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scape facility factors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5초

한라산국립공원 탐방객 만족요인 및 예측모형 분석 (Satisfaction Factors and Determinants of Visitors in Hallasan National Park, Korea)

  • 김동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0-125
    • /
    • 2007
  • 본 연구는 한라산국립 공원 탐방객들의 탐방 후 평가를 통하여 만족도, 만족요인과 예측모형 을 분석하여 실질적인 공원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만족도에서는 위생시설의 청결성, 편익 및 안내시설의 부족 등이 가장 불만족요인으로 나타났고, 만족요인으로는 '경상적 탐방관리요인'이 기여율 46.8%로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만족도 예측모형에 있어서는 위생시설부족, 쓰레기문제, 교통시설 안전성 등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모형을 만들었다.

도시재생사업에 따른 골목정원 구성요소의 만족도 분석 - 대구광역시 비산 2·3동을 대상으로 - (Analysis of Satisfaction on Alley Garden's Components through Urban Regeneration - Focused on Bisan 2·3-dong in Daegu Metropolitan City -)

  • 장철규;황명란;신재윤;정성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137-148
    • /
    • 2017
  • 본 연구는 바람직한 도시재생 방안으로서 지역 주민의 의견을 수렴 분석하고, 골목환경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대구광역시 비산 2 3동 골목정원 조성지역의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골목정원 구성요소의 중요도 및 만족도 분석에서는 '조명시설 설치', '하수 및 쓰레기 처리', 'CCTV 설치' 등 안전하고 청결한 환경과 관련된 항목들이 높은 중요도 값을 가지며, '조명시설 설치', '초화류의 양', '초화류의 종류' 등 주거환경 개선사업의 시행과 골목정원 조성으로 개선된 항목들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IPA 분석결과, '빈집 정비', '벤치, 파고라 등 휴게시설', '주민교류 공간', '공용주차장' 등의 항목들이 중요도는 높지만 만족도가 낮아 중점개선이 필요한 항목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요인분석을 통해서 골목정원 구성요소들이 '안전 및 청결성', '녹음성', '미관정비', '교류 및 편의시설' 등 4개 요인으로 유형화되었다. 이를 토대로 4개 요인이 전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한 결과, 4개의 요인 모두 전체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며, '미관정비'와 '안전 및 청결성'이 각각 0.274, 0.235로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골목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주민교류 공간 및 휴게시설 설치가 우선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골목환경의 전체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조형물 설치, 벽화 그리기 등과 같은 활동에 주민 참여를 유도하고, 안전벨, 범죄예방, 환경설계 등의 도입과 골목미화 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수목원 방문객 만족도 증진을 위한 개선방향 - 제이드가든 내 4개 주제정원을 대상으로 - (An Improvement Direction for Increases of Visitor Satisfaction on Arboretum by Post-evaluation - Based on Jade Garden -)

  • 박건;윤영조;길승호;노회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0-7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제이드가든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주제원의 식물전시 만족도, 관람로 만족도, 시설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세부적인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만족도분석을 위해 제이드가든 내 4개의 주제원별로 100부씩 총 400부의 설문결과를 통계 분석에 활용하였다. 통계기법은 다중회귀분석 t-test, 다원배치분산분석 등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식물원 내 주제원의 만족도는 식물전시가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시설물이 가장 작은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나타났다. 식물전시 만족도의 세부요인의 분석 결과에 의하면 식물다양성 만족도, 식물배치방법이 각 주제원에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있었다. 식물다양성에 대한 만족도 분석에서는 다양한 종의 도입이 주제원의 만족도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단일 수종으로 특화하여 조성된 주제원인 은행나무미로원의 경우, 만족도가 높게 분석되어 식물의 다양성과 그에 따른 만족도가 비례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정원의 주제나 조성의도에 따라 식물다양성 연출이 이용만족도에의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관람로의 경우 동선의 폭원이 이용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는데, 이는 제이드가든의 성수기 내 집중된 이용객의 증가 요인으로 관람로 내 이용객의 교행 가능여부가 만족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시설물의 경우 휴식 및 편의 시설의 존재유무가 방문객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향후 이용자만족도 증진을 위한 수목원의 관리 및 조성에 있어서 식물다양성, 식물배치방법, 관람로의 폭원, 시설물다양성 등이 중요도가 높은 설계인자로 고려되어야 하며, 세부적인 방문객 만족요인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주제원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농촌지역 개발사업 공동시설의 활용도 기준체계 정립을 통한 실태 파악 연구 (Comparing Stakeholder Perceptions on the Reasons for Rural Underutilization of Common Facilities )

  • 김은솔;이재호
    • 농촌계획
    • /
    • 제29권3호
    • /
    • pp.53-67
    • /
    • 2023
  • In this study, the problem of the idleness of public buildings in rural areas is seriously emerging, but there are no clear standards for assessing the utilization of these buildings. Therefore, this study endeavors to investigate the actual state of idleness of buildings created by rural area development projects based on the criteria for each type. As part of this study, rural facilities were selected in two locations in Sangju City and Miryang City among the target areas of the Rural Agreement. Utilization evaluation criteria were developed to identify the conditions of underutilizat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utilization pattern for each facility type, an in-depth interview with the operator and an inspection of the facility were conducted. Based on the analysis, the degree of utilization (e.g., low use, non-use, etc.) was different for each facility type, and among the four facility types (rural tourism, culture and welfare, exercise and recreation, income-based), rural tourism was rated as the least efficient. It has been found that the operating entity's capacity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utilization of facilities. Socioeconomic factors, such as a decrease in utilization rates, are greatly influenced by the operating entity's capacity. Therefore, support from local governments as well as the national level is required to recycle idle facilities. Lastly,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different standards for utiliza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facility. This moves beyond checking the degree of idleness by the same standard that was previously implemented.

공원 내 물리적 환경인식이 건강증진 목적의 공원이용에 미치는 영향 - 대구광역시 수성구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 (Influence of Physical Environment Perception on Park Use for Health Improvement - Focused on Neighborhood Parks in Suseong-gu, Daegu City -)

  • 장철규;정성관;이우성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68-80
    • /
    • 2016
  • 본 연구는 건강증진 목적으로 공원을 이용할 경우, 물리적 환경에 관한 인식이 이용자의 만족도 및 공원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대구광역시 수성구의 근린생활권 근린공원으로 설정하였으며, 총 143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먼저 공원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인식평가에서는 거주지로부터 공원까지의 접근 및 보행환경에 관한 항목들이 4.04로 높게 평가된 반면, 수공간과 공원 내 볼거리에 관한 항목들은 각각 2.32, 2.66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다음으로 22개의 물리적 환경 인식요소들을 대표 요인으로 유형화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안락성, 이용성, 쾌적성, 시설편의성, 시각성 등 5개 요인으로 유형화되었다. 이를 토대로 만족도 및 공원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공원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안락성, 이용성, 쾌적성, 시설편의성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쾌적성이 0.315로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원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이용성과 쾌적성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용성이 0.396으로 쾌적성 0.293보다 더 높은 영향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건강증진 장소로서 공원이용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충분한 녹지면적 확보, 수목 및 시설 관리를 통한 쾌적한 환경 조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공원이용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거주지에서 공원까지의 보행환경 정비, 산책로 개선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공원의 필수 설계요소 추출 - 2017년 서울시 공원이용 만족도 조사의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 (Extraction of Essential Design Elements for Urban Parks - Based on the Analysis of 2017 Satisfaction Survey of Park Use in Seoul -)

  • 이재호;김순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41-48
    • /
    • 2018
  • 본 연구는 도시 내 공원을 새로이 조성하거나 기존의 도시공원을 재정비할 때 공원의 이용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필수적인 설계요소를 추출함으로써 계획 및 설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서울시가 2017년 시행한 공원이용만족도 조사의 결과를 분석하여 도시공원의 중요설계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시설관리상태, 조경 및 경관, 공원 안전성, 친절도 등의 항목을 중요 설계요소로서 추출한 후 회귀분석을 통하여 각 항목과 공원이용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공원 안전성(${\beta}=0.276$, p<.000), 조경 및 경관(${\beta}=0.230$, p<.000), 시설관리상태(${\beta}=0.215$, p<.000), 친절도(${\beta}=0.208$, p<.000) 순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공원 안전성의 확보를 위하여 추후 도시공원의 설계에서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 등의 적극적인 활용이 요구되며, 적절하며 균형 있는 수경시설과 수목의 배치 및 관리를 통한 짜임새 있는 조경 및 경관의 구성 또한 도시공원의 이용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추후 공원설계에서 매우 주의 깊게 다루어야 할 요소로 판단되었다. 이에 반해, 현 도시공원에서 가장 시급하게 개선되어야 할 요소로서 나타난 친절도의 경우, 추후 도시공원의 설계과정에서는 필수설계요소로서의 공원 안전성 및 조경 및 경관 요소에 비해 그 중요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추후 도시공원의 설계과정에서 이용자 만족도를 최대화하고, 실제 이용자에게 보다 가치 있는 공간의 제공을 위해서는 공원 안전성 및 조경 및 경관 요소의 적절한 활용이 요구된다. 더 나아가, 향후 연구에서는 이 논문에서 밝혀진 요소들을 통한 보다 구체적이며, 세분화된 도시공원 디자인 전략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농촌지역 공동시설 저활용 원인에 대한 이해관계자별 인식비교 연구 (Comparing Stakeholder Perceptions on the Reasons for Rural Underutilization of Common Facilities)

  • 김은솔;이재호
    • 농촌계획
    • /
    • 제29권1호
    • /
    • pp.59-68
    • /
    • 2023
  • Despite the serious problem of idle communal facilities in rural areas, previous studies focused on determining their status and grasping their current status rather than proposing fundamental solutions. The purpose is to suggest a direction for activating these facilities. To identify the key factors hindering the use of idle and under-utilized facilities in rural area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ree groups of interested parties, public officials, operators, and rural residents, to identify items that were effective and examine significant cognitiv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nalysis, it was concluded that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the level of awareness, the causes of preventing facility utilization appear to be similar. Although local governments desire to avoid criticism for idleness, it was found that they are most aware of the limitations of administrative support. Even within the village, residents do not recognize the need for additional facilities unconditionally but do realize their own inadequacies. Thus, despite the differences among stakeholders,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consensus regarding the problem of idle communal facilities in rural areas. As a result, the operating entity is delegated to an individual rather than a joint entity so as to allow the facility to be operated responsibly, and local ordinances are enacted by a group of local officials in order to overcome administrative guidelines limitations. It is suggested that the main issue is securing manpower.

농촌지역개발사업 조성 시설물의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 사업선정요소에 대한 IPA분석 및 사업운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Operational Activation of the Facilities in the Rural Development Project - A Focus on the IPA on The Project Selection Factor and The Operation of a Business -)

  • 김해영;나승화;신용규;조중현
    • 농촌계획
    • /
    • 제25권1호
    • /
    • pp.89-97
    • /
    • 2019
  • This study aims to make a revitalizing plan for managing and maintaining of facilities which were installed after the rural development project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some issues of operating facilities from the developing plan. There were some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establishment stage of the project plan when promoting rural development projects. Among them, the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of rurality, consistency with business plans, connectivity with local resources, and ease of maintenance were less reflective than its importance. And for each facility, systematic consulting on appropriate scale and operational management plans and detailed planning is needed.. It's also necessary to plan action so that the local community can lead. The current or future rural development project will be succeeded when local governments support to strengthening their local groups or people's abilities.

지하역사 내 승하차 인원에 따른 식생바이오필터의 미세먼지 저감효과와 운전전략 (The Fine Dust Reduction Effect and Operational Strategy of Vegetation Biofilters Based on Subway Station Passenger Volume)

  • 이재영;김예진;김미주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3-18
    • /
    • 2023
  • A subway station is a prominent multi-purpose facility where the quantitative management of fine dust, generated by various factors, is conducted. Recently, eco-friendly air purification methods using air-purifying plants are being discussed, with the focus on biofiltration through vegetation. Previous research in this field has confirmed the reduction effects of transition metals such as Fe, which have been identified as harmful to human health.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sources of fine dust dispersion within subway stations and derive an efficient operational strategy for air-purifying plants that takes into account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fine dust within multi-purpose facilities. The experiment monitored regional fine dust levels through IAQ stations established based on prior research. Also,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time-series and correlation analyses by linking it with passenger counts at subway stations and the frequency of train stops. Furthermore, to consider energy efficiency, we conducted component-specific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derive the optimal operational strategy for air-purifying plants based on time-series comprehensive analysis data and confirm significant energy efficiency.

  • PDF

강원지역 계곡의 물리적 특성 및 고요함 분석 (Analysis of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Tranquility of the Valley in Gangwon Province)

  • 김경남;한갑수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1호
    • /
    • pp.152-16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tranquility of the valleys located in Gangwon region. For this study we analyzed the field survey data 135 valleys using GIS. The elements for measurement of tranquility were divided into visual elements including terrain, objects, forest, water and auditory elements including noise. These elements were divided further into positive and negative factors. The weight of each element and item was calculated by applying the AHP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length of the valley ranged from 126 m to 17 km, and the elevation ranged from 40 m to 1,800 m. Type of mixed forest was common in the valleys. The depth of the water was over 20 cm in 83% of the total area and most of the water was in good condition in visual quality. Regarding the positive factors of tranquility, the weighted scores of the objects, waterfall sounds and visual transparence of the water were of relatively high value. Relatively high values were also shown in closed and curved topography in the landform, forest type and natural forests. In the negative factors, the weights of the objects and forest elements had high values. Within the facility groups, facility of the river produced a considerable negative. After applying the index of tranquility, the natural physical attributes affected the tranquility value, more than the manmade structures to a much greater degr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