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ser dentistry

검색결과 573건 처리시간 0.032초

$Carisolv^{TM}$ 에 의한 우식제거후 Microtensile Bonding Strength에 관한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MICROTENSILE BONDING STRENGTH OF DENTIN TREATED BY $CARISOLV^{TM}$)

  • 백병주;권병우;김재곤;전철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89-396
    • /
    • 2002
  • 이 연구의 목적은 전형적인 우식제거(bur)와 기계화학적으로 제거된 상아질($Carisolv^{TM}$)의 microtensile bonding strength를 비교하는 것이다. 다음과 같은 결합 system이 사용되었다; AB: All Bond 2(3M, USA), PB: Prime & Bond 2.1(Dentsply, DE), AQ: AQ Bond(sun medical, Japan). 교합면 우식증을 가지고 있는 42개의 사람 대구치를 6개 그룹으로 나누었다. 각각의 그룹은 다음과 같이 나누었다; $Carisolv^{TM}$를 적용한 그룹 A, B, C와 bur를 사용한 그룹 D, E, F, A와 D 그룹에서는 AB가 상아질 결합제로 사용하였고, 그룹 B, E는 PB를 그룹 C, F는 AQ를 사용하였다. 그 후 와동은 복합레진(Z-100)으로 충전하였다. 각각의 시편을 0.7 mm 두께로 자르고 0.7 mm의 넓이로 다시 잘랐다. Microtensile bonding strength test는 $0.5\;mm/min^{-1}$의 crosshead에서 시행하여 파절면을 scanning electron microscope(JSM-6400, Jeol, Japan)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Carisolv^{TM}$로 우식을 제거했을 때 Microtensile bonding strength는 bur를 사용한 것에 비해서 75.8-80%로 감소하였다(p<0.05). 2. $Carisolv^{TM}$로 우식을 제거했을 때 Microtensile bonding strength가 감소된 정도는 상아질 결합제의 종류에 따라 각 군별로 차이가 없었다(p<0.05). 3. $Carisolv^{TM}$로 우식을 제거했을 때 All bonds는 32.6 MPa, Prime & bond는 30.1 Mpa, AQ bond는 21.2 Mpa이었다. 4. Bur와 $Carisolv^{TM}$로 우식제거시 AQ bond는 All bond와 Prime & bond 2.1보다 유의하게 낮은 결합강도를 가졌다(p<0.01).

  • PDF

교합면 우식병소의 다양한 진단법에 관한 비교연구 (IN VITRO COMPARISON OF VARIOUS DIAGNOSTIC METHODS OF OCCLUSAL CAR10US LESIONS)

  • 김재곤;김영진;김영신;백병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13-619
    • /
    • 2001
  • 교합면의 열구는 우식이 발생하기 쉬운 위치이며, 특히 초기우식병소는 건전해 보이는 법랑질 하방에서 진행되는 경우가 많고, 주위 건전 법랑질과 잘 구별되지 않아서 주기적인 검사에도 불구하고 우식의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초기 우식을 조기에 진단할 경우 불소도포, 식이조절, 치태조절 능력개선 그리고 타액분비 촉진 등의 방법으로 그 병리적 과정을 차단하고, 조기에 치료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조기 진단은 중요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발거된 치아에서 교합면 우식을 검출하기 위해 두가지 전통적인 진단법인 시진, 방사선 검사법에 대하여 레이저 형광측정법을 이용한 새로운 우식진단기구인 Diagnodent (Biberach, Germany)의 민감도, 특이도 그리고 정확도를 비교함으로서 교합면 초기 우식 병소에 대한 가장 신뢰성 있는 진단 방법에 대하여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Diagnodent는 건전치에서 7.8, 초기우식에서 25.4, 법랑질 우식에서는 30.5 그리고 상아질 우식에서는 53.8의 평균값을 나타냈다. 2. 염료를 이용한 치아조직표본검사와 스피어만과 피어슨 상관계수에서 Diagnodent(0.736, 0.619)와 시진(0.664, 0.666)에서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고 방사선 촬영검사(0.333, 0.335)에서 가장 낮은 상관성을 나타냈다(P<0.01 전체). 3. 교합면 우식진단의 정확도는 Diagnodent가 65%로 가장 높았고 방사선 검사가 34%로 가장 낮았다. 4. 초기 우식의 경우, Diagnodent의 민감도와 특이도가 가장 높았고 법랑질 우식의 경우, 시진의 민감도가 가장 높았으며 Diagnodent의 특이도가 가장 높았다. 상아질 우식의 경우, Diagnodent의 민감도와 특이도가 가장 높았으며 시진의 민감도가 가장 낮았다.ed sealant는 기계적 삭제 방법을 사용한 경우와 산부식 방법만을 사용한 경우 모두 열구 침투도나 미세누출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치면열구전색제 도포 시 열구 침투도가 우수하고 미세누출이 적은 기계적 삭제 방법과 물리적 성질이 우수한 filled sealant의 사용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미세누출에 있어 교합력을 고려한 실험이나 장기간의 임상실험이 필요할 것이다.5).vac/PE필름은 장기저장시 사용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2) 질소가스 및 탄산가스투과도 각각 $61.6{\mu}PVDC/PE/Al-vac/CPS\;12.5,\;59.8>96.9{\mu}PE/PVDC/PE\;7.1,\;42.0>79.3{\mu}ET/PVDC/L-LDPE\;6.4,\;34.2>72.2{\mu}PET/PVDC/PE/Al-vac/PE\;0.74,\;4.2cc/m^2.24hr{\cdot}atm$으로 가장 우수한 PET/PVDC/PE/Al-vac/PE 복합필름이 장기저장용으로 이용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태발생을 연구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조사한 결과 유의확률이 0.05 이하인 수치들은 Hb과 Albumin, K, Na간, Neutrophil과 Leukocyte간이었고 상관계 수치는 $0.370{\sim}0.442$ 사이로 나타났다. 유의확률 0.01이하로 조사된 수치는 Cholesterol과 ALT간, LDH와 Platelet, Creatinine간, Platelet와 BUN간, Na와 K수치간 이었으며 상관계수는 $0.531{\sim}0.866$사이로 나타났다. 5. 농양환자에서의 검사치간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유의확률이 0.05이하인 수치들은 CRP와 Neutrophil간 이었고 상관계수는 0.

  • PDF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한 한국 성인 정상교합자의 안면 연조직에 대한 연구 (A study of facial soft tissue of Korean adults with normal occlusion using a three-dimensional laser scanner)

  • 백형선;전재민;이화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4-29
    • /
    • 2006
  • 치과교정영역에서 컴퓨터기술의 발달로 안면 경조직 및 연조직의 3차원적인 분석이 가능해졌으며 이에 따라 교정환자의 진단과 치료계획 및 치료 후에 연조직의 3차원적인 평가가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안면 연조직의 3차원적 분석을 위한 표준화된 기준이 없고 임상적용이 가능한 진단 프로그램은 아직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진단 시 유용한 안면 연조직 계측점들의 3차원 계측치(X, Y, Z)를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설정된 길이, 각도 및 비율의 정상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3차원 촬영 기구로 비접촉식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하였으며, 한국 성인 정상교합 자 남녀 각각 30명(남자평균 20.1세, 여자평균 21.7세)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Rapidform 2004 프로그램(Inus Technology Inc., Seoul, Korea)으로 3차원 영상을 만든 후 3차원 입체영상에 soft tissue nasion을 원점으로 하는 좌표계(X축-좌우, Y축-상하, Z축-전후)를 설정하고, 29개의 계측점을 지정한 후 거리계측 45개 항목, 각도 8개 항목, 거리비율 29개 항목을 분석하였다. 각각의 계측점의 3차원 좌표(X, Y, Z)를 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각각의 계측항목을 계산하여 표준화하였다. 특히, 각도항목에서 transverse upper lip prominence (Ch(Rt)-ULPm-Ch(Lt))는 남자 $107^{\circ}$, 여자 $106^{\circ}$였고, transverse mandibular prominence (Go'(Rt)-Pog'-Go'(Lt))는 남녀 모두 $76^{\circ}$였다. Naso frontal angle (G-N'-Pn)은 남자 $142^{\circ}$, 여자 $147^{\circ}$, transverse nasal prominence (Zy(Rt)-Pn-Zy(Lt))는 남자 $112^{\circ}$, 여자 $116^{\circ}$로 남녀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차가 있었다 (p<0.05). 하안면고경 하방 2/3 (Li-Me')와 하악체길이(Go'-Me'), 입술고경(ULPm-Li)과 폭경(Ch(Rt)-Ch(Lt))의 비율은 각각 2/5로 나타났다. 관상기준평면에서 안면의 윤곽을 나타내는 계측점인 FT, Zy, Pn, ULPm, Li, Me'까지의 거리의 비는 -1/-1/1/0.5/0.5/-0.6였다. 또한 얻어진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성인 정상교합자의 3차원 안면 모델을 제작하였으며 이는 교정진단 또는 치료결과 비교 시 template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이갈이 진단 및 조절용 구내장치의 개발과 신뢰도 조사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Intraoral Appliance for Diagnosis and Control of Bruxism)

  • 김성원;김미은;김기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1호
    • /
    • pp.69-77
    • /
    • 2005
  • 이갈이 치료에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구내교합장치는 치아와 턱관절 및 주위조직을 보호함으로써 이갈이 때문에 발생하는 여러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지만, 이갈이 억제에 있어서는 일시적인 증상감소의 효과만을 가질 뿐이므로 환자 스스로가 이갈이를 인지하여 습관을 중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특수한 장치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형 방수 스위치를 이용하여 구내장치에 들어가는 부품을 최소화하고 전원의 사용시간을 최대화 함으로서 상품화 가능한 이갈이 진단 및 조절용 장치(이하 이갈이장치)를 개발하여 소개하고, 임상적으로 사용하기 전 장치에 대한 신뢰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새로 개발한 장치는 이갈이 센서인 소형 방수스위치로 구성된 정보입력부, 중앙정보처리장치(CPU)인 정보처리부, 이갈이 신호를 수신하는 정보저장부, 이갈이 신호에 대한 소리나 진동으로 반응하는 반응장치부 및 컴퓨터상에서 저장된 이갈이 정보를 표시하여 이갈이 빈도와 시간, 양태 등을 확인시켜주는 정보표시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resin sheet로 만든 상하의 wafer 사이에 정보입력부인 스위치는 좌우 견치 설면에 고정하고 정보처리부 CPU는 구개중앙에 고정하여 구내교합장치를 제작한 한편, 여기에서 송신되는 정보는 별도의 외부 장치인 반응장치 및 정보저장장치에서 인식하여 feedback을 보낼 수 있도록 하였다. 장치제작의 신뢰도조사를 위해서는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학생 중 정상교합을 가진 지원자 10명의 상악 석고모형에 대하여 두 명의 술자가 각각 이갈이장치를 제작하여 그 장치가 반응하는 힘의 크기를 비교하였으며(술자간 신뢰도조사), 또한 한명의 술자가 첫 회에 조사한 정보를 기억하지 못하게 약 2일의 시간 간격을 두고 각각 제작하고 그 장치가 반응하는 힘의 크기를 비교하였다(술자내 신뢰도조사). 술자간 및 술자내 조사에서 이갈이장치가 반응하는 최소의 수직력, 측방력, 중심력에서 모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측정된 값에 있어 서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새로 개발한 이갈이장치는 부품을 소형화하였으며 제작이 편리하고 구강내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원의 사용시간을 최대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술자간 및 술자내 신뢰도 조사를 통하여 임상에 적용가능한 높은 재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 장치는 정보처리 및 저장장치가 있고 음향이나 진동을 이용한 바이오피드백 기능을 가지고 있어 이갈이 환자의 진단과 조절에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치조신경 절단 후 흰쥐 삼차신경절에서 VIP-IR의 변화 (VIP IMMUNOREACTIVITY IN THE RAT TRIGEMINAL GANGLION AFTER INFERIOR ALVEOLAR NERVE AXOTOMY)

  • 김흥중;박주철;김현섭;문주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5권2호
    • /
    • pp.225-234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and fluorescene intensity of vasoactive intestinal polypeptide(VIP) immunoreactive cells in rat trigeminal ganglion after inferior alveolar nerve axotomy.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normal and two experimental groups.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sacrificed at 14th and 28th day after inferior alveolar nerve axotomy. The trigeminal ganglion was removed and immersed in the 4% paraformaldehyde-0.2% picric acid in 0.1M phosphate buffer. Serial frozon sections about $16{\mu}m$ in thickness were cut with a cryostat. The immunofluorescence staining was performed. The rabbit anti-VIP(1 : 8,000) was used as primary antibody and fluorescene isothiocynate(FITC)-conjugated anti-rabbit IgG(1 : 80) as secondary antibody. The slides were observed under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Three-dimensional images were constructed from 9 serial images(each $1{\mu}m$ in thickness) made by automatic optical sectioning. Unprocessed optical sections were obtained and stored on a optical disk. Color picture were printed by a video copy processo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ppearance of VIP immunoreactive cells in the mandibular part of trigeminal ganglion was 8.79${\pm}$1.99% in normal group and 39.16${\pm}$5.62% in 14 days, 16.25${\pm}$2.39% in 28 days after inferior alveolar nerve axotomy groups. 2. The relative fluorescence intensity of VIP immunoreactive cell bodies in the mandibular part of trigeminal ganglion was 134.40${\pm}$10.39 in normal group and 192.88${\pm}$14.06 in 14 days, 143.10${\pm}$5.02 in 28 days after nerve axotomy groups. Therefore, the relative fluorescence intensity of 14 days after nerve axotomy group was 43.3% higher than intensity of normal group. 3. In optical single section analysis of VIP immunoreactive cell bodies, white cell bodies(moderate fluorescence intensity) were the most abundant in normal and 28 days after nerve axotomy groups. Whereas, in 14 days after nerve axotomy group, red cell bodies(high fluorescence intensity) were the most abundant. 4. In optical serial section analysis of VIP immunoreactive cell bodies, red cell bodies(high fluorescence intensity) were observed in a part of the 9 sections of normal and 24 days after nerve axotomy groups. Whereas, red cell bodies were observed in all of the 9 sections of 14 days after nerve axotomy group. 5. The results indicates that number and fluorescence intensity of VIP immunoreactive cells were increased in the mandibular part of trigeminal ganglion following inferior alveolar nerve axotomy.

  • PDF

방사선의 선량변화가 수종의 정상세포와 종양세포주의 세포활성도와 apoptosis 유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adiation Dosage Changes on the Cell Viability and the Apoptosis Induction on Normal and Tumorigenic Cells)

  • 박인우;이삼선;허민석;최순철
    • 치과방사선
    • /
    • 제29권2호
    • /
    • pp.435-449
    • /
    • 1999
  • Purpose : The study was aimed to detect the differences in the cell viability and the apoptosis induction after irradiation on normal and tumorigenic cells. Materials and Methods : The study. that was generated for two human normal cells(RHEK, HGF-l) and two human tumor cells(KB. HT-1080). was tested using MTT assay at 1 day and 3 day after irradiation and TUNEL assay under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at 1 day after irradiation. Single irradiation of 0.5. 1, 2. 4. and 8Gy were applied to the cells. The two fractions of 1. 2. 4. and 8Gy were separated with a 4-hour time interval. The irradiation was done with 5.38Gy/min dose rate using Cs-137 irradiator at room temperature. Results and Conclusions : 1. In 3-day group. the cell viability of HGF-1 cel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2. 4 and 8Gy irradiation, the cell viability of KB cel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8Gy irradiation and the cell viability of HT-I080 cel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4 and 8Gy irradiation. 2.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HEK and KB cell line in the cell viability of 3-day group at 8Gy irradia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HEK and HGF-1 cell line in the cell viability of 3-day group at 4 and 8Gy irradiation. 3. There was a significantly decreased cell viability in 3-day group than those in 1-day group at 2. 4 and 8Gy on HGF-1 cell. at 4 and 8Gy on HT-I080 cell. at 8Gy on KB cell. 4. We could detect DNA fragmented cells only on KB cell. Number of apoptotic cells of KB cel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4 and 8Gy irradiation.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cell viability and apoptosis. 5. On all 4 cell line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single and split irradiation method in cell viability and apoptosis.

  • PDF

상악 제1 및 제2소구치의 발치공간 폐쇄기전에 대한 3차원 유한요소 해석의 비교 연구 (Comparison of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closing patterns between first and second premolar extraction spaces)

  • 고신애;임원희;박선형;전윤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07-420
    • /
    • 2007
  • 교정 치료에서 발치공간 폐쇄는 치열을 이루는 모든 치아의 연속적인 이동으로 이루어지므로 그 기전은 복잡하다. 특히 전치부 치축을 적절히 유지하면서 구치부 고정원을 조절하는 과정은 정교함을 요하기 때문에 입체적 분석을 통한 치아이동 양상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유한요소 분석은 초기 응력분포를 관찰하여 치아 이동양상을 예측해 보는데 그쳤지만 이러한 양상만으로 정확한 치아이동 결과를 추정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유한요소 모델을 이용하여 상악 제1소구치 및 제2소구치 발치공간 폐쇄 시 전치부와 구치부의 입체적인 이동 양상을 단계별로 비교하여 그 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자연치의 크기 및 형태를 갖는 상악 치아들과 브라켓, 교정용 호선 및 치조골부를 3차원 레이저 스캐너로 스캐닝한 후 사면체 요소의 유한요소 모델을 제작하였다 $0.017"{\times}0.025"$ 스테인레스 강 호선에 제작된 bull 루프 후방에 $10^{\circ}$ gable bend를 부여하고 한 번에 2 mm씩 12회 활성화시켜 발치공간을 폐쇄시켰다. 그 결과 제1소구치를 발치한 경우 제2소구치 발치에 비해 전치부의 후방 이동량이 많았으며 구치부의 전방 이동량은 더 적게 나타났다. 전치부에서는 제f, 2소구치 발치 모두 비슷한 미약한 정출을 동반하였고 치축의 변화량은 제1소구치 발치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제2소구치 발치 시 고정원의 협측 이동량이 더 크게 나타났다

경피신경자극치료기(TENS)의 기능별 주파수에 따른 교근과 피개상피의 혈류변화에 관한 연구 (Blood Flow Changes in the Masseter Muscle and Overlying Skin Following Various Functional Waves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 조성국;어규식;전양현;홍정표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1호
    • /
    • pp.115-122
    • /
    • 2009
  • 경희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학생 16명을 대상으로 경피신경자극치료기(TENS)의 기능별 주파수에 따른 교근과 피개상 피의 혈류변화에 관하여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TENS를 적용한 실험에서 근육에서의 혈류가 증가된 것은 1.5, 3.0 Hz에서 관찰되었다. 2. TENS를 적용한 실험에서 근육에서의 이동혈류의 농도가 증가된 것은 1.5, 3.0, 6.0 Hz에서 관찰되었다. 3. TENS를 적용한 실험에서 근육에서의 혈류 속도가 증가된 것은 1.5 Hz에서만 관찰되었다. 4. 6.0Hz와 10.0Hz의 TENS를 적용한 실험에서 혈류, 이동혈류의 농도, 혈구 속도의 증가율이 모두 상피에 비하여 근육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6.0Hz의 혈류와 혈구 속도, 10.0 Hz의 혈류에서 가장 빈번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TENS를 적용한 물리치료를 시행할 경우에는 1.5, 3.0 Hz의 주파수가 효율적이며, 주파수의 강도가 높아질수록 근육에 미치는 영향은 바람직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NaCl 수용액에 담근 Hydroxyapatite 코팅된 타이타늄 시편의 표면 변화 (The Surface Characteristic Changes of Hydroxyapatite Coated Ti Disc When Immersed in NaCl Solution)

  • 백연화;김명주;권호범;임영준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4호
    • /
    • pp.339-347
    • /
    • 2012
  • Hydroxyapatite 코팅 임플란트의 세포반응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Hydroxyapatite 코팅된 타이타늄 시편을 NaCl 수용액에 다양한 기간 동안 담그어 놓았을 때 발생하는 표면거칠기, 표면접촉각, 표면에너지 등의 표면 특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Hydroxyapatite 코팅 타이타늄 시편을 0.9% NaCl 용액에 담근 후 각각 7일, 14일, 21일간 $37^{\circ}C$를 유지하였다. 담그지 않은 동일한 시편을 대조군으로 하였다.(n=3) 모든 시편을 공기 중에서 완전 건조 후 공초점레이저주사현미경(CLSM)를 이용하여 표면거칠기를 측정하였다. 증류수를 시편 표면에 떨어뜨린 후 표면접촉각을 video contact angle analyz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세 가지 용액을 떨어뜨려 접촉각을 측정하여 표면에너지를 산출하였다. 표면을 관찰하기 위해 Field Emission-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촬영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Hydroxyapatite 시편을 Nacl 수용액에 담그는 간단한 방법을 통해 표면거칠기 및 친수성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으며, 이러한 표면특성의 개선을 통하여 세포반응성이 증가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Bio-hybrid dental implants prepared using stem cells with β-TCP-coated titanium and zirconia

  • Safi, Ihab Nabeel;Hussein, Basima Mohammed Ali;Al-Shammari, Ahmed Majeed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2권3호
    • /
    • pp.242-257
    • /
    • 2022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periodontal ligament (PDL) restoration in osseointegrated implants using stem cells. Methods: Commercial pure titanium and zirconium oxide (zirconia) were coated with beta-tricalcium phosphate (β-TCP) using a long-pulse Nd:YAG laser (1,064 nm). Isolated bone marrow mesenchymal cells (BMMSCs) from rabbit tibia and femur, isolated PDL stem cells (PDLSCs) from the lower right incisor, and co-cultured BMMSCs and PDLSCs were tested for periostin markers using an immunofluorescent assay. Implants with 3D-engineered tissue were implanted into the lower right central incisors after extraction from rabbits. Forty implants (Ti or zirconia) were subdivided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implantation (healing period: 45 or 90 days). Each subgroup (20 implants) was subdivided into 4 groups (without cells, PDLSC sheets, BMMSC sheets, and co-culture cell sheets). All groups underwent histological testing involving ha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and immunohistochemistry, stereoscopic analysis to measure the PDL width, and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The natural lower central incisors were used as controls. Results: The BMMSCs co-cultured with PDLSCs generated a well-formed PDL tissue that exhibited positive periostin expression. Histolog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implantation of coated (Ti and zirconia) dental implants without a cell sheet resulted in a well-osseointegrated implant at both healing intervals, which was confirmed with FESEM analysis and negative periostin expression. The mesenchymal tissue structured from PDLSCs only or co-cultured (BMMSCs and PDLSCs) could form a natural periodontal tissue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i and zirconia implants, consequently forming a biohybrid dental implant. Green fluorescence for periostin was clearly detected around the biohybrid implants after 45 and 90 days. FESEM showed the invasion of PDL-like fibres perpendicular to the cementum of the bio-hybrid implants. Conclusions: β-TCP-coated (Ti and zirconia) implants generated periodontal tissue and formed biohybrid implants when mesenchymal-tissue-layered cell sheets were isolated from PDLSCs alone or co-cultured BMMSCs and PDLS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