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 Joseon

검색결과 589건 처리시간 0.019초

조선 후기 평양부(平壤府)의 도시구조 변화와 평안감영의 특성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urban structure of Pyongyang-Bu and the characteristics of Pyeong-an Gamyeo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 홍석주;김버들
    • 건축역사연구
    • /
    • 제30권6호
    • /
    • pp.45-58
    • /
    • 2021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nges in Pyongyang-bu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and Pyeong-an Gamyeong through gazetteer, pictiroal maps and various litera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To begin with, unlike other gamyeong, Pyongyang-bu had an exclusive government office facility from the beginning and had a different status because of the route for envoys from Ming. Therefore historical sites related to Gija were important. Second, the importance of Pyongyang city-wall increased even more through the Japanese Hideyoshi invasions in 1592 and the Manchu Invasion in 1636. However, since the post-war restoration was insufficient they focused on defense reducing the size of Pyongyang city wall. Third, as society stabilized, Pyongyangbu's finances were greatly secured. King Sukjong systematically reorganized Pyongyang city wall and facility of Pyongy-an gamyeong. The nothern wall in located high place, Gamyeong and storage in middle height and military force and guesthouse in the center of Pyongyang-bu. I-a and warehouse facilities in the far south were placed around the Daedonggwan. The urban structure that runs from Daedonggwan to Daedongmun was the same as other city. Another pertinent point is Pyeong-an gamyeong had more military facilities and rear garden and pavilion than before. In clunclusion, Pyeong-an gamyeong did not pass through three gates, but only through two gates. And it was characterized by more various space and having more pavilions than other gamyeong.

「음식절조(飮食節造)」를 통해 본 조선시대 후기의 음식문화에 대한 고찰 (A Study of the Food Cul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Eumsikjeoljo (飮食節造))

  • 한복려;박록담;김귀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27
    • /
    • 2021
  • Eumsikjeoljo (integrity with food) originally came from the Andong district, where the Goseong Yi clan inherited a cookbook from their ancestor Lee Jeong-Rong (1798~1871). The cookbook was written in an antiquated style and is estimated to have been written around the year 1865. Details of the era and authorship are seldom available for the extant ancient cookbooks. The authors of these books and the period during which these books were precisely written were studied through the Eumsikjeoljo which is a repository of 46 cooking disciplines. Of these 10 deal with the practice of traditional Korean crispy snack making, 4 with rice cake making, 3 of the yeonbyeong kind, 19 examples of Korean side dish making, 6 recipes of the kimchi variety, 2 examples of paste-based recipes, and 2 instances of instructions on how to make vinegar-based extracts. Also, in Eumsikjeoljo, there are descriptions of 29 different ways to brew rice wine. Of these, Danyang wine among the Leehwa wines and 13 others account for over 44% of the content. Leeyang wine and Sogok wine are represented by 10 different varieties and constitute around 34% of the entries. Samyang wine and Baek-il wine, along with 6 others, constitute 21% of the entries. The secret recipes of the Goseong Yi clan in the Andong district were recorded so that they could be transferred to the descendants of the clan. An inspection of the recipes and wine brewing techniques recorded in Eumsikjeoljo provides a clearer picture of the mid-1800s Andong noble family's traditional food habits and simultaneously sheds light on the late Joseon dynasty's food culture.

조선후기 경상도의 거점 산성 연구 - 금오·천생·가산산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Foothold Mountain Fortress in Gyeongsang-do the Late Chosun Daynasty - Focussing on Geumo·Cheonseng·Gasan Mountain Fortress -)

  • 김찬영;곽동엽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11호
    • /
    • pp.135-144
    • /
    • 2018
  •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bandoned mountain fortresses were urgently repaired for the operation of foothold mountain fortresses in Gyeongsang-do,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immediately after the Qing Invasion of Korea in 1636. Immediately after the Qing Invasion of Korea, an external fortress wall was built and added to each of Cheonsaeng Fortress and Geumo Fortress to establish a system of protecting locals inside a fortress at important locations for border defense against Japan in the Yeongnam region. Cheonseng Fortress, however, did not have sufficient geographical and protection conditions as a mountain fortress for protecting people inside it; thus, Gasan Fortress was newly built to replace Cheonsaeng Fortress. Geumo and Gasan Fortresses were used in border defense against Japan during the period from King Injo's reign to the end of Joseon Dynasty, because the fortresses served the purpose of defending Nakdonggang River and middle roads located at important roads along the border in the Yeongnam region and because it was possible to quickly repair and use their existing fortress walls and internal facilities, such as middle fortress walls and ponds, that were constructed for long-term protection of locals inside the fortress. In addition, it was found, in this study, that a continuous discussion on how to supplement fortresses led to the reinforcement and improvement of fortress facilities and fortification technology through the application of major strengths of Chinese (Ming) and Japanese fortress systems.

대암선생문집 속의 농연서당십경(聾淵書堂十景)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ong-Yeon Seodang 10 Scenery in Daeam Seonsaeng Munjip)

  • 김묘정;정기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21-130
    • /
    • 2011
  • 본 연구는 조선 후기 개인문집 속에 묘사된 경관 관련 문헌을 조사 발굴하여 장소를 찾고, 그 속에 묘사된 대상지와 주변경관요소들을 분석하여 실제의 경관을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해 보는 기초연구로서, 대상지는 조선 후기 학자 최동집의 대암선생문집에 묘사된 농연서당십경에 대한 각 경관요소 및 장소를 찾아보는 것이다. 연구내용은 1) 대암 최동집과 대암선생문집을 정리한 후손 백불암 최흥원의 배경 및 농연서당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하였고, 2) 문헌자료 및 현장조사를 통해서 농연서당의 위치 및 장소를 파악하였으며, 3) 그 장소에서 농연서당십경에 대한 경관요소 및 분포관계 그리고 의미를 분석하였다. 고찰을 통해 농연서당의 배치와 방향에 대한 의미를 되짚고, 정원조성관련 기록을 확인하였으며, 지속적인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평안감사향연도(平安監司饗宴圖)의 채색 재료 특성 연구 -연광정연회도(練光亭宴會圖)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Painting Materials Used in Welcome Feast for the Pyeongan Governor: Focusing on Banquet at Yeongwangjeong Pavilion)

  • 박진호;장연희;고수린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8권
    • /
    • pp.109-13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조선 후기 기록화인 《평안감사향연도》 총 3점 중 <연광정연회도>를 분석하여 채색 재료를 규명했다. 포인트 위주의 분석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문제를 최소화하고자 우선 파장별 이미지를 촬영했다. 엑스선을 통해 먹, 금, 유·무기 안료를 분류했고, 적외선으로 먹과 구리계 안료를 파악했다. 초분광으로는 흑색, 청색, 녹색 재료 중에서 안료와 유기 염료를 구별해냈다. 색상별 선정 지점을 분석하여 백색(연백), 흑색(먹/쪽), 적색(연단+진사), 분홍색(염료), 자주색(염료), 갈색(산화철), 황색(석황/염료), 녹색(석록/석록+염료/쪽)과 청색(석청/연백+쪽/쪽), 자색(쪽+연지), 금색(금박) 등의 재료를 규명했다. 향후 파장별 라이브러리가 확보되면 더 효율적인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변광원(卞光源)의 두진(痘疹)과 마진(麻疹)에 대한 연구 - 『요산당신집의방금낭지보(樂山堂新集醫方錦囊至寶)』와 『보적신방(保赤新方)』의 편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mallpox and Measles by BYUN Gwangwon - Based on a formation Yosandnagsinjipuibangkeumnangjibo and The Bojeoksinbang -)

  • 송지청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9-69
    • /
    • 2022
  • Objectives : The existence of specialized medical texts on a certain disease is reflective of its prevalence of the time. Smallpox and measles were major pediatric diseases, of which previous studies examined the outbreak of measles in late Joseon and the relationship among various specialized texts, and how records of the two diseases in the general medical literature has changed chronologically. Research on the two diseases recorded in different texts written by the same author has not been conducted before. Methods : Examination of the organization of the smallpox and measles parts in the Yosandangsinjipuibangkeumnangjibo and Bojeoksinbang, followed by comparative analysis was undertaken. Results : While the two texts show great similarity in the general contents of smallpox and measles, there was difference in the way they were written. In the case of the Yosandangsinjipuibangkeumnangjibo the author lists referenced literature, while in the Bojeoksinbang he does not. Also, compared to the Yosandangsinjipuibangkeumnangjibo, the Bojeoksinbang has detailed titles for the contents in both introduction and the detailed parts, while in the Bojeoksinbang there are contents that could not be found in the Yosandangsinjipuibangkeumnangjibo, along with more pattern differentiation in the former. Conclusions : The Yosandangsinjipuibangkeumnangjibo which was published in May of 1806 is a general type of medical text, in which the part on pediatrics is positioned in the first two volumes out of the entire 12 volumes, indicative of the author's emphasis on pediatric disease. The Bojeoksinbang which was published in December of 1806 discusses in-depth theories on smallpox and measles out of all pediatric disease, from which we can glimpse a specialized field of pediatrics in the late Joseon period.

쌍화탕과 쌍화차의 시대적 변화 과정 고찰 - 쌍화탕은 어떻게 '차'가 되었을까? - (Study on the Historical Aspects of SSangwha-'tang' (Decoction) and SSangwha-'cha' - How did Ssangwha-tang become Tea? -)

  • 박인효;이상재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59-71
    • /
    • 2022
  • Objective :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changes of Ssangwha-'tang', traditional restorative medicine, to a type of tea in tea rooms(Da-bang) named Ssangwha-'cha' in the modern era in South Korea. The goal is to understand how traditional Korean medical culture has been related to the food culture of everyday life. Method : We analyzed traditional medical texts, newspaper articles and advertisements, literary works, and folk song lyrics in which Ssangwha-tang and Ssangwha-cha are mentioned. Results : Ssangwha-tang used to be mentioned as a medicine to tonify 'Yang' energy(Bo-yang) in traditional medical texts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to the mid-Joseon dynasty. Since the late Joseon dynasty, it has also been prescribed for cold, as the tonifying method(Bo-beop) gradually prevailed from the royal family to the public. Since then, Ssangwha-tang has been more popular with the public, with the emergence of the patent medicine(Mae-yak) market since the Opening port period and the Colonial period. As the number of Da-bang sharply increased nationwide amid the period of the country's liberation, Ssangwha-tang has been included in the Da-bang menu served as Ssangwha-cha, corresponding to the increasing demands of the public and government policy that tends to favor traditional beverages over coffee. Conclusion : The historical process in which Sssangwha-tang, a type of herbal medicine, became also considered as tea, Ssangwha-cha, provides an example of how Korean traditional medical culture emphasizing the tonification of the body is interconnected with the daily lives of the public and food culture.

조선시대 후기 궁중 행사도의 의궤(儀軌) 도식(圖式)과 도병(圖屛)에서 찾아 본 전통 꽃꽂이 양식 (Traditional Style of Flower Arrangement According to Diagram of Royal Protocol and Folding Scre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 한상숙;이부영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1호
    • /
    • pp.61-92
    • /
    • 2019
  • 조선시대 의궤(儀軌) 도식(圖式)과 도병(圖屛)등에서 꽃꽂이의 양식을 찾아보았다. 의궤의 도식과 도병에서는 국연(國宴)이 열리는 궁궐 정전(正殿) 중앙의 어좌(御座) 좌우를 장엄하는 선형, 둥근형, 타원형의 준화(樽花)을 확인, 음식 위를 장식하는 상화(床花), 관이나 모자 등을 장식하는 잠화(簪花), 화안(花案)이라고도 하며, 궁중 행사시 차일을 받쳤던 기둥장 식인 화가(花架) 등의 양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화가는 초기에는 찾아볼 수 없었으며, 1848년 무신진찬도병에서부터 나타나고 있다. 1795년 원행을 묘정리의궤와 화성능행도병에서는 테이블장식과 현대 공간장식으로 볼 수 있는 바닥공간장식과 어사화, 왕이 하사한 꽃을 지팡이에 묶은 꽃 장식등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조선전기 관경십육관변상도에 보이는 고려 전통의 계승과 변용 -정토인식과 왕생관의 변화를 통해- (Study on the Inheritance and Transformation of the Goryeo Tradition in the Illustrations of the Sixteen Contemplations of the Amitayurdhyana Sutra of the Early Joseon Dynasty -with the Focus on the Concept of Rebirth in the Pure Land-)

  • 이승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1권1호
    • /
    • pp.126-147
    • /
    • 2018
  • 조선전기 제작된 관경변상도는 전환기 조선사회의 시대상 뿐 아니라 당시 사람들의 정토인식이 화면의 구성과 도상에 잘 투영되어 미술사적, 문화사적 가치가 높다. 조선 15세기 관경변상도는 모두 3점으로 이중 1435년 <지온지 관경변상도>와 1465년 <지온인 관경변상도>는 왕실인물과 고위승려의 발원으로 조성되었다. 이 두 작품은 1323년 <지온인 관경변상도>의 구성과 도상을 계승하면서 변화시켰을 뿐 아니라 고려후기에 융성했던 천태종(天台宗)의 정토신앙경향을 계승하고 있다. 이는 고려 왕실과 귀족사회에서 선호했던 자력적(自力的)인 정토신앙의 경향이 조선의 왕실에도 이어지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천태사상의 영향을 받은 정토신앙은 조선전기까지 계승되어 천태종이 불교의 통폐합과정에서 선종에 흡수되기 전까지 유지되었다. 천태정토신앙의 경향은 이 두 작품이 각각 천태승 행호와 행호를 진불(眞佛)로 모셨던 왕실의 어른 효령대군이 발원하였다는 사실로도 뒷받침된다. 한편 유교를 국가의 통치이념으로 내세운 조선사회가 안정화되어 감에 따라 관경변상도를 포함한 정토불화들은 점차 변화가 생기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교학적이고 자력적인 정토인식보다는 아미타불의 힘에 의해 구원받고자 했던 타력적인 정토신앙이 확산되는 시기와 맞물린다. 변화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도상이 용선접인도상이다. 자력적인 정토왕생을 좀더 가치있다고 여겼던 시기에 제작된 <묘만지 미륵하생경변상도>의 용선접인 도상에서는 부처님의 인도를 받고 있지 않다. 이에 비해 조선전기의 용선접인 도상에서는 아미타부처님이 관음, 지장, 혹은 인로왕보살등과 함께 왕생자를 이끌고 배를 타고 있는 형상으로 묘사된다. 이는 아미타불의 원력으로 극락왕생한다는 타력왕생관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조선전기 제작된 3점의 관경변상도는 유교주의 사회에서 타력적인 신앙을 선호하는 정토신앙의 변화를 잘 보여주는 불화로서 매우 의미가 크다.

사상사(思想史)의 맥락에서 본 19세기 심설논쟁(心說論爭) - 사칠논쟁(四七論爭)에서 심설논쟁(心說論爭)까지 - (19th-Century Morality Dispute in Context of History of Thought - From Four-Seven Dispute to Morality Dispute)

  • 최영성
    • 한국철학논집
    • /
    • 제59호
    • /
    • pp.9-38
    • /
    • 2018
  • 조선성리학사를 보면 수백년 동안 굵직한 주제의 논쟁이 이어졌다. 16세기 중반에 시작되었던 사단칠정 논쟁은 '정(情: 감정)'에 초점이 맞추어졌고, 18세기 초에 등장했던 호락논쟁(湖洛論爭)은 사람과 사물의 '성(性: 본성)'이 같은가 다른가에 주안이 있었다. 이 두 논쟁은 이후 조선 말기까지 지속적으로 이어졌다. 그 과정에서 쟁점이 확실하게 부각되면서 조선성리학의 특징적 부면이 아울러 잘 드러났다. 18세기 중엽 이래로 서양세력이 밀려오면서 조선성리학은 서양 세력에 맞설 논리를 개발해야 했다. 성리학에서의 주리론(主理論)이 그 대응 논리의 하나로 제기되었다. 특히 '심(心)'에 대한 각종 논의들이 폭넓게 다루어졌다. 심(心)이 성(性)과 정(情)을 통섭한다는 의미의 심통성정(心統性情)의 개념으로부터, 심을 '리(理)'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 심은 기본적으로 '기(氣)'라는 주장이 나와 대립하였다. 또 심과 명덕(明德)은 같은 개념인가 다른 개념인가의 문제, 명덕은 '리'로 보아야 하는가, '기'로 보아야 하는가의 문제들이 제기되어 학계를 뜨겁게 달구었다. 이 논문에서는 조선 말기의 심설논쟁을 사단칠정논쟁, 호락논쟁과 함께 '조선성리학의 3대 논쟁'으로 규정하고 그 위상과 실상, 의의를 조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심설논쟁은 단순히 이론 논쟁에서 그치지 않았다. '시사성(時事性)'의 측면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서양과 일본 세력을 배척하는 운동, 의병운동과 독립운동 등에도 직, 간접으로 영향을 끼쳤다. 심설논쟁은 사칠논쟁이나 호락논쟁에 비해 논쟁의 성격이 복잡하고 범위가 넓다. 게다가 자료의 체계적인 정리를 필요로 한다. 삼대 논쟁에 대한 상호 비교문제는 조선성리학의 특성을 밝히는 데 중요한 주제의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