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idge Employment and Changes in Marital Satisfaction among Korean Baby Boomers

가교일자리에서의 근로가 베이비부머의 결혼만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Nah, Su-young (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Han, Gyoung-hae (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나수영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한경혜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Received : 2016.02.29
  • Accepted : 2016.05.04
  • Published : 2016.08.30

Abstract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and the mechanisms between bridge employment and change in marital satisfaction during midlife, using a three-wave panel dataset obtained from the Korean Baby Boomer Panel Study. A multivariate latent growth analysis reveals that the transition from career employment to bridge employment, compared to maintaining career employment, has an indirect negative effect on increase rate of marital satisfaction through the wage decrease. A steep decrease in wage following transition to bridge employment causes a lower increase in marital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continuously engaging in bridge employment rather than career employment is associated with a higher increase in marital satisfaction via a higher increase in job commitment. This result implies that Baby Boomers adapt to bridge employment over time. Overall, the present study finds that the effect of bridge employment on the change in marital satisfaction during midlife varies with the duration of bridge employment. A future research needs to explore which factors can buffer the negative effect of decrease in wage during transition to the bridge employment on the change in marital satisfaction.

본 연구는 가교일자리에서의 근로가 베이비부머의 결혼만족도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그 과정에서 일자리 특성의 변화가 매개역할을 하는가를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한국 베이비부머 패널 조사' 1-3차년도(2010-2014년) 자료를 활용하여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생애주된일자리에서 가교일자리로 이동하는 것은 근로소득의 변화율을 매개로 하여 결혼만족도의 변화율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1-3차년도 사이에 가교일자리로 이동한 베이비부머의 근로소득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그로 인해 생애주된일자리를 유지한 자에 비하여 결혼만족도가 보다 완만하게 상승하는 효과가 있었다. 반면에, 가교일자리에서 근로를 지속하는 것은 직업몰입의 변화율을 매개로 하여 결혼만족도의 변화율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1차년도에 이미 가교일자리에서 일하고 있었으며 이후 가교일자리에서 계속 일한 경우에는 생애주된일자리를 유지한 경우에 비하여 직업몰입이 더 가파르게 상승하였고, 그로 인해 결혼만족도가 더 가파르게 높아졌다. 본 연구결과는 부부관계를 재정립하는 중년기에 생애주된일자리에서 가교일자리로 이동하는 것이 생애주된일자리를 유지하는 것에 비하여 결혼만족도의 상승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으나, 그 효과가 지속되지는 않음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는 가교일자리에서의 근로가 결혼만족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후속연구에서는 가교일자리로의 이동 시의 소득감소가 결혼만족도의 변화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를 완충할 수 있는 중재요인을 탐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메트라이프코리아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