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lettuce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35초

식물재배용 LED 광원의 광질과 PPFD에 따른 청치마상추의 성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rowth of the Green Leaf Lettuce Depends on PPFD and Light Quality of LED Lighting Source for Growing Plant)

  • 양준혁;최원호;박노준;박대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142-147
    • /
    • 2015
  • The artificial light sources for growth of plant are usually high-pressure sodium lamp, metal haloids lamp, and fluorescent light; however, these light sources have relatively weaker Red and Blue lights that are necessary for growth of plants. Especially the effect of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PPFD) is pointed out as the weakness. Meanwhile, LED light source can be selected by specific wavelength to greatly improve the effect of PPFD. In this regard,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promotion of plant growth by measuring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hereafter referred to as PPFD) according to changes in light quality of the LED light sources. Towards this end, LED light sources for plant growth were produced with 4 kinds of mono-chromatic lights and 6 kinds of combined lights by mixing red, blue, green and white lights.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ptical properties and PPFD on plants (green leaf lettuce) using the produced light sources. The results monochromatic light has fastest growth rate, but plant growth conditions have poor. This being so, mixed light is suitable for the green leaf lettuce.

가락동 농수산물도매시장 반입 들깻잎과 상추의 잔류농약 실태 및 안전성 평가 (Pesticide Residues Survey and Safety Evaluation for Perilla Leaf & Lettuce on the Garak-dong Agricultural & Marine Products Market)

  • 박원희;황인숙;김은정;조태희;홍채규;이재인;최수정;김진아;이윤정;김미선;김지혜;김무상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51-160
    • /
    • 2015
  •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서울 가락동 농수산물도매시장에서 경매되는 채소류 중 들깻잎 4,063건 상추 2,248건을 대상으로 잔류농약 검사를 실시하였다. 들깻잎은 812건에서 농약이 검출되었고 40건이 부적합판정을 받았다. 상추의 경우 108건에서 농약이 검출되었고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상품은 10건이었다. 검출된 농약은 들깻잎 61종, 상추는 28종이었다. 들깻잎 및 상추 섭취에 따른 다종농약 성분에 대한 안전성 평가는 들깻잎이 0.05% 이하, 상추가 0,1% 이하로서 인체에 대한 위해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내재배를 위한 적상추와 청상추의 차광에 따른 생육 반응 (Growth Responses of Red and Blue Lettuce (Lactuca sativa L.) under Different Levels of Shading for Indoor Cultivation)

  • 주진희;김태연;윤용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05-411
    • /
    • 2022
  • Production of lettuce under indoor cultivation is highly affected by light intensity. In this study, we used shade cloth (commercial black net) to examine the effect of these condition on growth without an associated yield penalty of container-grown lettuce. Four levels of shading treatments (0%, 35%, 55%, and 75% referred to as Cont., S35, S55, and S75 with respect to Cont.) and two lettuce varieties (red and blue) were evaluated. Variety-specific growth responses were observed with respect to different levels of shading treatments. High growth of red lettuce was occurred in Cont. treatment despite plant height and leaf length being higher than Cont. However, under 35% shading treatment blue lettuce was higher than in control plants. The highest root length was observed 0% shading (Cont.) of both varieties. These results reinforce the idea that blue lettuce is the better leafy vegetable rather than red lettuce for indoor cultivation related to lower light intensity environment conditions.

혼합 발광다이오드와 형광등에서 자란 적치마 상추의 생육 및 광 이용 효율 비교 (Comparison of Combined Light-emitting Diodes and Fluorescent Lamps for Growth and Light Use Efficiency of Red Leaf Lettuce)

  • 손기호;송민정;오명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39-14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폐쇄형 식물생산시스템에서 세가지 혼합 LED와 형광등에서 자란 적치마 상추의 생육과 광이용효율을 비교하는 것이다. 18일간 육묘한 적치마상추묘를 적색(R, 655nm), 청색(B, 456nm), 녹색(G, 515nm), 백색(W, 456nm + 558nm)의 혼합 LED(R:B=8:2, R:W:B=8:1:1, R:G:B=8:1:1)와 형광등이 설치된 폐쇄형 식물생산시스템에 정식하였다. 형광등에서 자란 상추는 모든 LED 처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엽형지수를 보였다. 지상부와 지하부 생육에서 LED 처리간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모든 LED 처리가 형광등에 비해 약 34% 지상부 생체중의 증가를 유도시켰다. 한편, 정식 후 4주차에 형광등의 총 소비 전력은 145kW인 반면, LED 처리구들에서 형광등의 약 1/3배인 54kW를 나타냈다. LED 처리구들의 건물중에 대비한 광 이용 효율은 약 34mg/W였으며, 이는 형광등 보다 약 3.5배 높은 값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식물 생산 시스템에서 적절한 조합의 LED 조사는 형광등에 비해 상추 생장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에너지 절감을 통해 광이용효율도 극대화 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영상정보를 이용한 자동화 온실에서의 작물 성장 상태 파악에 관한 연구 (Identification of Crop Growth Stage by Image Processing for Greenhouse Automation)

  • 김기영;류관희;전성필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4권1호
    • /
    • pp.25-30
    • /
    • 1999
  • The effectiveness of many greenhouse environment control methodologies depends on the growth information of crops. Acquisition of the growth information of crops requires a non-invasive and continuous monitoring method. Crop growth monitoring system using digital imaging technique was developed to conduct non-destructive and intact plant growth analyses. The monitoring system automatically measures crop growth information sends an appropriate control signal to the nutrient solution supplying system. To develop the monitoring system, a linear model that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sh weight and the top projected leaf area of a lettuce plant was developed from an experiment. The monitoring system was evaluated buy successive lettuce growing experiments. Results of the experiments showed that the developed system could estimate the fresh weight of lettuce from a lettuce image by using the linear model and generate an EC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lettuce growth stage.

  • PDF

계면 활성제 처리가 수경재배 상추의 무기이온 흡수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rfactant Addition in Nutrient Solution on Mineral Nutrient Uptake and Growth of Lettuce in DFT Culture)

  • 최기영;양은영;문병우;서태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40-244
    • /
    • 2004
  • 순환식 양액재배시 계면활성제가 무기이온 흡수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상추의 생육, 광합성율, 증산율 및 무기이온 함량을 분석하였다. 상추 생육은 $0.3mg{\cdot}L^{-1}$ PVA-95처리에서 가장 높았으며, l/2배액에서 재배된 상추의 생육도 양호하였다. 칼슘 함량이 증가된 $0.3mg{\cdot}L^{-1}$ CLS 처리의 상추는 생육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증산율과 광합성율 및 엽내 카리, 칼슘 및 마그네슘 함량이 높았다. 따라서 높은 생육량과 비료 절감 효과가 인정된 PVA-95 처리와 CLS 처리에 의한 엽내 무기 성분 함량 증가가 인정됨에 따라 수경재배 상추의 고품질 생산에 유용하게 사용 가능하리라고 판단된다.

쌈용 상추 품종 개발을 위한 다수성, 우수 계통 육성 (Breeding of High Yield and Elite Lines for Development 'Ssam' Lettuce)

  • 이관호;장석우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9권1호
    • /
    • pp.25-38
    • /
    • 2017
  • 본 연구는 내병 만추대이고 적색 발현이 양호한 양친을 중심으로 11개 교배조합을 작성하였다. 선발된 계통은 F2 42조합 137계통, F3 4조합 17계통, F4 11조합 27계통, F5 7조합 30계통, F6 1조합 2계통, F7 3조합 8계통 등 90조합 221계통을 선발하였다. 선발한 계통 중 만추대이면서 색택이 좋은 파종번호 5007, 5014, 6004, 6005, 6021, 6023, 7001, 7002, 7006, 7007, 7010, 7011, 7015, 7018, 7019, 7021 등 17계통은 생산력검정을 하였다. 이중에서 유망한 7001, 7002, 7011, 7018, 7022 등 5개 계통을 선발하였다.

키토산과 목초액 처리가 가지 및 잎상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itosan and Wood Vinegar Treatment on the Growth of Eggplant and Leaf Lettuce)

  • 정순재;오주성;석운영;조미용;서정범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37-452
    • /
    • 2007
  • 친환경자재인 키토산과 목초액 처리가 가지 및 잎상추의 생육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결론을 얻었다. 1. 키토산과 목초액 처리가 가지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1) 키토산과 목초액 처리 전 후 토양의 성분변화는 큰 차이는 없었으며, 총 미생물 수가 증가한 경향을 보였고, 미생물 종류 중에는 세균수가 많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방선균, 사상균 및 트리코데마수는 처리간 일정한 경향은 없었다. 2) 가지의 생육 및 수량은 대조구에 비해 키토산과 목초액 처리구에서 공히 유의하게 높았으며, 처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가지의 10a당 수량은 키토산과 목초액 처리구 공히 대조구에 비해 수량이 증가하였고, 처리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2. 키토산과 목초액 처리가 잎상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1) 키토산과 목초액 처리 전 후 토양의 성분변화는 큰 차이는 없었으며, 미생물상에서는 총 미생물수가 증가하였고, 미생물 종류 중에는 세균수가 많이 증가하였다. 그 외 방선균, 사상균 및 트리코데마수는 처리간 일정한 경향은 없었다. 2) 잎상추의 생육은 대조구에 비해 키토산과 목초액 처리 공히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처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대체적으로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생육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인공광을 이용한 수경재배에서 배양액 농도가 상추의 생장과 배양액 양분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trient Solution Strength on Growth and Nutrient Element Concentrations of Leaf Lettuce by Hydroponic Culture under Artificial Light)

  • 김동억;이운용;허정욱;이공인;강동현;우영회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9권1호
    • /
    • pp.5-14
    • /
    • 2017
  • 본 연구는 인공광을 이용한 순환식 수경재배시 배양액농도가 적축면 상추 생육과 배양액내 다량 원소 농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형광등과 LED의 광도는 100μmol m-2·s-1±20 수준이었으며, 배양액 농도는 일본 야채다업시험장 표준배양액의 1/2배액, 1배액 및 2배액 수준이었다. 일주일마다 줄어든 배양액 양만큼 보충하면서 재배되는 수경재배시스템에서 적축면 상추('뚝섬' 동부하이텍, 품종)를 재배하였다. 적축면 상추의 생육은 농도가 진한 2배액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배기간 중 배양액의 EC는 1배액에서는 2dS.m-1 내외에서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된 반면 2배액에서는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배양액의 무기성분 함량은 2배액, 1배액, 1/2배액 순으로 높았다. 재배기간 중 배양액 내 NO3-N, Ca2+, Mg2+ 농도는 1배액, 2배액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NH4-N 농도는 1배액, 1/2배액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적축면 상추 엽내 K, Ca, Mg 함량은 정상 범위를 유지한 반면, P 함량은 1.3~1.6%로 적정 성분함량 범위 보다 높게 나타났다. 적축면 상추재배 시 재배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NH4-N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NH4-N 비율을 높이거나 더 첨가해 줄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urkholderia pyrrocinia CH-67 to Control Tomato Leaf Mold and Damping-off on Crisphead Lettuce and Tomato

  • Lee, Kwang-Youll;Kong, Hyun-Gi;Choi, Ki-Hyuck;Lee, Seon-Woo;Moon, Byung-Ju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7권1호
    • /
    • pp.59-67
    • /
    • 2011
  • A bacterial strain CH-67 which exhibits antagonism towards several plant pathogenic fungi such as Botrytis cinerea, Fulvia fulva, Rhizoctonia solani, Sclerotinia sclerotiorum, Colletotrichum sp. and Phytophthora sp. was isolated from forest soil by a chitin-baiting method. This strain was identified as Burkholderia cepacia complex (Bcc) and belonging to genomovar IX (Burkholderia pyrrocinia) by colony morphology, biochemical traits and molecular method like 16S rRNA and recA gene analysis. This strain was used to develop a bio-fungicide for the control of tomato leaf mold caused by Fulvia fulva. Various formulations of B. pyrrocinia CH-67 were prepared using fermentation cultures of the bacterium in rice oil medium. The result of pot experiments led to selection of the wettable powder formulation CH67-C containing modified starch as the best formulation for the control of tomato leaf mold. CH67-C, at 100-fold dilution, showed a control value of 85% against tomato leaf mold. Its disease control efficac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hemical fungicide triflumidazole. B. pyrrocinia CH-67 was also effective in controlling damping-off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PY-1 in crisphead lettuce and tomato plants. CH67-C formulation was recognized as a cell-free formulation since B. pyrrocinia CH-67 was all lethal during formulation process. This study provides an effective biocontrol formulation of biofungicide using B. pyrrocinia CH-67 to control tomato leaf mold and damping-off crisphead lettuce and toma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