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er

검색결과 2,029건 처리시간 0.029초

An Example-Based Engligh Learing Environment for Writing

  • Miyoshi, Yasuo;Ochi, Youji;Okamoto, Ryo;Yano, Yoneo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1년도 The Pacific Aisan Confrence On Intelligent Systems 2001
    • /
    • pp.292-297
    • /
    • 2001
  • In writing learning as a second/foreign language, a learner has to acquire not only lexical and syntactical knowledge but also the skills to choose suitable words for content which s/he is interested in. A learning system should extrapolate learner\\`s intention and give example phrases that concern with the content in order to support this on the system. However, a learner cannot always represent a content of his/her desired phrase as inputs to the system. Therefore, the system should be equipped with a diagnosis function for learner\\`s intention. Additionally, a system also should be equipped with an analysis function to score similarity between learner\\`s intention and phrases which is stored in the system on both syntactic and idiomatic level in order to present appropriate example phrases to a learner. In this paper, we propose architecture of an interactive support method for English writing learning which is based an analogical search technique of sample phrases from corpora. Our system can show a candidate of variation/next phrases to write and an analogous sentence that a learner wants to represents from corpora.

  • PDF

토픽 맵을 이용한 학습 선호도 기반의 자기주도적 학습 시스템 (The Learning Preference based Self-Directed Learning System using Topic Map)

  • 정화영;김윤호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96-301
    • /
    • 2009
  • 자기주도적 학습에서는 학습자가 학습과정을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학습자가 방대한 학습 콘텐츠의 특성을 이해하고 학습과정을 구성하기는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학습을 계획할 때 학습자의 학습 선호도를 산출하여 학습자에게 맞는 학습 콘텐츠 유형 정보를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학습 선호도 산출방식은 토픽 맵의 선호도 벡터값을 이용하였다. 제안방법의 적용을 위해 학습 모집단 20명을 대상으로 테스트 하였으며, 전체적인 학습 만족도가 높게 나타남으로서 제안방법이 학습자의 학습구성에 도움이 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 PDF

학습자 주도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원격 교육시스템 (A Distance Education System for Supporting Learners' Interaction)

  • 장시웅;전원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657-660
    • /
    • 2007
  • 정보화의 진전에 따라 교육은 동일한 지식의 일방적 전달인 전통적인 교육에서 시 공간을 초월하여 학습자-내용간, 학습자-교수자간, 학습자-학습자간 다차원적으로 학습자 스스로가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을 하는 양방향 교육 및 수요자 중심의 평생교육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조류에 맞추어 학습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방법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 주도의 상호 작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WBI를 활용한 실시간 원격교육 시스템을 제안한다.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을 설계하고 계획하여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하여 자기주도적으로 학습에 참여할 수 있는 개별학습과 학습자들의 건전한 토론과 대화의 장을 마련하여 모둠원들 간의 집단별 프로젝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Online Collaborative Language Learning for Enhancing Learner Motivation and Classroom Engagement

  • Jeong, Kyeong-Ouk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5권4호
    • /
    • pp.89-96
    • /
    • 2019
  •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online collaborative English language learning to enhance learner motivation and classroom engagement in university English instruction. The role of learner motivation and classroom engagement has gained much attention under the premises of current constructivist framework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ducation. To promote learner motivation and classroom interaction in English instruction, participants in this study engaged in integrative English learning activities through online group collaboration and peer-tutoring. They exchanged productive peer response and shared their learning experiences throughout the integrative English learning activities. Digital technology played an integral role in motivating the learning process of the participants. Data for this study were gather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ARCS motivational model of instructional design to identify the motivational aspects of integrative English learning activities. This study reveals that participants of this study regarded online collaborative English learning activities as the positive and motivating learning experience. The online collaborative English reading instruction had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EFL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performanc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lso identified affective and metacognitive benefits of online collaborative EFL learning activities for learner motivation and classroom engagement. This study reveals that the social networking platform in online group collaboration played a crucial role for the participants in understanding the integration of online group collaboration as the positive and effective language learning strategy. This study may have implications in suggesting the effective instructional design for promoting learner motivation and classroom interaction in EFL education.

학습 선호도에 의한 학습 콘텐츠 제안 시스템 (The Propose System of Learning Contents using the Preference of Learner)

  • 정화영;이연호;홍봉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477-485
    • /
    • 2010
  • 웹 기반 학습시스템은 다양하고 방대한 학습 콘텐츠가 운용되고 있다. 그러나 학습자가 학습을 위해 학습 콘텐츠를 선택할 때 이를 자신에 맞도록 효율적으로 구성하기는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학습을 계획할 때 학습자 프로파일의 학습 히스토리 정보를 기반으로 선호도를 산출하여 학습 콘텐츠를 학습자에게 제안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학습 선호도 산출은 토픽 선호도 벡터 값으로 산출하여 적용하였다. 학습의 적용 결과로 학습 모집단을 선별하여 학습을 진행하였으며, 학습후의 학습 만족도가 매우 높게 나타남으로서 본 제안방법이 학습자 스스로의 학습 진행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업성취도가 핵심역량, 학습동기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n Core Competency, Learner Motivation, and Learner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 조미경;김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61-17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핵심역량, 학습동기,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다양한 학습법을 적용할 때 대상자의 핵심역량, 학습동기,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교수학습법을 개발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설계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S시에 위치한 E대학교 간호대학생 2, 3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34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간호대학생의 핵심역량은 2학년보다는 3학년에서 높았고, 간호대학생의 핵심역량, 학습동기와 학습만족도 모두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평균이상인 학생이 평균미만인 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업성취도 3개의 변수로 구축된 핵심역량에 대한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5.1%이었고,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업성취도, 학습만족도 4개의 변수로 구축된 학습동기에 대한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7.5%이었으며,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습동기 2개의 변수로 구축된 학습만족도 모형의 설명력은 43.4%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핵심역량과 학습동기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 주도학습 준비도와 함께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동기를 고취시키고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효율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중재가 필요하겠다.

SW교육 학습자 중심 평가 사례 분석을 통한 인공지능교육의 평가 방향 고찰 (A Study on the Evaluation Direction of AI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SW Education Learner-centered Assessment Cases)

  • 신희남;안성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511-518
    • /
    • 2020
  •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를 대비하면서 우리 교육은 소프트웨어 교육을 넘어 소프트웨어 기술을 접목한 AI 교육의 시대로 새로운 배움의 장을 넓혀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교육에서의 학습자 중심 평가 사례를 분석하여 그 효과성을 통해 인공지능 교육의 평가 방향을 고찰해 보려 한다. 컴퓨터 교과를 포함한 비컴퓨터 교과에 학습자 중심 평가를 적용한 사례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에 미치는 효과와 학습자 중심 평가의 환경 여건 및 평가 모형 등을 모색하고, 소프트웨어 교육에 학습자 중심 평가 모형을 적용한 사례를 통해 인공지능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 평가가 교육 현장에 시사하는 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한 결과 학습자 중심 평가는 학습자의 학습 목표 도달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으며, 지능정보기술에 따른 디지털 환경 여건의 구축, 학습자의 평가를 도울 수 있는 객관적 평가 시스템과 객관적 평가 모형이 고안되어질 때 인공지능 교육에서의 학습자 중심평가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것이라고 기대한다.

다중 학습자 상호작용을 위한 웹기반 실시간 퀴즈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 based Real time Quiz-game Type Learning System for Multi-Learner Interaction)

  • 김종진;김병수;김종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351-363
    • /
    • 2001
  • 기존의 웹기반 교육의 시스템은 학습자들간의 상호작용을 이루어 내지 못하고 있었다. 이러한 대안으로 다중의 학습자 상호작용을 위한 시스템들이 개발되었다. 현재 이러한 시스템은 웹기반 교육분야에도 널리 활용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다중 학습자들간의 상호작용과 피드백은 실제적으로 많은 시간차를 염두 해 두고 있어 그 효과와 신뢰성이 매우 낮은 편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으로 다중의 학습자가 서로의 의견을 교환하며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퀴즈학습이라는 게임형 웹기반 교육과 접목시켜 학습자의 문제해결 과정 안에서 이러한 상호작용을 이끌어 내어 학습자에게 학습의 집중도와 흥미를 유발하고 학습 효과의 극대화를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중 학습자 상호작용을 위한 웹기반 실시간 퀴즈학습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 PDF

How Different are Learner Speech and Loanword Phonology?

  • Kim, Jong-Mi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권3호
    • /
    • pp.3-18
    • /
    • 2009
  • Do loanword properties emerge in the acquisition of a foreign language and if so, how? Classic studies in adult language learning assumed loanword properties that range from near-ceiling to near-chance level of appearance depending on speech proficiency. The present research argues that such variations reflect different phonological types, rather than speech proficiency.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learner speech and loanword phonology, the current research analyzes the speech data from five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of 92 Korean speakers who read 19 pairs of English words and sentences that contained loanwords. The experimental method is primarily an acoustical one, by which the phonological cause in the loanwords (e.g., the insertion of [$\Box$] at the end of the word stamp) would be attested to appear in learner speech, in comparison with native speech from 11 English speakers and 11 Korean speakers. The data investigated for the research are of segment deletion, insertion, substitution, and alternation in both learner speech and the native speech. The results indicate that learner speech does not present the loanword properties in many cases, but depends on the types of phonological causes. The relatively easy acquisition of target pronunciation is evidenced in the cases of segment deletion, insertion, substitution, and alternation, except when the loanword property involves the successful command of the target phonology such as the de-aspiration of [p] in apple. Such a case of difficult learning draws a sharp distinction from the cases of easy learning in the development of learner speech, particularly beyond the intermediate level of proficiency. Overall, learner speech departs from loanword phonology and develops toward the native speech value, depending on phonological contrasts in the native and foreign languages.

  • PDF

유사도와 난이도를 이용한 학습 콘텐츠 추천 방법 (A Method for Recommending Learning Contents Using Similarity and Difficulty)

  • 박재욱;이용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127-135
    • /
    • 2011
  • 이러닝 시스템에서 학습자에게 적합한 콘텐츠 선택을 돕기 위한 콘텐츠 추천 시스템은 필수적이다. 학습자의 선호도를 통한 콘텐츠 추천은 협업 필터링 추천 방법과 내용 기반 추천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추천 방법들은 학습자의 학습수준을 고려하지 않고 다른 사용자의 선호도를 기반으로 학습 콘텐츠를 추천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콘텐츠를 학습한 학습자가 적은 경우 추천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새로운 아이템이 추가될 경우 추천이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학습 콘텐츠의 유사도와 난이도에 기반한 콘텐츠 추천 방법을 제안한다. 학습 콘텐츠의 두 특성을 반영한 추천함수에 의해 선행학습 성취도가 낮은 학습자에게는 난이도가 낮고 유사도가 높은 콘텐츠를 추천하고, 성취도가 높은 학습자에게는 난이도가 높고 유사도가 낮은 콘텐츠를 추천한다. 이와 같이 다른 학습자의 선호도와는 무관하게 학습자의 성취도에 따라 가장 적합한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