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ic bacteria strain

검색결과 391건 처리시간 0.031초

프로바이오틱스로서의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acidophilus as a Probiotics)

  • 오세종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7권3호
    • /
    • pp.155-166
    • /
    • 2019
  • Bacteria from the genus Lactobacillus are important for the production of fermented food and dairy products, and as symbionts in human and animals. Lactobacillus acidophilus has widely been used in the production of yogurt, health foods, and even medicines. The efficacy of L. acidophilus has been proven with regards to the reduction of cholesterol,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arrhea, modulation of the immune system, suppression of cancer, etc. Using molecular biology tools, Lactobacillus acidophilus has now been reclassified into six species: L. acidophilus, L. amylovorus, L. crispatus, L gallinarium, L. gasseri, and L. johnsonii. Thus, since L. acidophilus has now been marked as a newly defined species, caution is advised when reading future publications regarding this bacterium. In this article, the results of the reclassification of L. acidophilus are mentioned after an analysis of its field inheritance was performed by my research team. Especially, L. amylovorus KU4 (formerly named as L. acidophilus KU4; KCCM 10975P) is a novel probiotic strain that is isolated from humans; it has the ability to reduce cholesterol. It has also been reported as a microorganism that effectively inhibits the growth of pathogenic E. coli. However, this Korean patent (No 10-1541280) refers to a strain obtained from calves; the origin of this strain was incorrectly labeled. Furthermore, after the discovery of L. acidophilus in 1900, its role in intestinal microbiological research was described and its utilization as a probiotic was presented.

김치유산균인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YH-10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Bacteriocin, lacticin YH-10, Produced by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YH-10 Isolated from Kimchi)

  • Park, Eun-Min;Kim, Young-Hwa;Park, So-Jin;Kim, Yun-Im;Ha, Yu-Mi;Kim, Sung-Koo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83-688
    • /
    • 2004
  • API test를 통해서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이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의 한 종임 을 확인하고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YH-10이라 명명하고, 생산된 박테리오신을 lacticin YH-10으로 명명하였다.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YH-10을 $25^{\circ}C$, 3$0^{\circ}C$와 37$^{\circ}C$에서 배양한 결과 $25^{\circ}C$에서 박테리오신을 생성하였다. Lacticin YH-10은 여러 가지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항균활성을 소실하였으므로, 단백질로된 박테리오신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alpha$-amylase, $\beta$-amylase, glucoamylase의 처리에도 활성을 일부 소실하였으므로 박테리오신의 분류 중 classIV에 속함을 알 수 있었다 Ammonium sulfate정제한 후 SDS-PAGE를 통해 박테리오신의 분자량이 대략 14kDa임이 확인되었다. Lacticin YH-10은 단백질계 물질로서 인체 내에서 분해가 가능하기 때문에 일반 화학 보존제 보다 인체에 안정함을 알 수 있다. Lacticin YH-10은 낮은 pH와 높은 온도에서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식품보존제로서 이용할 수 있다.

김치에서 젖산균의 분리 및 이 세균들의 배추즙액 발효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Fermenting Kimchi and Their Fermentation of Chinese Cabbage Juice)

  • 심선택;경규항;유양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73-379
    • /
    • 1990
  • 김치류 발효 중에 분리 될 수 있는 젖산균은 Leu. mesenteroides, Lac. plantarum, Lac. brevis 및 Ped. pentosaceus와 같이 이미 잘 알려진 젖산균 외에도 젖산 생성능은 약하나 발효초기에 숫자나 번식속도면에서 Leu. mesenteroides와 비슷한 간균들이 여러종 발견되었다. 이 초기간균들은 Lac. leichimannii, Lac. fermentum, Lac, sake 등으로서 이들을 합쳐 초기 숫자가 $10^4\;cells/ml$를 능가하였고 발효 중 최대숫자 $10^9cells/ml$까지 번식하였다. 김치로부터 분리동정된 젖산균을 식염이 첨가되지 않은 배추즙액과 3.9%의 식염이 첨가된 배추즙액을 개별적으로 순수배양했을 때 Leu. mesenteroides한 종과 Lac. leichimannii는 산생성에 차이가 없었으나 Leu. mesenteroides 다른 한 종과 Lac. fermentum 및 Lac. plantarum은 식염이 존재할 때 산생성능이 저하되었다. 분리된 젖산균을 조합하여 복합균주로 3.9% 식염이 첨가된 배추즙액을 발효시켰을 때 초기간균들은 발효에 유의할만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고, Leu. mesenteroides가 조합에 포함되어 산이 생성되었으며 최종 산생성량도 많았다. 김치원료 혼합물 중의 초기 젖산균수는 $10^4cells/ml$ 이상이었으며 Lac. plantarum수는 이보다 훨씬 적어서 $0.36{\sim}240cells/g$으로 나타났고 각 원료당 Lac. plantarum의 수는 특이하게 높은 숫자 $(3.6{\times}10^2{\sim}4.4{\times}10^6cells/g)$를 나타내는 깐마늘을 제외하고는 $0.0{\sim}240cells/g$의 범위에 있었다.

  • PDF

두유 커드를 생산하는 김치 유래 젖산균의 동정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Soy Curd-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 김로의;안순철;유선녕;김광연;성종환;이영근;김한수;김동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35-24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두유 curd를 형성하는 미생물을 분리하는 것이다. 두유 curd를 형성하는 미생물은 채소를 젖산균으로 발효시킨 전통적인 한국의 음식, 김치로부터 분리하였다. 분리 균주 196개 중 10개의 균주(strain No. 2-2-2, 2-15-2, 2-18-1, 2-19-2, 3-4-1, 3-4-2, 3-8-1, 3-8-3, 3-17-1, 4-39-5)가 단단한 두유 curd를 형성하였고 분자생물학적 생화학적 분석법에 의해 동정되었다. 분리균주로부터 추출한 genomic DNA는 16S rDNA 지역의 PCR 증폭을 위한 주형으로 사용하였다. GenBank 데이터로 16S rDNA 염기서열을 비교한 결과, 분리 균주들은 Leuconostoc mesenteroides group과 Lactobacillus sakei group으로 동정되었다. 두유 curd를 형성하는 균주들의 계통 발생학적 위치와 분류군은 neighbor-joining 방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L. mesenteroides group은 생화학적 특성에 의해 L.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으로 동정되었다. 하지만 L. sakei group은 생화학적 특성 비교시 다양성을 보여 Lactobacillus sp.로 명명하였다.

깍두기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으로 제조한 사워도우의 기능성 평가 (Functional evaluation of sourdough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sliced radish kimchi)

  • 임은서;김영목;이은우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180-19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깍두기로부터 분리한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사워도우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조사하였다.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분리 균주는 99%의 상동성을 가진 Leuconostoc dextranicum SRK03, Lactobacillus brevis SRK15, Pediococcus halophilus SRK22, Lactobacillus acidophilus SRK30, Lactobacillus plantarum SRK38, Leuconostoc citreum SRK 42 및 Lactobacillus delbrueckii SRK60으로 동정되었다. L. dextranicum SRK03, L. acidophilus SRK30, L. plantarum SRK38 혹은 L. delbreckii SRK60과 Saccharomyces cerevisiae KCTC 7246을 혼합하여 $30^{\circ}C$에서 24시간 발효시킨 사워도우의 유산균과 효모수는 각각 $10^9$$10^7CFU/g$이었으며, 특히 L. dextranicum SRK03으로 제조한 사워도우는 L. acidophilus SRK30, L. plantarum SRK38 및 L. delbreckii SRK60 보다 유의하게 높은 총 산도와 에탄올 및 세포 외 다당류 함량을 나타내었다. L. dextranicum SRK03 및 L. acidophilus SRK30으로 제조한 사워도우는 DPPH 라디칼 소거능과 유지의 과산화 억제능도 높았다. 게다가 L. acidophilus SRK30이 생산한 유기산과 박테리오신에 의해 $25^{\circ}C$에서 5일간 저장하는 동안 사워도우 내 Bacillus cereus ATCC 11778과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의 균수는 유의하게 낮은 수준을 유지되었다.

옥수수 사일리지용 미생물의 발효능력 평가 (Evaluation of Fermentation Ability of Microbes for Corn Silage Inoculant)

  • 김종근;함준상;정의수;서성;박형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33-342
    • /
    • 2010
  • 옥수수는 우리나라에서 매우 중요한 사료작물이다. 대부분 사일리지 형태로 이용이 되고 있으며 많은 비율의 곡실을 함유하고 있어 반추가축의 우수한 사료로 이용된다. 본 시험은 옥수수 사일리지용 미생물 첨가제 개발을 위해 수집된 균주의 발효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양질의 옥수수 사일리지에서 선발한 젖산균을 0.02%의 Sodium azide가 들어있는 MRS 배지에 접종을 한 후 균을 분리하여 MRS broth에 접종하여 산 생성 능력을 조사하였다. 총 6종의 젖산균을 선발하였고 동정결과 C3-2, B13-1 및 CC9-1은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판명되었고 C11-4는 Lactobacillus fermentum, B14-1은 Lactobacillus paracasei, 그리고 A3-1은 Leuconostoc lactis로 동정되었다. 선발된 5종의 균주와 시판되는 2종 첨가제 그리고 무처리구를 두고 황숙기에 수확된 옥수수에 접종하여 사일리지를 제조하고 2개월 후에 개봉하여 분석한 결과 B13-1 및 CC9-1 처리구의 사일리지가 pH가 낮았고 젖산함량도 높았다. 프리그 점수와 품질등급에 있어서도 B13-1 및 CC9-1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Lactobacillus plantarum B13-1 및 CC9-1는 사일리지 접종제로 사용이 권장되었다.

생균제용 유산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or Preparation of Probiotics)

  • 이진규;김운태;이준호;유재홍;신원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29-432
    • /
    • 1991
  • 생균제를 제조할 목적으로 유아와 동물의 분변으로부터 내산성, 내담즙성 및 항생물질 내성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균주 중 TK-19 균주는 산에 대하여 강한 내성을 나타내었고, 500$\mu g$/ml의 담즙에서도 생육이 가능하였으며 kanamycin(30 $\mu g$/ml), streptomycin(10 $\mu g$/ml), nicin(50 $\mu g$/ml) 및 tetracycline(10 Mug/ml)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내었다. TK-19 균주를 동정한 결과 Streptococcus faecium으로 판단되어 Streptococcus faecium TK-19로 명명하였다.

  • PDF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Some Antilisterial Bacteriocin Genes from Enterococcus faecium and Pediococcus pentosaceus

  • El-Arabi, Nagwa I.;Salim, Rasha G.;Abosereh, Nivien A.;Abdelhadi, Abdelhadi A.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88-299
    • /
    • 2018
  • Food bio preservation is of major interest in the food industry. Many types of antimicrobial compounds can be produced by lactic acid bacteria (LAB), including bacteriocins. Bacteriocins increase the shelf-life of food by decreasing some food-borne diseases. In this study, a multi-coding sequence of bacteriocin genes was used for primer design to produce bacteriocin genes in Enterococcus faecium AH2 strain and Pediococcus pentosaceus AH1. Multi-coding sequences were aligned to detect conserved sequences in the bacteriocin gene. Eight genes encoding proteins involved in bacteriocin production were isolated and sequenced, including six from E. faecium AH2 (entA, entI, entF, entR, orfA2, orfA3) and two from P. pentoceseus AH1 (papA, pedB), and all gene sequences were deposited in the Gen Bank database under accession numbers LC064146-LC064151, LC101300, and LC101789, respectively. P. pentosaceus AH1 and E. faecium AH2 strains displayed bacteriocin activities of $2610AU\;mL^{-1}$ and $690AU\;mL^{-1}$ and inhibition zones of 26 mm and 19 mm, respectively. Overexpression of entA in E. faecium AH2 increased the bacteriocin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김치로부터 Phytate 분해 유산균 선별 및 현미에서 반응특성 (Selection of Phytate-degrading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and Reaction Properties in Brown Rice)

  • 박성희;양소영;이종희;강미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627-632
    • /
    • 2013
  • 본 연구는 phytate를 myo-inositol과 무기태인으로 분해시키는 효소인 phytase 생산균주의 분리 및 현미의 phytate 저감 최적 온도 및 pH에 관한 것이다. 먼저 phytase 활성 측정을 통하여 우수한 phytase 활성을 가지는 균주를 김치로부터 분리 및 선발하고 내산성과 내열성 실험으로 균주의 특성을 파악하고, 당 이용성 조사 및 16S rRNA sequence 분석으로 L. sakei가 동정되어 이 균주를 L. sakei Wikim001으로 명명하였다. L. sakei Wikim001에 의한 현미의 phytate 분해능을 확인하였으며, L. sakei Wikim001의 현미의 phytate 분해의 적정반응 pH는 5.0~6.5이며 온도는 $30{\sim}40^{\circ}C$.로 나타났다.

Production of Hydrolyzed Red Ginseng Residue and Its Application to Lactic Acid Bacteria Cultivation

  • Kim, Dong-Chung;In, Man-Ji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4권4호
    • /
    • pp.321-326
    • /
    • 2010
  • Enzymatic treatment conditions for red ginseng residue (RGR) were investigated to apply RGR as a microbial medium. Polysaccharide hydrolyase and protease were screened to obtain high solid and carbohydrate yields, and a good degree of carbohydrate hydrolysis. The optimal dosage and reaction time for Viscozyme, the chosen polysaccharide hydrolyase, were found to be 1.0% (w/w) and 3 h, respectively. Of the tested proteases, Flavourzyme, whose optimal dosage was 0.5% (w/w), was selected. Co-treatment with the optimal dosages of Flavourzyme and Viscozyme increased solid yield, carbohydrate yield, and degree of carbohydrate hydrolysis by 76%, 65%, and 1,865%, respectively, over levels in non-treated RGR. The culture characteristics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strain KACC 91459P grown in enzymatically hydrolyzed red ginseng residue (ERGR) and RGR suspensions were compared. After cultivation for 6 h, the viable cell counts of both cell suspensions rapidly increased to $1.3{\times}10^9$ colony-forming units (CFU)/g. Moreover, while the viable cell population drastically decreased to $2.4{\times}10^6\;CFU/g$ for cells grown in RGR medium, it was maintained in cells fermented in ERGR medium for 24 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