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ability

검색결과 3,271건 처리시간 0.032초

다감각놀이치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주의집중력과 학습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 Multi-Sensory Play Therapy Program on the Attention and Learning of Children with ADHD)

  • 오혜원;김고운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3-32
    • /
    • 2019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multi-sensory treatment programs on attention and learning in ADHD children. Methods : The program was provided for 50 minutes twice a week for a total of 12 times over 6 weeks. The FAIR concentration test was used to identify the children's concentration of attentio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children's learning ability was evaluated using K-ABC. Results : When attention was evaluated using FAIR,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all dependencies of performance value (P), quality value (Q), and continuity value (C) (p>.05). In addition, when learning ability was evaluated using K-ABC, learning ability in general increased significantly (p>.05). The multi-sensory play therapy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ren's attention and learning ability and thus it is a positive intervention method for children with ADHD. Conclusion : In addition to providing challenging activities, the program showed that it was possible to elicit the children's interest by engaging a variety of senses at the same time. This is believed to have motivated them internally to engage actively in the program.

스토리텔링 기법을 적용한 '태양계와 별' 수업이 과학학습동기와 공간지각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olar System and Star' Using Storytelling Skill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pace Perception Ability)

  • 이석희;이용섭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05-113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torytelling skill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pace perception ability. For this study the 5 grade, 2 class was divided into a research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The class was pre-tested in order to ensure the same standard. The research group had the science class with storytelling skill, and the comparative group had the class with teacher centered lectures for 10 classes in 10 weeks. The storytelling skill was focused on finding stories, constellation searching, story deciding, story hero deciding, story composition, storytelling completion. To prove the effects of this study, science learning motivation was split up according to attention power, relation, confidence, and sense of satisfaction. Also, space perception ability consisted of two-dimensional rotation, 3 dimension rotations, reflection, three-dimensional searching, number of block, and figure type in patter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sing storytelling skill was effective i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Second, using storytelling skill was effective in space perception ability. Also, after using storytelling skill was good reaction by students. As a result, the elementary science class with storytelling skill had the effects of developing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pace perception ability. it means the science class with storytelling skill has potential possibilities and value to develop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pace perception ability.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비교 (Comparative Study between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in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이혜령;최재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3호
    • /
    • pp.585-60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영재의 특성에 대해 폭넓게 이해하고 더 나아가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D광역시 소재 영재교육원, 영재학급의 초등수학영재 126명과 일반학생 12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의사소통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대한 지필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들 간의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초등수학영재가 일반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집단별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관계에서도 두 집단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초등수학영재가 보다 높은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수학영재 프로그램의 개발뿐만 아니라 교수 학습에 있어서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간의 상호관련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CELL교육과정 참여가 대학생의 학습몰입, 학습동기, 학업적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ELL curriculum participation on college students' learning flow, learning motiv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양재훈;조보람;황인섭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55-67
    • /
    • 2020
  • 본 연구는 CELL교육과정 참여가 대학생의 학습몰입, 학습동기, 학업적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1학기에 K대학교 재학생 386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ELL교육과정 참여가 대학생의 학습몰입, 학습 동기, 학업적자기효능감, 자기주도적학습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성별에 따른 분석에서는 여학생의 경우에만 학습몰입, 학업적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셋째, 학년별 분석에서는 2학년은 학습몰입과 자기주도학습능력에, 3학년은 모든 변인에, 4학년은 학업적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넷째, 참여학생 인터뷰를 통해 참여소감과 개선점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CELL교육과정의 효과를 살펴보고 체계적인 운영과 지원을 위한 실천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신체움직임을 활용한 순환학습기반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과학적 태도, 물체조작능력 및 공간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Circle-based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Program Using Physical Movement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Ability, Scientific Attitude, Object Manipulation Ability and Spatial Ability)

  • 정기분;김지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139-167
    • /
    • 2019
  •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learning cycle model-base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using physical motion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ability, scientific attitude, object manipulation ability and spatial ability.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0 five-year-old children who were attending K-G City Childcare Center. The SPSS Window 21.0 program and content analysis method were used, and post-validation Tuke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ne-way ANOVA and the group. Results: Activities using body movement were practiced systematically based on the circle learning. Children could revise their pre-concept and concept of error by interacting with other children, teachers and the environment. Furthermore, children were attaining new knowledge while they were doing body movement activities, assessing and applying them to actual activitie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is investigated a cyclic learning-based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program using physical motion, which has significance in systematic and practical early childhood centere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공과대학생의 온라인 학습에서 자기 조절 학습 능력 및 학습양식과 학습참여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Style and Degree of Learning Participation on On-line Learning of Engineering University Student)

  • 김미영;최완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0-128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4년제 공과대학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습유형을 조사하고,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습유형간의 관계를 분석하며, 이들이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학습자들의 참여도,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으로 4년제 대학교 정규과정 1개반을 선정하여 온라인 학습 환경을 설계한 후 한학기 동안 운영하고 학습참여도를 확인하기 위해 시스템 로그 파일과 게시판 게시횟수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자기 주도 학습 능력과 학습 참여도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나고 학습양식과 학습참여도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자기조절학습 능력과 학습양식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지 않았다. 학습양식은 연구자가 기대한 수렴자와는 달리 분산자가 63.4%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온라인 학습을 설계할 때 더 나은 학업성취도를 위해 적절한 자기조절 학습 전략을 고려한 설계가 요구된다.

임상실습이 자기학습 발전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linical Practice on Self-Learning Development Ability)

  • 김정현;김낙상;양한준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0권3호
    • /
    • pp.493-499
    • /
    • 2017
  • 임상실습 교육과정이 자기학습 발전능력 정도에 대해 분석하고자 수도권에 소재한 방사선학과 3, 4학년생을 대상으로 121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성별에 따른 자기학습 발전능력의 전체 평균은 $3.07{\pm}0.85$로 5점 척도의 기준으로 할 때,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학제에 따른 자기학습 발전능력에 대한 결과는 전체 평균은 $3.07{\pm}0.85$로 보통 이상의 자기학습 발전능력 수준으로 학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학과 선택 동기에 따른 자기학습 발전능력의 결과는 학과의 취업률이 높다고 판단하여 입학한 학생군($3.58{\pm}0.85$)이 높은 자기학습 발전능력 수준을 보였으며, 자아적성에 적합하여 입학한 학생군($2.30{\pm}0.40$)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진로선택 방향에 따른 자기학습 발전능력의 전체 평균은 $3.08{\pm}0.76$로 보통 이상의 자기학습 발전능력 수준으로 진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임상실습 시 자기학습 능력을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다. 아울러 통계적 유의수준의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은 문제점과 다양성을 제시하고 있다고 본다.

과학학습에 대한 동기적 신념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중학생의 물질 변화 개념 이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tivational Belief about Learning Scie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of Matter Change)

  • 임성민;김인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25-134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과학학습에 대한 동기적 신념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각각 과학 개념 이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구인으로 가정하고, 이들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학습에 대한 동기적 신념과 자기주도 학습능력, 물질 변화에 대한 개념 이해에 대해 기존 연구의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각각 조사하고, 조사한 응답 분포를 바탕으로 이 세 변인 간의 인과 관계를 PLS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이 연구에서 설정한 잠재변수인 과학학습에 대한 동기적 신념, 자기주도 학습능력, 물질 변화 개념 이해의 측정은 신뢰도와 타당도 면에서 통계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잠재변수들 간의 인과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은 동기적 신념과 물질 변화 개념 이해에 모두 영향을 미치지만, 동기적 신념은 자기 주도 학습능력에만 영향을 미치고 물질 변화 개념 이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과학학습 상황에서 자기주도 학습 능력만이 과학 개념 이해에 직접 영향을 미치며 동기적 신념은 간접적으로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과학학습 과정에 관여하는 변인들 간의 인과적 관계를 정량적인 방법을 통해서 확인했다는 점과 과학교육 연구 분야에서 PLS 구조방정식모형을 새로운 연구방법론으로써 제안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청소년들의 시간관리능력이 대면 및 비대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부모 학습관여의 조절효과 (Influence of Time-Management Ability o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Learning Flow in Adolescent: Moderating Effect of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 김은진;정구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643-65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시간관리능력이 대면 및 비대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 학습관여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중·고등학교 청소년 363명이었고,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통계 분석 방법은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비대면 수업보다 대면 수업에서 학습몰입이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시간관리능력, 부모 학습관여 및 학습몰입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시간관리능력이 대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 학습관여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였다. 넷째, 시간관리능력이 비대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 학습관여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였다. 즉, 부모의 긍정적 학습관여가 높아질수록 청소년들의 시간관리능력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강하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청소년들의 학습몰입의 증진을 위한 부모의 긍정적 관여의 중요성과 시간관리능력 증진 방법을 논의하였다.

시신 해부실습을 통한 해부학 교과목에서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영향요인 - 전공입문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Factors Influenc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Anatomy using Cadaver Dissection - Focusing on Beginning Nursing Students)

  • 서연희;이현주
    • 의료커뮤니케이션
    • /
    • 제13권2호
    • /
    • pp.109-115
    • /
    • 2018
  • Background: The study is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nvestigate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o explore the facts that influence of anatomy using cadaver dissection beginning nursing students. Methods: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was use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1st May to 7 June, 2016. The participants were total 121 first-year nursing students in C University. This anatomy practicum course was composed of three session, and each session was composed of 3hours, 60minutes of body structure and anatomy lecture, 90 minutes of cadaver dissection, and 30minutes of summary.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satisfaction with cadaver disse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usefulness in connection with the major of nursing (r=.543, P<.001), educational understanding (r=.465, p<.001), and nursing learning motivation (r=.517, p<.001). As the nursing learning motivation increase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creased. Also nursing learning motivation influenced self-directed learning (${\beta}=0.266$, p<.01).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link theoretical education with practicum education of anatomy using cadaver dissection for efficient learning of the anatomy major courses of nursing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