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Nong-Yeon Seodang 10 Scenery in Daeam Seonsaeng Munjip

대암선생문집 속의 농연서당십경(聾淵書堂十景)에 관한 연구

  • Kim, Myo-J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
  • Jung, Ki-H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 Received : 2011.02.04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is research is an explorative research done on finding sights in documents related to landscapes that are described in personal essay collections of late-Joseon Dynasty, and to fathom the possibilities of finding the actual landscape by analyzing the landscape and features of the landscape. The target sight of this research is to find all the features and landscapes of the Nong-yeon Seodang 10 scenery that are described in Choi Dong-Jip(late-Joseon Dynasty scholar)'s Daeam Sunsaeng Munjip.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 theoretical inquiry into Daeam Choi Dong-Jip and his descendent Baekbulam Choi Heung-Won(who had compiled Daeam Sungsaeng Munjip)'s background and Nong-Yeon Seodang has been done, 2) Nong-Yeon Seodang's location was found through historical documents and field investigations, and 3) the features of landscapes related to Nong-Yeon Seodang 10 scenery and its distribution and the significance were analyzed. Through this inquiry, organization of Nong-Yeon Seodang and the significance of its direction were reflected again, records on garden organization were checked, and a direction for continuation of research was suggested.

본 연구는 조선 후기 개인문집 속에 묘사된 경관 관련 문헌을 조사 발굴하여 장소를 찾고, 그 속에 묘사된 대상지와 주변경관요소들을 분석하여 실제의 경관을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해 보는 기초연구로서, 대상지는 조선 후기 학자 최동집의 대암선생문집에 묘사된 농연서당십경에 대한 각 경관요소 및 장소를 찾아보는 것이다. 연구내용은 1) 대암 최동집과 대암선생문집을 정리한 후손 백불암 최흥원의 배경 및 농연서당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하였고, 2) 문헌자료 및 현장조사를 통해서 농연서당의 위치 및 장소를 파악하였으며, 3) 그 장소에서 농연서당십경에 대한 경관요소 및 분포관계 그리고 의미를 분석하였다. 고찰을 통해 농연서당의 배치와 방향에 대한 의미를 되짚고, 정원조성관련 기록을 확인하였으며, 지속적인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조, 김영란(1991). 한국팔경의 형식과 입지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9(2): 29-34.
  2. 권석환(2004). 한중 팔경구곡과 산수문화. 상명대학교 한중문화정보연구소. 이화문화사.
  3. 김선일(1992). 관동팔경의 경관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시황(2001). 백불암 최흥원선생의 생애와 사상. 경북대학교 퇴계학연구소. 퇴계학과 한국문화. 29(0): 1-36.
  5. 김영숙(2001년). 백불암 최흥원 시의 도학문학적 양상과 특성. 경북대학교 퇴계학연구소 퇴계학과 한국문화. 29(0): 37-62
  6. 김주한(1999). 백불암 최흥원의 문학세계. 한민족어문학회 한민족어문학. 34(0): 301-328.
  7. 노재현, 신상섭, 조찬문(2007). 팔경구조분석을 통해 본 전통문화경관 조망권역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1).
  8. 박종화(1977). 단양팔경의 경관구조 분석. 청주대학논문집. 10(1): 321-333.
  9. 신상섭, 노재현(1998). 경관정체성 향상을 위한 전주팔경의 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6(4): 25-35.
  10. 신상섭, 노재현, 한광수(2005). 전통경관정체성 진단을 통한 역사문화경관탐방 네트위크개발-전주팔경권역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2): 90-100.
  11. 안장리(2002). 한국의 팔경문학. 서울: 집문당. pp. 43-282.
  12. 안장리(2007) 조선시대 왕의 팔경향유양상. 동양학.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42: 43-65.
  13. 이구의(2007). 대암 최동집의 시에 나타난 정신세계. 온지론총. 16: 9-38.
  14. 이재철(2001). 백불암 최흥원의 시대와 그의 현실대응. 경북대학교 퇴계학연구소 퇴계학과 한국문화. 29: 93-118.
  15. 이상아(2008). 조선시대 팔경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행렬(2006). 한산팔경에 나타난 문화경관특성. 한국조경학회지. 24(3): 23-38.
  17. 정기호, 김묘정, 이원호, 최종희(2009). 동국여지승람에 기술된 읍치팔경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4): 25-135.
  18. 정진영(2001). 백불암 최흥원의 학문과 향약. 경북대학교 퇴계학연구소 퇴계학과 한국문화. 29(0): 63-92.
  19. 진희성, 노재현(1991). 팔경의 의미체험에 따른 풍경개념의 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9(1): 31-43.
  20. 최동집(1811). 대암선생문집1-2권. 국립중앙도서관 전자도서관.
  21. 최기수(1989). 곡과 경에 나타난 한국전통경관구조의 해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최은주(2002). 조선시대 팔경시의 창작경향. 대동한문학. 15: 299-331.
  23. http://blog.daum.net/intosan/4236311
  24. http://map.naver.com/
  25. http://www.daegustory.com/dae-nu/dong-html/026.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