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powder

검색결과 347건 처리시간 0.037초

갓김치 숙성중 당, 유기산, 유리아미노산 및 핵산관련 물질 함량의 변화 (Changes in the Contents of Sugar, Organic Acid, Free Amino Acid and Nucleic Acid-Related Compounds during Fermentation of Leaf Mustard-Kimchi)

  • 박석규;조영숙;박정로;문주석;이용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8-53
    • /
    • 1995
  • Changes in the contents of sugar, organic acid, free amino acid and uncleic acid-related compounds of leaf mustard-Kimchi during fermentation at 5~7$^{\circ}C$ were investigated. The leaf mustard-Kimchi was formulated with 4kg leaf mustard, 120g garlic, 80g ginger, 540ml salted anchovies, 1kg green onion, 200g red pepper powder, 200g ground red pepper, 60g whole sesame and 600ml glutinous rice paste. Changes in pH and acidity were relatively slow. Major free sugars were glucose(0.13%) and maltose(0.42%), and residual sugars(0.03-0.04%) were also detected after 32 days of fermentation. Major free amino acids containing more than 26.5mg% were proline, glutamic acid, alanine and histidine. Contents of total free amino acids increased from 244.8 to 397.2mg% by 24 days of fermentation. Of non-volatile organic acid, lactic acid was the most abundant(119.3mg%), and its content increased markedly after 10 days of fermentation. Other organic acids(below 53.1mg%) observed were malic, oxalic and citric acid. Contents of nucleic acid-related compounds were high in the order of hypoxanthine(22.8mg%), IMP(8.3mg%) and GMP(6.9mg%). Hypoxanthine content increased by 10 days(27.3mg%) and decreased thereafter, while the others decreased gradually during the overall period of fermentation.

  • PDF

감잎 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 특성과 산화방지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Cookies Supplemented with Persimmon Leaf Powder)

  • 임정아;이준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59-164
    • /
    • 2016
  • 박력분 밀가루에 대한 감잎 분말 대체량을 0-4%로 달리하여 쿠키를 제조한 후 물리 화학적 품질특성, 산화방지 활성 및 소비자 기호도에 대한 실험과 조사를 진행하였다. 쿠키 반죽의 pH와 밀도는 감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수분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쿠키의 퍼짐성과 손실률은 감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명도($L^*$), 적색도($a^*$) 및 황색도($b^*$) 모두 감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p<0.05), 경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산화방지 활성을 나타내는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 및 ABTS에 대한 라디칼 소거능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며 증가하였고(p<0.05), 두 지표 간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기호도 검사 결과 색과 부드러운 정도는 1% 첨가군이 가장 높았고, 향과 맛은 대조군, 전체적인 기호도는 2% 첨가군이 가장 높았으나, 대부분 항목에서 대조군과 1% 및 2% 첨가군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감잎 분말의 최적 첨가량은 2%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본 연구는 활용 범위가 작아 대부분 폐기되는 농산폐기물인 감잎을 활용하여 고부가가치 상품인 감잎 쿠키를 상품화하는데 필요한 실험적 data를 제공하고 있으며, 따라서 이를 활용한다면 소비자들에게 기능성과 기호성 모두 가진 쿠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순창 운림리 농소고분 출토 목관 칠 분석을 통한 제작방법 연구 (Lacquer Layers and Making Methods of the Wooden Coffin Excavated from the Nongso Tomb of Unrimri, Sunchang in Korea)

  • 이혜연
    • 보존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55-362
    • /
    • 2017
  • 순창 농소고분은 적성면 운림리 일대와 내월리 농소마을을 둘러 형성된 구릉지 능선에 위치하고 있다. 고분의 토광은 비교적 깊은 곳에 조성되어 도굴의 피해가 없었으며 전체적으로 다량의 숯으로 채워져 있어 목관이 비교적 좋은 상태로 출토되었다. 고분 구조 및 매장시설, 출토 유물, 방사선탄소연대 측정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농소 고분의 축조시기는 고려시대 후기부터 조선 초기까지로 추정하고 있다. 농소고분에서 출토된 목관은 목곽과 목관의 2중 구조로 목관 외면에 두껍게 옻칠을 하고 금색 문자와 흰색 문양으로 장식되었다. 안료 분석 결과 금색 문자는 금(Au), 흰색 문양은 은(Ag)이 주요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칠 막은 안료 층, 황갈색 층, 검은 층의 3개 층으로 관찰되었다. 검은 층은 그을음과 같은 검은 물질로 목재 바탕의 밑칠로 사용되었다. 황갈색 층은 옻칠로서 정제칠로 추정된다. 목관 칠막 분석을 종합하면 칠 제작방법은 금박을 이용하는 방법과 금분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추정된다. 안료 형태 및 내부 구조상으로는 금박이 유력하지만 표현된 글자의 형태를 보면 금분을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향후 금박과 금분을 이용한 재현실험을 통하여 제작방법을 확인한다면 고분 축조 당시 칠기 제작기술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브로콜리잎 분말 첨가 재래식 고추장의 이화학적 및 기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Kochujang with Broccoli Leaf Powder)

  • 오유성;백진우;박경열;황준호;임상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675-681
    • /
    • 2013
  • 기능성 고추장을 제조할 목적으로 브로콜리잎 분말을 첨가하여 고추장을 제조한 후 80% 메탄올, 80% 에탄올, 물로 추출하여 총페놀 함량과 항산화 및 항암활성을 측정하여 재래식 고추장 및 개량식 고추장과 비교하였다. 총페놀 함량은 80% 메탄올과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브로콜리 고추장이 각각 524.2와 541.9 mg GAE/100 g으로 재래식 고추장의 431.0과 499.9 mg GAE/100 g보다 각각 22%와 8% 높았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80%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브로콜리 고추장이 재래식 고추장보다 1.6배 높았으나, 80%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브로콜리 고추장과 재래식 고추장이 비슷하였다. 활성산소 흡수능력은 80% 메탄올과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브로콜리 고추장이 재래식 고추장보다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개량식 고추장보다는 각각 55%와 23% 높았다. ACE 저해 활성은 80% 메탄올 추출물에서 브로콜리 고추장은 재래식 고추장과는 유사하였으나 개량식 고추장보다는 2.6배 높았다. 항암활성은 브로콜리 고추장의 80% 에탄올 추출물인 경우 대장암 세포주(HT-29)와 폐암 세포주(NCI-H1229)에서 각각 10.7과 18.3%의 생장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브로콜리잎의 건조분말을 첨가하여 재래식 방법으로 제조한 고추장은 총페놀 함량이 높으며, 재래식 고추장이나 공장식 고추장보다 다소 높은 항산화 활성과 암세포 성장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브로콜리 분말의 첨가에 의해 고추장의 기능성이 향상되었다.

솔잎 분말을 첨가한 스펀지 케이크의 품질 및 항산화 특성 (Qualit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Sponge Cakes Incorporated with Pine Leaf Powder)

  • 이서은;이준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53-58
    • /
    • 2013
  • 솔잎 분말의 첨가농도를 0-8%로 달리하여 스펀지 케이크를 제조하고 물리화학적 품질, 항산화특성 및 소비자 기호도를 비교하였다. 솔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케이크의 pH는 단계별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반죽의 비중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한편 수분함량은 솔잎 분말 첨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굽기손실은 증가하였다(p<0.05). 케이크의 비체적, 높이, 부피지수 및 대칭지수 또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밝기를 나타내는 $L^*$값은 솔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단계별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뚜렷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솔잎 분말 첨가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농도의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케이크의 경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항산화특성을 나타내는 총 페놀화합물 함량과 DPPH 전자공여능은 솔잎 분말 농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그 증가효과는 DPPH 전자공여능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소비자 기호도 검사 결과 대부분의 평가항목에서 대조군과 2%, 4% 첨가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따라서 스펀지 케이크의 관능적 품질과 건강 기능성 효과 등을 고려할 때 솔잎 분말을 2-4% 첨가한 스펀지 케이크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돌산갓 분말이 첨가된 닭가슴살 육포 튀김의 품질적 특성 (Qualit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Fried Chicken Breast Jerky Supplemented With Dolsan Leaf Mustard Powder (Brassica juncea))

  • 오선경;최명락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2호
    • /
    • pp.1042-1053
    • /
    • 2020
  • 돌산갓 분말을 첨가한 닭가슴살 육포의 이화학적 특성, 항산화활성, 색도, 관능평가 및 sinigrin함량을 120일동안 저장하면서 측정하였다. 돌산갓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과 돌산갓 분말을 0.04 g(S-1, S-3)과 0.3 g(S-2, S-4)을 첨가한 제품군을 25℃과 60℃에 보관하면서 실험하였다. pH변화는 25℃과 60℃에서 저장 기간 동안 계속 감소하였고, S-1은 다른 제품들보다 높은 pH를 나타내고 있다. 산가와 과산화물가 25℃과 60℃에서 증가하였지만 대조군보다 억제되었다. 항산화활성은 총폴리페놀, 총플라보노이드, 전자공여능(EDA), ABTS radical 소거활성 및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항목으로 측정하였다. 전체적으로 항산화활성은 저장기간 동안 감소하였고 특히 대조군은 S-2, S-4 보다 낮은 활성을 나타냈다. 단단한 정도(Hardness)와 검성(gumminess)은 돌산갓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단단함과 검성은 S-2, S-4에서 높게 나타내고 있다. 또한 sinigrin 함량도 돌산갓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색도는 저장기간 동안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면서 120일째에는 0일째와 비슷한 값을 나타냈다. 관능평가는 색, 향, 맛, 조직감, 전반적인 기호도로 25℃에 저장한 S-2와 S-4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돌산갓 분말 첨가량이 높은 제품일수록 저장기간 동안 산가와 과산화물가를 억제하였고, 물성과 색도는 감소와 항산화성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닭가슴살 육포튀김의 품질향상에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모시대잎을 이용한 항산화 및 피부개선 효과 측정 (Measuring of Anti-oxidant Activity and Skin Improvement Effect using Adenophora remotiflora leaf)

  • 이민정;이연희;김애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39-246
    • /
    • 2013
  • 본 연구는 모시대(Adenophora remotrflora)잎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및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피부 개선 효과를 측정함으로써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모시대잎의 항산화 활성 측정결과 모시대잎 열수추출물의 DPPH 소거능이 에탄올추출물에 비하여 약 9% 정도 높은 값을 보였고(p<0.05), hydroxyl radical 소거능의 경우에는 열수추출물(65.22%)이 에탄올추출물(63.50%)에 비해서 약간 높았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총 폴리페놀화합물 함량의 경우에는 에탄올추출물(47.90 mg/mL)이 열수추출물(40.82 mg/mL)에 비해 유의차 있는 효능을 보였다(p<0.05). 2011년 10월 20부터 11월 17일까지 35~60세 중년여성 16명을 대상으로 오른쪽 얼굴에는 베이스팩을, 왼쪽 얼굴에는 모시대잎 파우더팩을 주 2회씩 4주 동안 적용하여 수분, 거칠기, 모공, 투명도를 측정한 결과 수분함량, 색소침착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으나(p<0.05) 거칠기, 모공크기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모시대잎은 새로운 화장품소재로서 피부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친환경 유기 농산물로 제조한 LOHAS 음료의 영양 평가 (Nutritional Assessement of LOHAS Drink with Organic Products)

  • 김애정;김미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06-413
    • /
    • 2007
  • LOHAS(Lifestyles Of Health And Sustainability) drinks were prepared by the addition of mulberry leaf powder(MLP) at various levels(0%, 5%, 10% and 20%). Their characteristics of the drinks were examined according to antioxidant activity and sensory evaluation.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0% MLP group) and 5% MLP group for overall quality. For the proximate compositions of the LOHAS drinks, moisture, crude ash, crude protein and crude fat were all increased as the ratio of MLP increased. For the mineral contents, the amounts of calcium and magnesium were increased, but sodium, according to adding levels of MLP.

Biocontrol Efficacy of Formulated Pseudomonas chlororaphis O6 against Plant Diseases and Root-Knot Nematodes

  • Nam, Hyo Song;Anderson, Anne J.;Kim, Young Cheo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4권3호
    • /
    • pp.241-249
    • /
    • 2018
  • Commercial biocontrol of microbial plant diseases and plant pests, such as nematodes, requires field-effective formulations. The isolate Pseudomonas chlororaphis O6 is a Gram-negative bacterium that controls microbial plant pathogen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is bacterium also has nematocidal activity. In this study, we report on the efficacy of a wettable powder-type formulation of P. chlororaphis O6. Culturable bacteria in the formulated product were retained at above $1{\times}10^8$ colony forming units/g after storage of the powder at $25^{\circ}C$ for six months. Foliar application of the diluted formulated product controlled leaf blight and gray mold in tomato. The product also displayed preventative and curative controls for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spp.) in tomato. Under laboratory conditions and for commercially grown melon, the control was at levels comparable to that of a standard commercial chemical nematicid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wettable powder formulation product of P. chlororaphis O6 can be used for control of plant microbial pathogens and root-knot nematodes.

견육요리(犬肉料理)의 연구(硏究) (II) -실태조사(實態調査)- (A Study on Korean Dog Meat Cooking(II) -Survey of Dog Meat Cooking Restaurants-)

  • 김태홍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357-368
    • /
    • 1989
  • In this study, the kinds of Dog Meat Cooking, side dishes, ingredients, seasonings and recipes were surveyed in 21 Dog Meat Cooking restaurants in Korea from July to August of 1989. 1. Actually, there were four Dog Meat Cooking recipe. Tang (soup:湯) has been served in 20 (95.2%) restaurants and Sukyuk(boiled in water:熟肉) in 19(90.5%) ones. Junkol(boiling vegetables and meat with seasoning:煎骨) and Muchim(sauteed with seasoning:무침) has been done in 16(76.2%) and 10(47.6%) restaurants, respectively. 2. According to the frequencies, the main seasonings when served were roasted perillar powder (95.2%), soybean paste (95.2%), vinegar(81.0%), Dadegi (mixed much red pepper powder, minced ginger, minced garlic, minced onion and black pepper powder, 66.7%), pepper(61.9%), salt(61.9%), salt(61.9%), minced ginger(57.1%), minced garlic(57.1%) and prepared mustard(38.1%). 3. The number of side dishes were 26. Among vegetables, green pepper(90.5%), sliced garlic(81.0%) were served. Chinese cabbage(61.9%) and Kagtuki(42.9%) out of Kimchi and leek salad(28.6%) were also served. 4. The total 17 ingredients were used in Dog Meat Cooking. The major one were white onion (100%), perillar leaf(72.2%), leek(66.6%) and parsley(47.2%).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