적절하게 제공함으로써 e-러닝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였고 학습내용을 학습자 자신의 실생활과 관련된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제시함으로써 학습자의 동기유발이 되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옷차림 단원의 학습에 있어 본 연구에서 사용한 저작도구 뿐 만 아니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저작도구를 활용한 e-러닝 콘텐츠 개발의 추가적 연구 활동과 풍부한 수업자료의 확보를 위한 교수 학습 자료의 DB 구축을 제언한다.

  • PDF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정보콘텐츠의 구조에 관한 연구 -영국 TNA와 미국 NARA를 중심으로 (A Study on structures of Archival Contents for Teaching-Learning Materials-Focusing on the TNA of UK and the NARA of USA)

  • 이은영
    • 기록학연구
    • /
    • 제28호
    • /
    • pp.83-121
    • /
    • 2011
  • 해외 보존기록관리기관이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용 프로그램 서비스는 이제 주요 서비스 메뉴이다. 국내의 여러 선행연구에선 해외의 교육용 프로그램 서비스 사례를 앞 다투어 소개하고 벤치마킹의 필요성을 주장하여 왔지만, 관련 프로그램의 소개 수준에 그치면서 심층적인 사례 분석은 미흡한 감이 없지 않았다. 이에 본 논문은 보다 심층적인 사례 분석을 통하여 교수 학습자료용 기록정보콘텐츠의 내용 구성 및 구조적 특징을 조명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먼저, 영국 TNA의 교육 사이트를 개괄하고, 주요한 교수 학습자료용 콘텐츠인 '토픽' 메뉴에서 '냉전' 콘텐츠를 샘플로 선택하여 그 내용 구성 및 구조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미국 NARA의 경우도 교육 사이트를 개괄하고 주요한 콘텐츠인 '기록 수업' 메뉴의 '매카시' 콘텐츠의 내용 구성 및 구조적 특징을 분석하여 일반화하고자 하였다. 해외의 교수 학습자료용 기록정보콘텐츠의 구조를 심층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교과서와 같은 일관성 있는 내용 구성 체제로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일차 사료를 원활하게 해독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비용 문제를 고려하여 기록정보콘텐츠를 학령별, 교과 간에 연계 활용 할 수 있는 방식으로 개발해야 한다. 넷째, 일차 사료 선별 시 텍스트가 포함된 문서 사료를 우선으로 선별한다. 다섯째, 교수 학습자료용 기록정보콘텐츠는 반드시 교육 과정과 연계해서 개발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활용을 촉진하도록 한다.

수학적 의사소통과 수학의 교수-학습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Mathematics Learning-Teaching)

  • 유현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2권1호
    • /
    • pp.53-72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oretically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to search effective teaching-learning materials to develop it. This study has the content on relation of learning & communication, the qualitative examination of student's response in some mathematical communication tasks and materials of teaching mathematical communication.

  • PDF

교과서를 재구성한 수준별 학습지의 개발과 적용을 통한. 자기학습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to Improvement of Self-Educability through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Level-Learning Materials Reconstructed Text Book - Simultaneous Equations of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

  • 박기석;송원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69-82
    • /
    • 2000
  • Mathematics is the subject that requires high mental function such as the ability of logically thinking and investigating. Because of the reason there exists much greater difference in students' individual scholastic abilities in mathematics class than in other classes. Recently many schools organize students into two or three level-based mathematics classes according to each student's level to solve the problem. But in spite of its many merits the new system of class organization has some problems. The problem which is pointed out as the most serious thing frequently is that many teachers still use the same textbook and the same teaching method for all students, not considering student's level. Obviously it causes the reduction of students' interest and motivation. In this point of view, I tried to solve such a problem by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level learning materials reconstructed text book according to students' abilities and levels through this research. 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to examine the changes of students' emotional factors such as the recognition, interest, and attitude which influence on improving self-educability in learning mathematics has occurred, the following conclusion comes out. 1. Through the mathematics class utilizing level learning materials reconstructed textbook, students come to recognize that level learning materials are more effective than uniformed contents of the same textbook and get more active learning attitude. 2 The application of level learning materials in a level-based class has contributed to increasing students' interest in mathematics. Furthermore it was also effective in the positive changes of students' emotional factors such as the recognition, interest, and attitude which influence on improving self-educability in learning mathematics.

  • PDF

수학교과의 통합 교수-학습자료 개발 현황 분석 (Analysis on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of the mathematics and other subjects)

  • 박혜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331-339
    • /
    • 2017
  • 수학은 오랜 역사를 가진 학문으로 수학으로부터 새로운 학문이 발생하기도 하고 다른 학문과의 관련을 계속 이어왔기에 수학과 타 교과 통합 교육은 수학의 학문적 특성에 비추어 자연스러운 시도라 할 수 있다. 그렇지만 과학 과목의 주제를 수학의 학습 소재로 다루는 시도 외에 타 교과와 통합을 통한 수학 교육 연구는 별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수학과 타 교과 통합 교육의 유형과 통합 교육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고등학교 수학 교과와 사회 교과의 통합 교수-학습자료를 중심으로 하여 수학과 타 교과와의 통합 교수-합습자료를 문헌연구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수학의 유용성에 대한 인식 제고 및 흥미도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수학과 과학 또는 수학과 사회 외에도 예술, 체육, 국어 교과와의 통합 자료도 최근 개발되었음을 알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수정 보완에 대한 연구는 본고를 토대로 하여 앞으로 더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수준별 학습을 위한 퍼지 집합 기반 적응형 교수 시스템 (An Adaptive Tutoring System based on Fuzzy sets for Learning by Level)

  • 최숙영;소지숙;이순정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21-135
    • /
    • 2003
  • 본 연구는 학습자 수준에 맞는 학습 내용과 평가 문제를 제공하고, 그 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반복학습 및 심화학습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며, 차기 학습을 할 경우에 이에 기초하여 적절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적응형 웹기반 교수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코스웨어 설계시 학습목표의 중요도, 학습내용의 난이도, 학습목표와 학습내용과의 관련도에 따라 퍼지 수준 집합을 구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내용을 제공한다. 또한, 학습의 평가시에도 문제의 난이도, 평가문항과의 관련도를 고려하여 평가 결과를 제시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퍼지 집합에 의한 학습 내용의 제공과 평가 결과는 학습과정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다양하고 불확실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처리함으로써 보다 융통성 있고 효과적인 교수 학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 PDF

초등수학영재를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 김성준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7권4호
    • /
    • pp.443-460
    • /
    • 2021
  •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math gifted classes through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e used the guided reinvention methods including quasi-experiential perspectives. To this end, the applicability of Lakatos' quasi-empirical mathematical philosophy in elementary mathematics was examined, and the criteria for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gifted students were presented, and the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1 elementary students at P University's Institute of Science and Gifted Education, and non-face-to-face real-time classes were conducted. Classes were divided into introduction, deployment1, deployment2, organization stages, and in each stage,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was conducted based on group activities, and in this process,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mathematics gifted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elementary mathematics gifted students did not clearly present the essence of justification in the addition algorithm of fractions, but presented various interpretations of 'wrong' mathematics. They also showed their ingenuity in the process of spontaneously developing 'wrong' mathematics. On the other hand, by taking interest in new mathematics starting from 'wrong' mathematics, negative perceptions about it could be improved positively.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dealing with various and original topics for the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will proceed through follow-up research.

의생활 영역 학습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2학년 기술ㆍ가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earning Materials for Clothing Behavior)

  • 전은주;이희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65-7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lesson plans, study aids and multimedia learning materials for the clothing units in TechnologyㆍHome economic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a. It's also meant to utilize these materials in instruction in order to provide students with more direct and practical learning experience and make them capable of leading a successful life in the 21st century. 1. The teaching plans were mapped out for the clothing units in TechnologyㆍHome economics class for middle school grade 2, which were all covered by eight textbooks: clothing and life(the function of clothes, my attire, wearing a suit, and wearing Korean traditional dress), the preparation of garments(the type of fiber, understanding of stuff, and preparing garments), and cloth care and storage (washing, storage, alteration and recycling). 2. The lesson plans included information on the name of units, period, learning objectives, teaching environment, materials, learning content, introduction, development, remarks, topping off, announcement for next session, and related Web sites. 3. To raise the effect of education, study aids were developed to be appropriate for the units. The lesson plans and study aids for the clothing part of TechnologyㆍHome economics class for middle school grade 2 would serve to help students build the right clothing habits, and are expected to serve as good teaching materials.

  • PDF

Development of Storytelling Program for Science Learning Utilizing Local Myths as Contents

  • Kang, Kyung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0권3호
    • /
    • pp.55-63
    • /
    • 2014
  • Existing science education that excludes narrative thinking impedes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of workbook content.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storytelling-learning program based on narrative thinking to elevate learners' interest in science and expand their inven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Following an analysis of the current Korean curriculum, eight types of storytelling materials that utilize local content were developed for grades 7-9. The learning program used quest storytelling and was designed such that learning activities such as investigation, discussion, and experimentation were included in the process of solving each quest. Learners experienced an interest in storytelling learning resulting from participation in this storytelling-learning program. Moreover, learners demonstrated inven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in the process of completing the stories. During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storytelling materials, the students interacted with enthusiasm and generated ideas. The teachers indicated a positive feedback to the storytelling program as a new attempt to stimulate learners' interests. In the future, with continuou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storytelling-science-learning programs that base science learning on narrative thinking are expected to be successful.

교수·학습자료 질 관리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for Managing the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 강신천;김경훈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157-169
    • /
    • 2003
  • 최근 교사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자료는 많은데 쓸만한 자료가 없다고 한다. ICT 활용 교육 활성화 이후 많은 디지털 자료가 개발 보급되어 교수 학습 자료의 양적인 팽창을 가져왔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자료가 없어 수업하기가 어려웠던 시절에 비하면 교사들에게 많은 장점을 제공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정점에도 불고하고 교사들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문제점을 토로한다. 첫째, 자료는 많은데 쓸만한 자료가 없다고 한다. 교수 학습 자료의 적합도와 충실도와 관련된 질 관리의 개념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이다. 둘째, 자료가 너무 많아서 어떤 것이 내가 쓸려고 하는 자료인가 찾기가 어렵다고 한다. 양질의 자료와 그렇지 못한 자료가 혼재한 교수 학습 자료의 보급방식에 개선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교수 학습 자료 질 관리 체제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글은 교수 학습 자료를 잘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서 쓰여 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