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nt transition analysis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32초

아동기 학대경험 유형과 우울불안 및 공격성 발달 간 관계에 대한 연구 (Longitudinal Study of Depression·Anxiety and Aggression in Children with Specific Profiles of Child Maltreatment)

  • 김세원
    • 아동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115-134
    • /
    • 2015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latent classes of childhood maltreatment and depression anxiety and aggression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1,785 participants in a sample form Seoul Panel Study of Children were used in this study. Using latent class analysis, three classes of child maltreatment were identified: 'low maltreatment'(89.2%), 'physical+emotional abuse+neglect'(1.9%), 'physical+emotional abuse'(8.9%). Thre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depression anxiety were classified: 'low depression anxiety'(72.3%), 'moderate depression anxiety'(23.3%), 'high depression anxiety'(4.4%). Two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aggression were revealed: 'low aggression'(89.3%), 'high aggression'(10.7%). As estimated by latent transition probability, the multiple maltreatment classes we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levels of depression anxiety or aggression than the no maltreatment class. There appeared to be distinct profiles of maltreatment among adolescents that had differential associations to measures of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s. The implications for both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are also discussed.

음주문제와 우울 간의 인과관계와 빈곤상태 변화의 연관성 분석 (Examining the Association of Poverty Status Transition with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Problem and Depression)

  • 허만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2호
    • /
    • pp.203-230
    • /
    • 2013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의 원자료를 cross-lagged panel design에 따라 분석자료를 추출하고 인과관계 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음주문제와 우울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나아가 빈곤이 음주문제와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는 국내외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음주문제와 우울 간의 인과관계와 빈곤 상태의 변화가 연관성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한국복지패널의 1차년도와 2차년도의 자료에서 반복측정된 3,976명의 성인 남녀였으며, 인과관계 분석은 McArdle and Hamagami (2001)에 의해서 정립된 Latent Difference Scores (LDS)모델을 사용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먼저 음주문제와 우울의 인과관계를 밝힌 후에, 이러한 인과관계가 빈곤의 상태변화를 나타내는 4개의 하위집단 (빈곤 지속 집단, 빈곤 탈출 집단, 비빈곤 지속 집단, 빈곤시작 집단)에서 유지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대상전체를 이용한 LDS모델의 결과는 우울이 음주문제의 변화를 예측할 뿐 아니라 음주 역시 우울의 변화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나 우울과 음주가 상호 인과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연구 대상자를 빈곤 상태 변화에 따른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빈곤지속 집단에서는 우울과 음주가 상호 인과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빈곤 시작 집단과 비빈곤 지속 집단에서는 우울의 음주 변화에 선행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빈곤 탈출 집단에서는 음주와 우울 사이의 인과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음주와 우울 사이의 인과관계가 빈곤상태변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체계적으로 보여주는 새로운 결과로서 기존의 횡단연구들에서 우울과 음주의 관계에 대한 서로 상충하는 다양한 결과들에 대한 종합적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의미가 있다.

  • PDF

垂直平板에서의 强制對流 膜沸騰 流動의 熱傳達解析 (Analysis of forced convective laminar film boiling heat transfer on vertical surface)

  • 이규식;최영돈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425-436
    • /
    • 1987
  • 본 연구에서는 강제대류가 있는 층류막비등유동을 벽면온도와 주수속도를 변 화시키며 수치해석하여 열전달계수와 유동특성을 구하였고, 열력학적 상태량들을 일정 하다고 가정하는 경우가 열전달계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토한 결과, 열전달 계수는 주수속도에는 큰 영향을 받지 않으나, 벽면온도와 열력학적 상태량의 변화에는 상당히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 잠재프로파일의 종단적 변화 및 영향 요인 (Longitudinal Transition of Adolescents' Psychological Character Profiles and its Predictors in Multicultural Families)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164-17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인 자아존중감, 문화적응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위축을 활용하여 초등학교와 중학교 시기의 잠재프로파일 및 전이 과정을 탐색하고, 전이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의 2차년도(2012년)와 6차년도(2016년) 자료의 1,188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잠재프로파일분석과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초등학교 시기(2차년도 자료)와 중학교 시기(6차년도 자료)의 잠재프로파일분석 결과, 두 시점 모두 '안정형 집단', '사회적 위축형 집단', '불안정형 집단'의 세 개의 잠재집단이 확인되었다. 둘째, 잠재집단의 전이 과정을 확인한 결과, 심리적 특성의 안정적인 양상도 나타나지 만, 긍정적 변화 및 부정적 변화 또한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방임적 양육태도, 부모효능감, 가족의지지, 친구의지지가 잠재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친구의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불안정형 집단에 계속 머무르기보다는 안정형 집단으로 전이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적절한 지원이 이루어질 경우 다문화 가정 청소년이 더 안정적인 심리적 특성을 갖는 방향으로 변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텍스트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신규간호사가 경험하는 현실충격 관련 연구의 지식구조 분석 (Analysis of the Knowledge Structure of Research related to Reality Shock Experienced by New Graduate Nurses using Text Network Analysis)

  • 윤희장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463-469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신규간호사가 경험하는 현실충격 관련 연구를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신규간호사의 성공적인 임상적응과 이직률 감소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2002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115편의 논문에서 신규간호사가 경험한 현실충격에 관한 토픽을 추출하였다. 6개의 데이터베이스(국내: DBpia, KISS, RISS / 해외: Web of science, Springer, Scopus)에서 문헌을 검색하였다. 키워드는 문헌의 초록에서 추출되었고 의미론적 형태소를 사용하여 정리되었다. 네트워크분석 및 토픽모델링은 NetMiner 4.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핵심 키워드는 '신규간호사', '현실충격', '전환', '학생간호사', '경험', '실습', '근무환경', '역할', '돌봄', '교육' 등으로 확인되었다. 최근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에 관한 연구에서 잠재적 디리클레 할당(LDA) 기법으로 '이직', '근무환경', '전환 경험'의 세 가지 주요 주제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신규호사가 경험하는 현실충격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성공적으로 임상적응을 도울 수 있는 중재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Research trends in th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from 2011 to 2021: a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 Ju-Hee Nho;Sookkyoung Park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28-136
    • /
    • 2023
  • Purpose: Topic modeling is a text mining technique that extracts concepts from textual data and uncovers semantic structures and potential knowledge frameworks within contex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major keywords and network structures for each major topic to discern research trends in women's health nursing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KJWHN) using text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Methods: The study targeted papers with English abstracts among 373 articles published in KJWHN from January 2011 to December 2021. Text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were employed, and the analysis consisted of five steps: (1) data collection, (2) word extraction and refinement, (3) extraction of keywords and creation of networks, (4) network centrality analysis and key topic selection, and (5) topic modeling. Results: Six major keywords, each corresponding to a topic, were extracted through topic modeling analysis: "gynecologic neoplasms," "menopausal health," "health behavior," "infertility," "women's health in transition," and "nursing education for women." Conclusion: The latent topics from the target studies primarily focused on the health of women across all age groups. Research related to women's health is evolving with changing times and warrants further progress in the future. Future research on women's health nursing should explore various topics that reflect changes in social trends, and research methods should be diversified accordingly.

분만 중 전신마사지가 초산부의 자궁수축, 분만소요시간, 분만형태 및 약물사용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Full Body Massage on Uterine Contraction, Length of Labor, Type of Delivery, and Drug Intervention for Primipara during Labor)

  • 이군자;장춘자;조현숙;김미란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538-549
    • /
    • 2002
  • This study was designed to test the effects of a full body massage on uterine contraction, length of labor, type of delivery, and drug intervention for primipara during labor.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asi-experiment method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from November 1, 2001 to July 31, 2002. The subjects of this experiment consisted of 28 wom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9 in the control group, out of 57 primipara hospitalized at the U OB & GYN hospital in Inchon.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a 20 minute full body massage for each of the three delivery phases (latent, active, and transition). The control group was given conventional delivery care. Three (3) parameters were analyzed in this experiment. (1) The interval, duration, and strength of uterine contraction, using an electric tocodynamometer (2) The elapsed time for stage 1 and stage 2 labor. (3) The types of deliveries and drug interventions, using postpartum medical records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the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ANOVA), t-test, and $x^2$ test of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1) Uterine contraction interval was significantly reduced (F=3.210, p=.050). Duration of uterine contraction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nly during the transition phase (t=-2.319, p=.023). Strength of uterine contrac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2) Total length of labor was significantly shortened (t=-5.245, p=.000). The length of 1st stage labor was significantly shortened (t=-5.164, p=.000), with latent phase showing (t=-4.709, p=.000), active phase (t=-2.973, p=.005), and transition phase (t=-2.031, p=.047). The length of 2nd stage labor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3) The number of natural deliveri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x^2$=13.127, p=.004). 4) The number of drug interventions were significantly fewer ($x^2$= 4.493, p=.034).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a full body massage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uterine contraction interval, length of labor, type of delivery, and drug intervent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a full body massage be used clinically to help primipara during labor.

  • PDF

가교일자리에서의 근로가 베이비부머의 결혼만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Bridge Employment and Changes in Marital Satisfaction among Korean Baby Boomers)

  • 나수영;한경혜
    • 한국노년학
    • /
    • 제36권3호
    • /
    • pp.541-562
    • /
    • 2016
  • 본 연구는 가교일자리에서의 근로가 베이비부머의 결혼만족도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그 과정에서 일자리 특성의 변화가 매개역할을 하는가를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한국 베이비부머 패널 조사' 1-3차년도(2010-2014년) 자료를 활용하여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생애주된일자리에서 가교일자리로 이동하는 것은 근로소득의 변화율을 매개로 하여 결혼만족도의 변화율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1-3차년도 사이에 가교일자리로 이동한 베이비부머의 근로소득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그로 인해 생애주된일자리를 유지한 자에 비하여 결혼만족도가 보다 완만하게 상승하는 효과가 있었다. 반면에, 가교일자리에서 근로를 지속하는 것은 직업몰입의 변화율을 매개로 하여 결혼만족도의 변화율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1차년도에 이미 가교일자리에서 일하고 있었으며 이후 가교일자리에서 계속 일한 경우에는 생애주된일자리를 유지한 경우에 비하여 직업몰입이 더 가파르게 상승하였고, 그로 인해 결혼만족도가 더 가파르게 높아졌다. 본 연구결과는 부부관계를 재정립하는 중년기에 생애주된일자리에서 가교일자리로 이동하는 것이 생애주된일자리를 유지하는 것에 비하여 결혼만족도의 상승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으나, 그 효과가 지속되지는 않음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는 가교일자리에서의 근로가 결혼만족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후속연구에서는 가교일자리로의 이동 시의 소득감소가 결혼만족도의 변화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를 완충할 수 있는 중재요인을 탐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동학대사례의 잠재유형화와 유형별 재학대 위험요인 (Classifying Predominant Type and Examining Risk Factors for Recurrence of Child Maltreatment)

  • 이상균;이봉주;김세원;김현수;유조안;장화정;진미정;박지명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3호
    • /
    • pp.171-208
    • /
    • 2017
  • 본 연구는 아동학대 재발생 사례의 학대유형을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분류하고, 학대유형별 재발생에 미치는 위험요인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로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이 수집 관리하는 국가아동학대정보시스템의 행정데이터를 이용하였다. 2012년부터 2015년까지 학대판정을 받은 피해아동 26,921명 중 재학대를 경험한 1,447명을 재학대 발생집단으로, 2012년 학대판정사례 중 재학대를 경험하지 않은 피해아동 4,580명을 재학대 미발생집단으로 추출해 분석하였다. 잠재계층분석과 잠재전환분석을 이용해 중복학대와 단일학대 모두를 포함시켜 분류한 결과, '신체학대 우세형', '정서학대 우세형', '성학대 피해집단', '방임피해 집단' 등 4개 유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4개 학대유형별로 재학대 미발생집단과 비교해 재학대 위험요인의 영향력을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피해아동 성별과 연령, 가해자 성별, 가족빈곤, 친부모 가해자, 배우자 폭력, 가해자 알코올남용 문제, 양육기술 부족, 원가정 분리보호 등 위험요인이 학대유형별로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변인모형을 이용한 학대유형화는 재학대 예방 및 개입의 표적을 결정하는 데 유용하며, 학대유형별 개입표적으로 삼아야 할 차별적인 위험요인을 확인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에 기반해 아동학대 재발생 예방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고, 향후 연구 과제를 제안하였다.

잠재성 양이온 개시제를 이용한 DGEBA/PMR-15 블렌드계의 열안정성 및 기계적 계면 특성에 관한 연구 (Thermal Stability and Mechanical Interfacial Properties of DGEBA/PMR-15 Blend System Initiated by Cationic Latent Thermal Catalyst)

  • 박수진;이화영;한미정;홍성권
    • 접착 및 계면
    • /
    • 제5권1호
    • /
    • pp.3-1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DSC와 DMA를 이용하여 잠재성 양이온 개시제인 BPH에 의해 개시된 DGEBA/PMR-15 블렌드계의 경화거동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블렌드계의 열안정성과 기계적 계면 특성은 TGA 분석과 임계 응력 세기 인자($K_{IC}$) 측정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본 실험 결과, DSC 측정을 통하여 Ozawa 방정식으로부터 구한 경화 활성화 에너지($E_a$)와 DMA 측정을 통하여 구한 relaxation 활성화 에너지($E_r$)는 PMR-15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적분 열분해 온도(IPDT)와 유리전이온도($T_g$)로 알아본 열안정성은 PMR-15의 우수한 내열성으로 인해 PMR-15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크게 증가하였다. 기계적 계면 특성인 $K_{IC}$ 또한 경화 활성화 에너지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블렌드계의 분자들간의 수소 결합 또는 계면 결합력이 증가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