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vae

검색결과 2,679건 처리시간 0.025초

세리신잠(Nd-s. $Nd^H$의 발육 특성 (The Developmental Characterization of the Sericin jam(Bombyx mori), a Mutant in the Synthesis and Secretion of Fibroin)

  • 김수연;손해룡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6-9
    • /
    • 2003
  • 세리신잠의 성장발육과 실용형질 등 세리신잠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Nd-s잠과 N$d^{H}$잠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얻은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최청기간은 Nd-s잠 10일 2시간, N$d^{H}$ 잠 10일 1시간, 백옥잠은 11일 1시간이었다. 실용부화율에 있어서 Nd-s잠과 Nd.$^{H}$ 잠은 83.9%와 83.3%였고, 백옥잠은 96%였다. 전령경과일수는 Nd-s잠 20일 1시간 N$d^{H}$잠 20일 5시간, 백옥잠 22일 12시간이었다. 2. 감잠비율은 Nd-s잠 12.0%, N$d^{H}$ 잠 18.7%, 백옥잠 5.3%이었으며, 화용비율은 Nd-s잠 83.0%, N$d^{H}$ 잠 76.3%, 백옥잠 92.3%였다. 3. 단견중은 Nd-s잠 1.39 g, N$d^{H}$ 잠 1.08g, 백옥잠 2.01 g, 전견중은 Nd-s 잠 13 cg, N$d^{H}$ 잠 3 cg, 백옥잠 48 cg이였으며, 견층비율은 Nd-s 잠 9.0%, N$d^{H}$ 잠 2.8%, 백옥잠 23.9%였다. 4. 고치의 크기는 Nd-s잠 장경 30.6mm, 단경 15.8mm, N$d^{H}$ 잠 장경 24.7mm, 단경 14.9mm, 백옥잠 장경 35.8mm, 단경 20.5mm이었다.5.8mm, 단경 20.5mm이었다.

아메리카동애등에(Hermetia illucens)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black soldier fly, Hermetia illucens)

  • 박관호;최지영;남성희;김성현;곽규원;이석현;노시갑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42-146
    • /
    • 2014
  • 최근 곤충자원을 이용하여 식약용 및 사료로 활용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미래의 자원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본다. 특히, 대량으로 생산이 용이하고 유충과 번데기의 조단백질 및 무기물 함량이 우수한 아메리카동애등에는 양계 및 양어사료의 원료로써 사용 가능성이 높게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아메리카동애등에의 유충 및 번데기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아메리카동애등에 번데기의 물 추출물의 경우 DPPH 라디칼 소거능이 $147.8{\pm}1.6%$로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된 Vitamin C(5 mg/mL)의 $109.0{\pm}0.15%$와 메뚜기의 $109.5{\pm}28%$ 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FRAP을 통한 환원력 측정에서도 DPPH 결과와 마찬가지로 아메리카동애등에 번데기의 물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로 보아, 아메리카동애등에 유충 및 번데기의 추출물은 라디칼 소거능 및 산화환원작용을 통하여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번데기의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기대되었다. 추후 추출물의 산업적인 활용가능성을 보다 명확히 확인하기 위하여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강원도 동해시 황강흡충 감염의 역학적 조사연구 (Epidemiological Survey on Metugonimus yokogawui Infection in the Eastern Coast area of Kangwon-Province, Korea)

  • 안영겸;정평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5권1호
    • /
    • pp.59-68
    • /
    • 1987
  • An epidemiological survey on Metagonimus yokogawai infection was performed in the eastern coast area of Kangwon province. Formalin-ether concentration technique and Stoll's dilution egg counting method were employed to figure out the prevalence and intensity of M. yokogawai infection and eating habits of inhabitants with raw freshwater fish.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revalence rate of M. yokogawai infection was 6.6% among a total of 2, 357 examinees; 8.6% (115 out of 1, 345) in male and 4.0% (40 out of 1, 012) in female. 2. The prevalence rates were different by the streams where the examinees were residing: 17.8% along the area of Ohsip-cheon (stream), 11.8% along Maeup-cheon, 1.7% along Hwasang-cheon, 1.3% along Yeongok-cheon, 0.9% along Namdae-cheon, 0.9% along Sa-cheon and 0% in the other streams (Yongchon-cheon, Kangnung Namdae-cheon and Jusoo.cheon) in decreasing order. 3. By social strata, the positive rate was 8.0% (122 out of 1, 521) in general inhabitants and 3.9% (33 out of 836) in school children. 4. By the intensity of infection by means of EPG counts in feces; the light infection (less than 400/EPG) was 74.1%, moderate infection (401-1, 000/EPG) 17.3% and heavy infection (more than 1, 001/EPG) 8.6%. 5. Twelves out of 50 sweetfish (Plecoglossus altivelis) (24%) caught from the streams in eastern coast of Kangwon-Do were infected with metacercariae of M. yokogawai, and the number of larvae detected were 70.7 per 6sh in average. The metacercarial infection rates in fish were also different by the streams; 100% in Ohsip-cheon of Samcheok-Gun, 14.3% in Sa-cheon, 16.7% in Yeongokcheon of Myeongju-Gun and 0% in Namdae-cheon of Yangyang-Gun, respectively. 6. Six hundred ninety live (695) out of 1, 396 inhabitants and school children (49.8%) were experienced in eating raw freshwater fishes (Plecoglossus altivezis, Triboledon hakonensis, Coreoperca sp., Morose sp., Carassius sp. & Cyprinus sp. and Zacco platypus). The data were assayed with the questionnaire collected from the examinees. In summarizing the above results, it is known that the Ohsip-cheon area of Samcheok-Gun is highly infected region, and the other areas of Kangnung Namdae-cheon, Yeongok-cheon and Yangyang Namdae-cheon are very lowly infected or non-infected regions for M yokogawai infection.

  • PDF

복강삼출세포를 이입받은 마우스에서의 간흡충에 대한 면증응답 (Passive Transfer of Immunity against Clonoychis sinensis by Peritoneal Exudate Cells in Mice)

  • 권태찬;강진무;최동익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5권1호
    • /
    • pp.45-50
    • /
    • 1987
  • 감작복강삼출세포가 BALB/c마우스에서 간흡충에 대한 면역을 이입 할 수 있는지 규명하기 위해 10마리의 donor마우스를 5마리씩 2군으로 나누어 한 군에는 20개의 간흡충 피낭유충을 강구감염시켰고 다른 군에는 20마리의 본 탈낭유충을 간강내 주입한 30일 후에 도살하여 복강삼출세포를 얻었다. 제1차 감작을 하기위해 20마리의 recipient마우스를 4마리씩 4군으로 나누어 제1군은 간흡충 피낭유충을 가구감염시킨 donor마우스의 복강삼출세포를 recipient마우스의 복강내 주입하였고, 제2군은 본 탈낭유충을 간강내 주입한 donor마우스의 복강삼출세포를 recipient마우스의 복강내 주입하였으며, 제3군은 20개의 본 피낭유충을 경구감소시켰다. 제4군은 비처치대조군으로 하였다. 제1차 감작한 4일후에 전 recipient마우스에 20개의 본 피낭유충을 challenge강구감소시켜 30일후에 모두 도살하여 대조군의 대편 g당 충란수, worm burden 및 비장당에 의한 면역이입의 여부를 판정하였다. Donor마우스의 복강삼출세포를 recipient마우스의 복강내 주입하였을 때 제1군과 제2군마우스에서는 제4군마우스에 비해 대편 g당 충란수의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제3군에서는 그 충란수가 감소되지 않았다. Worm burden은 제2군 마우스에서만 제4대조군에 비해 유의적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plaque형성세포는 제1군보다 제2군에서 많이 검출되었고 특히 간흡충 피낭유충으로 감작한 복강삼출세포를 복강내 주입받은 BALB/c마우스에서는 면역에 이입됨을 알았다.

  • PDF

문절망둑(Acauhogobius flavimanus)에서 획득한 Stictodora fuscatum의 피낭유충 (Stictodora fuscatum (Heterophyidae) metacercariae encysted in gobies, Aconthogobius flavimanus)

  • 손운목;채종일;이순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2권3호
    • /
    • pp.143-148
    • /
    • 1994
  • 1990년 9월과 11월에 전남 해남군에서 구입한 문절망둑에서 Stktodnro속 흡충의 퍼낭유충을 검출하였으며 이들을 고양이에 실험감염시킨 후 성충을 회수하였던 바, Stietodoraj교calm으로 동정되었다. 피낭유충은 30마리의 문절망둑에서 총 1,437개가 근육(51.1%), 두부(27.7%) 및 내장(21.2%) 등에서 검출되었고 $0.194~0.301(평균 0.264){\;}{\times}{\;}0.168~0.270{\;}(평균{\;}0.226){\;}mm$ 크기이었으며 타원형이었다 5마리의 고양이에 각각 200개씩의 피낭유충을 감염시키고 7일과 9일 후에 충체를 회수하였던 바 감염 7일된 2마리의 고양이에서 총 21마리의 성충이 회수되었다. 성충은 체장이 0.514~0.918(평균 0.714) mm이었고 체폭은 0.235~0.377(평균 0.313)mm이었으며 나무잎 모양이었다. Stiotodo속 흡충의 종 동정에 있어서 중요한 열쇠가 되는 ventrogenltalsac은 타원형이었고 gonotyl과 geutal sinus가 겹쳐 있었으며 gonotyl에는 13~18개의 소극이 부채살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었다. 자궁내 충란은 긴 난원형으로 $0.032~0.038(평균 {\;}0.035){\;}{\times}{\;}0.019~0.023(평균{\;}0.020){\;}mm$ 크기이었다. 이 연구로 문절망둑이 S. fuscatum의 제 2 중간숙주 및 인체 감염원임을 확인하였다.

  • PDF

전남 해남군산 반염수어의 이형흡충류 피낭유충 감염상 (Infection status with the metacercariae of heterophyid flukes in the brackishwater fish from Haenam-gun, Chollanam-do, Korea)

  • 손운목;한경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2권3호
    • /
    • pp.163-170
    • /
    • 1994
  • 1991년 11월파 12월에 전남 해남군 해남읍 시장에서 구입한 전어(30마리). 농어(20 마리). 숭어(30마리). 문절망둑(30마리) 등에서 이형흡충류 피낭유충 감염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어에서는 조사한 30마리 중 20마리(66.7%)에서 긴이형흡충(Hetenphyopsis coninua)의 피낭유충이 총 53개가 검출되었다. 농어에서는 조사한 20마리 중 19마리(95.0%)에서 긴이형흡충 피낭유충이 총 327개(감염 어체 당 평균 17.2개)가 검출되었다. 숭어에서는 조사한 30마리 중 11 마리(36.7%)에서 유해이형흡충(Hetenphyes nocens)의 피낭유충이 총 567개(감염 어체당 평균 51.5개)가 검출되었고. 10마리(33.3%)에서 표주박이형흡충(Fygidiopsis summa)과 자루이형흡충 (Stictodora fuscatum)의 피낭유충이 각각 31개 및 349개가 검출되었다 문절망둑에서는 조사한 30마리 중 3마리에서 유해이형흡충의 피낭유충이 총 96개가 검출되었고, 8마리(26.7%)에서 긴이형흡충의 피낭유충이 총 101개(감염어체당 평균 12.6개)가 검출되었으며 3마리에서 자루이형흡충의 피낭유충이 9개가 검출되었다. 이상과 같이 전남 해남군산 반염수어들이 이형흡충류 피낭유충에 농후히 감염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Ticks Collected from Selected Mammalian Hosts Surveyed in the Republic of Korea During 2008-2009

  • Kim, Heung-Chul;Han, Sang-Hoon;Chong, Sung-Tae;Klein, Terry A.;Choi, Chang-Yong;Nam, Hyun-Young;Chae, Hee-Young;Lee, Hang;Ko, Sung-Jin;Kang, Jun-Gu;Chae, Joon-Seo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9권3호
    • /
    • pp.331-335
    • /
    • 2011
  • A tick surve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ve abundance and distribution of ticks associated with selected mammals in the Republic of Korea (ROK) during 2008-2009. A total of 918 ticks were collected from 76 mammals (6 families, 9 species) captured at 6 provinces and 3 Metropolitan Cities in ROK. Haemaphysalis longicornis (54.4%) was the most frequently collected tick, followed by Haemaphysalis flava (28.5%), Ixodes nipponensis (7.6%), Ixodes pomerantzevi (4.8%), Ixodes persulcatus (4.6%), and Haemaphysalis japonica (0.1%). Adults (57.0%) and nymphs (28.7%) of Ixodes and Haemaphysalis spp. were collected most frequently from medium or large mammals in this survey, while few larvae (14.3%) were collected. Hydropotes inermis was the most frequently captured mammal (52.6%), with a 16.4 tick index and 5 of 6 species of ticks collected during this survey. H. longicornis (69.7%) was the predominant tick collected from H. inermis, followed by H. flava (22.2%), I. persulcatus (6.1%), I. nipponensis (1.8%), and H. japonica (0.2%).

Prevalence of Toxocariasis and Its Risk Factors in Patients with Eosinophilia in Korea

  • Song, Hyun Beom;Lee, Deokho;Jin, Yan;Kang, Jinwoo;Cho, Shin-Hyeong;Park, Min Sun;Park, Jin-Ho;Song, Woo-Jung;Kang, Hye-Ryun;Lee, Sang Hyub;Hong, Sung-Tae;Choi, Min-Ho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8권4호
    • /
    • pp.413-419
    • /
    • 2020
  • Eosinophilia occurs commonly in many diseases including allergic diseases and helminthic infections. Toxocariasis has been suggested as one cause of eosinophilia.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prevalence of toxocariasis in patients with eosinophilia and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for toxocariasis. This prospective cohort study recruited a total of 81 patients with eosinophilia (34 males and 47 females) who visited the outpatient clinic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17 to February 2018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prevalence of toxocariasis was examined by T. canis-specific ELISA, and the various risk factors for toxocariasis were evaluated by a questionnaire survey. Among 81 patients with eosinophilia, 18 were positive for anti-T. canis antibodies (22.2%); 88.9% were male (16/18) and 11.1% were female (2/18).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at males (OR 21.876, 95% CI: 1.667-287.144) with a history of consuming the raw meat or livers of animals (OR 5.899, 95% CI: 1.004-34.669) and a heavy alcohol-drinking habit (OR 8.767, 95% CI: 1.018-75.497) were at higher risk of toxocariasis in patients with eosinophilia. Toxocariasis should be considered a potential cause of eosinophilia when the patient has a history of eating the raw meat or livers of animals in Korea. A single course of albendazole is recommended to reduce the migration of Toxocara larvae in serologically positive cases with eosinophilia.

여름철 미스트 처리가 절화 장미 '한마음'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st Treatment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Cut Rose 'Hanmaum' during Summer)

  • 천영신;하수현;정경진;최경옥;윤재길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5호
    • /
    • pp.538-543
    • /
    • 2013
  • 여름철 절화 장미 재배 시 고온으로 인한 품질저하를 방지할 목적으로 분무기를 설치하여 기온의 변화와 절화 장미의 품질 및 병충해 발생 정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분무처리 횟수가 증가할수록 일일 최고 온도가 떨어지는 효과가 있었으며, 5분 간격으로 10초간 처리했을 때 최고온도를 $6^{\circ}C$ 정도까지 떨어뜨리는 효과가 인정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온도저하 효과는 일일 최고온도가 $40^{\circ}C$ 이상이 되었을 때만 나타났다. 또한 분무처리는 장미의 초장과 생체중을 10-20%정도 촉진시키는 효과가 인정되었다. 다만, 분무처리에 의해 기형화 발생이 많아지고 절화수명이 대조구에 비해 오히려 짧아지는 등, 절화품질에는 부정적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파밤나방유충이나 깍지벌레와 같은 해충의 발생이 많아지는 부작용도 있었다. 따라서 여름 고온 시 온도저하 목적으로 분무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40^{\circ}C$ 이상의 고온 시에만 사용하는 것이 좋고, 해충의 발생이 심해질 수 있으므로 예방을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었다.

수출용 황금배의 저온저장 중 검역병해충 발생조사 (Quarantine Pest Occurrence in Exporting Pear Fruits (Pyrus pyrifolia Nakai cv. Whangkeumbae) during Cold Storag)

  • 이호기;우창남;남궁승박;서용선;나진호;김영일;김기경;김병기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1호
    • /
    • pp.22-27
    • /
    • 2000
  • 배를 캐나다 등 외국에 수출할 시는 수출 상대국의 검역요건에 맞추어 주어야 한다. 수출국 특히 캐나다에 수출되는 배의 검역상 문제점을 찾아 그 해결법을 제시하고자 수출 조건에서 수출 단계별 검역규제병해충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복숭아명나방과 복숭아순 나방이 발견되었으나 이들은 저온처리로 인하여 모두 사멸되었다. 해충은 복숭아심식나방류 유충이 과실로 이동되는 시기에 방제를 소홀히 한 생산지 과실에서 발견되었으므로 복숭아명나방 등 심식나방류 유충이 과실로 이동되는 시기에 예찰을 철저히 하여 적기방제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병원균은 과실의 선과 작업과 이동할 때 생긴 압상, 자상 등 상처를 통하여 Penicillium sp. 및 Alternaria sp.의 부생균이 감염된 것이 발견되고 검역병원균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들 병원균도 비록 비검역병원균이라고 하지만 부패과실이 일정비율 초과할 경우 수출자가 수입자에게 이를 보상하여야 하므로 수출배 중 외피가 얇은 황금배 등은 수확 후 운송과정과 선과장 선과 작업 중에 특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