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Inheritance and Transformation of the Goryeo Tradition in the Illustrations of the Sixteen Contemplations of the Amitayurdhyana Sutra of the Early Joseon Dynasty -with the Focus on the Concept of Rebirth in the Pure Land-

조선전기 관경십육관변상도에 보이는 고려 전통의 계승과 변용 -정토인식과 왕생관의 변화를 통해-

  • Lee, Seung-Hee (Korea Traditional Culture Institute of Hanseo University)
  • 이승희 (한서대 한국전통문화연구소)
  • Received : 2017.12.28
  • Accepted : 2018.02.19
  • Published : 2018.03.30

Abstract

The compositions and iconographies of the three Illustrations of the Sixteen Contemplations produc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effectively manifest the transitional period of Joseon society as well as the Joseon people's perception of the Pure Land. In particular, the painting at titled Chionji (知恩寺) dated 1435 and another painting at titled Chion' in (知恩院) from 1465, which were commissioned by the Joseon royal family and high-ranking monk, embody the Pure Land faith of the Tiantai School of Buddhism (天台宗) which thrived during the late Goryeo period. This indicates that the Joseon royal court continued to favor the Pure Land faith that emphasized salvation through "self-power" (自力), which was popular among both the royal family and the nobility of Goryeo. On the other hand, in the painting at titled $H{\bar{o}}rinji$ (法輪寺), which is presumed to have been made in the sixteenth century, the compositions and iconographies shown in late Goryeo examples of the Illustrations of the Sixteen Contemplations are disassembled. Moreover, a new iconographical motif, i.e. "welcoming the dragon boat" (龍船接引), emerged with this painting. This motif symbolizes the idea that the souls of the deceased are guided by Amitabha Buddha to rebirth in the Pure Land of Extreme Bliss, which is based on the "other-power" of the Pure Land faith that emphasizes the power of Amitabha Buddha in attaining salvation rather than the educational "self-power" of the Pure Land faith. The emergence of this motif demonstrates the transformation of the Pure Land belief into a faith that relied on the "other-power" of Amitabha in Joseon's Confucian society.

조선전기 제작된 관경변상도는 전환기 조선사회의 시대상 뿐 아니라 당시 사람들의 정토인식이 화면의 구성과 도상에 잘 투영되어 미술사적, 문화사적 가치가 높다. 조선 15세기 관경변상도는 모두 3점으로 이중 1435년 <지온지 관경변상도>와 1465년 <지온인 관경변상도>는 왕실인물과 고위승려의 발원으로 조성되었다. 이 두 작품은 1323년 <지온인 관경변상도>의 구성과 도상을 계승하면서 변화시켰을 뿐 아니라 고려후기에 융성했던 천태종(天台宗)의 정토신앙경향을 계승하고 있다. 이는 고려 왕실과 귀족사회에서 선호했던 자력적(自力的)인 정토신앙의 경향이 조선의 왕실에도 이어지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천태사상의 영향을 받은 정토신앙은 조선전기까지 계승되어 천태종이 불교의 통폐합과정에서 선종에 흡수되기 전까지 유지되었다. 천태정토신앙의 경향은 이 두 작품이 각각 천태승 행호와 행호를 진불(眞佛)로 모셨던 왕실의 어른 효령대군이 발원하였다는 사실로도 뒷받침된다. 한편 유교를 국가의 통치이념으로 내세운 조선사회가 안정화되어 감에 따라 관경변상도를 포함한 정토불화들은 점차 변화가 생기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교학적이고 자력적인 정토인식보다는 아미타불의 힘에 의해 구원받고자 했던 타력적인 정토신앙이 확산되는 시기와 맞물린다. 변화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도상이 용선접인도상이다. 자력적인 정토왕생을 좀더 가치있다고 여겼던 시기에 제작된 <묘만지 미륵하생경변상도>의 용선접인 도상에서는 부처님의 인도를 받고 있지 않다. 이에 비해 조선전기의 용선접인 도상에서는 아미타부처님이 관음, 지장, 혹은 인로왕보살등과 함께 왕생자를 이끌고 배를 타고 있는 형상으로 묘사된다. 이는 아미타불의 원력으로 극락왕생한다는 타력왕생관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조선전기 제작된 3점의 관경변상도는 유교주의 사회에서 타력적인 신앙을 선호하는 정토신앙의 변화를 잘 보여주는 불화로서 매우 의미가 크다.

Keywords

References

  1. 觀無量壽佛經
  2. 觀無量壽佛經疏, 天台智顗
  3. 妙法蓮華經
  4. 東文選
  5. 四溟休靜, 1564, 禪家龜鑑, 韓國佛敎全書 7
  6. 月印釋譜
  7. 李能和, 1918, 조선불교통사, 2010년 번역, 동국대학교 출판부
  8. 朝鮮王朝實錄
  9. 東アジアの佛たち. 1996, 奈良國立博物館
  10. 高麗時代의 佛畵, 1997, 시공사
  11. 高麗, 영원한 美, 1998, 호암미술관
  12. 高麗佛畵-香りたつ裝飾美, 2006, 泉屋博古館
  13. 고려불화대전, 2010, 국립중앙박물관
  14. 강인선, 2015, 일본 妙滿寺(묘만지) 소장 1294년명 <彌勒下生變相圖> 연구 불교미술사학연구 19, pp. 101-141
  15. 계환 옮김, 2001, 한국불교 정토종 법맥과 정토사상, 무한
  16. 高翊晋, 1975, 法華經 戒環解의 盛行來歷考 佛敎學報 12, pp. 171-198
  17. 高翊晋, 1983, 韓國天台思想硏究, 東國大學校出版部
  18. 金殷姬, 1997, 觀無量壽經疏妙宗鈔의 淨土思想 天台思想과 東洋文化, 불지사
  19. 金殷姬, 1998, 四明知禮의 天台淨土觀 硏究-觀無量壽經疏妙宗鈔를 中心으로 淨土學硏究 創刊號, pp. 197-223
  20. 金殷姬, 2002, 知禮의 約心觀佛에 대한 연구-約心의 문제- 佛敎學報 39, pp. 215-231
  21. 김정희, 2002, 1465年作 觀經16觀變相圖와 朝鮮初期 王室의 佛事 講座美術史 19, pp. 59-95
  22. 김정희, 2007년 하반기, 孝寧大君과 朝鮮 初期 佛敎美術 :後援者를 통해 본 朝鮮 初期 王室의 佛事 미술사논단 25, pp. 107-150
  23. 김지연, 2011. 8, 조선시대 반야용선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김지연, 2014, 朝鮮後期 般若龍 船圖 硏究 미술사학연구 281호, pp. 97-133
  25. 文明大.朴桃花, 1994, 廣德寺 妙法蓮華經寫經 變相圖의 硏究 佛敎美術硏究 1, pp. 7-44
  26. 文明大, 2007. 6, 왕룡사원의 1466년작 木阿彌陀佛坐像 연구 講座美術史 28, pp. 3-23
  27. 文明大, 2007, 왕룡사원의 조선전반기 불상조각, 한국미술사연구소
  28. 朴相國, 1990. 6, 祇林寺 毘盧舍那佛像 腹藏經典에 대하여 上.下 書誌學報 1권, 상권 pp 93-117, 하권 pp. 133-156
  29. 박은경, 정은우 共編, 2008, (西日本 지역)한국의 불상과 불화, 民族文化
  30. 박은경, 2008, 조선 전기 불화 연구, SIGONGART
  31. 배종민, 1999, 강진 무위사 극락전 벽화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송일기, 2008, 王龍寺院 三尊佛像의 腹藏典籍에 관한 硏究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2, pp. 393-420 https://doi.org/10.4275/KSLIS.2008.42.2.393
  33. 柳麻理, 1995.12, 1323년 4월作 觀經十六觀變相圖(일본 隣松寺藏)-觀經圖의 硏究(III) 文化財 28, pp. 33-56
  34. 柳麻理, 1995, 麗末鮮初 觀經十六觀變相圖 미술사학연구 208, pp. 5-37
  35. 이승희, 2011. 6, 고려후기 정토불교회화의 연구-천태.화엄신앙의 요소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36. 이승희, 2013.12, 고려후기 서복사 관경십육관변상도의 천태정토신앙적 해석 미술사학연구 279.280, pp. 5-34
  37. 이승희, 2015. 10, 1323년 知恩院 소장 관경16관변상도와 천태관상수행 불교미술사학, pp. 39-73
  38. 이승희, 2013.12, 영산회상변상도 판화를 통해 본 조선 초기 불교문화의 변화 미술사연구 28, pp. 135-167
  39. 이승희, 2016, 고려 후기 정토문화의 천태적 성격과 영산회상변상도 연구 美術史論壇 Vol.42, pp. 7-32
  40. 장휘옥, 1996, 정토불교의 세계, 불교시대사
  41. 장충식, 2007, 한국사경의 연구, 동국대학교출판부
  42. 鄭于澤, 1994. 12, 來迎寺 阿彌陀淨土圖 佛敎美術 12, pp. 51-71
  43. 鄭于澤, 2000.3, 銀河寺 舊藏 龍船接引圖 考古歷史學誌 16, 동아대학교 박물관
  44. 鄭于澤, 1999.12, 朝鮮王朝時代 前期 宮廷畵風 佛畵의 硏究 美術史學 13, pp. 126-166
  45. 최경원, 2011, 朝鮮 前期 불교회화에 보이는'接引龍船'圖像의 淵源 미술사학연구 25, pp. 275-308
  46. 츠보이 슈네이(坪井俊映) 著, 李太元 譯, 1995, 淨土三部經槪說, 운주사
  47. 韓普光, 1999, 圓妙了世의 淨土觀 佛敎學報 36, pp. 19-46
  48. 황인규, 2005, 고려말 조선전기 불교계와 고승연구, 혜안
  49. 황인규, 2003, 조선초 天台宗 高僧 行乎와 불교계 韓國佛敎學 35, pp. 211-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