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ic acid cultures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27초

가루녹차가 요구르트 균주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een Tea Powder on Growth of Lactic Culture)

  • 정다와;남은숙;박신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25-333
    • /
    • 2005
  • 가루녹차를 첨가한 기능성 요구르트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가루녹차의 농도별 첨가가 요구르트 균주의 증식 및 산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가루녹차를 첨가한 skim milk 배지에 Streptococcus thor-mophilu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casei 를 단독 균주 및 혼합 균주로 접종하여 배양하면서 생 균수와 pH 및 적정산도를 측정하였다. 단독균주의 경우 가루녹차의 첨가 농도($0.5\%,\;1.0\%,\;1.5\%,\;2.0\%\;and\;2.5\%$)를 달리하였을 때 streptococcus thermophilus와 Lactobacillus casei는 가루녹차 첨가에 의해 증식 효과는 아주 미비하였으나 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Lactobacillus acidophilus는 배양 9시간부터 가루녹차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높은 균수를 보이며 약간의 생육 촉진 효과를 보였고, 배양 12시간부터 pH가 하락하였고 적정산도는 상승하였다. 그러나 가루녹차의 첨가량에 따른 생육과 산 생성 정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혼합 균주의 경우, 단독균주로 배양하였을 때보다 가루녹차에 의한 유산균의 증식이 촉진되었다. Streptococcus thermophilus와 Lac-tobacillus acidophilus는 가루녹차 $0.5\%$$1.0\%$ 첨가시, 배양 15시간 후에 각각 $1.5\times10^9$ CFU/mL, 또한 Streptococcus thermophilus와 Lactobacillus casei는 가루녹차 $0.5\%$ 첨가시 배양 12시간 후 $1.4\times10^9$ CFU/mL, $1.0\%$ 첨가시에는 배양 15시간 후에 $1.5\times10^9$ CFU/mL로 최대 균수를 나타내었으며, pH 저하와 적정산도 상승이 뚜렷하였다. 따라서 가루녹차 첨가 기능성 요구르트 제조시 가루녹차를 $0.5\~l.0\%$ 첨가하여 유산균을 혼합균주로 사용하는 것이 이들 유산균의 증식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꼬마리 추출물의 유산발효 특성 및 Helicobactor pylori에 대한 항균활성 (Characterization and Anti-Helicobactor pylori Activity of Xanthium strumarium L. Extract on Lactic acid Fermentation)

  • 강동희;김현수
    • KSBB Journal
    • /
    • 제25권3호
    • /
    • pp.244-250
    • /
    • 2010
  • 약용식물인 도꼬마리 추출물을 사용하여 유산균을 이용한 단일 및 복합배양을 통하여 새로운 기능성 물질의 생산을 검토하였다. 도꼬마리 추출물의 유산발효 시 단일배양 결과에서 유산생산을 통해 대체로 잘 증식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H. pylori의 항균 활성은 단일배양보다 복합배양 시 항균활성이 아주 우수하였다. 항균성 물질의 분리는 $C_{18}$ Seppak cartridge에 흡착시켜 30% methanol 용출획분에서 항균성물질이 확인되었으며, TLC로 분석한 결과 $R_f$ 0.46의 위치에서 항균성 물질을 확인하였다. 도꼬마리 유산발효액의 항산화활성은 총 polyphenol 함량 및 radical 소거능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총 polyphenol 함량은 미발효시에 비해 도꼬마리 추출물의 저농도에서 단일배양의 경우 2~4배 증가하였으며, Lactobacillus brevis KCTC 3498과 Lactobacillus helveticus KCTC 3545를 복합배양한 경우 1 mg/mL 첨가농도에서 polyphenol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Radical 소거능은 도꼬마리 추출물을 0.1 및 0.5 mg/mL로 첨가하여 발효하였을 때 30~40%의 scavenging이 확인되어 발효를 하지않았을 때 (25%)보다 발효를 하였을 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Lactobacillus casei KCTC 3109의 경우 0.1 mg/mL의 농도에서 70%의 scavenging을 나타내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도꼬마리 추출물의 유산발효는 미발효시에 비해 Helicobactor pylori에 대한 항균활성물질의 생산과 기능성물질인 항산화물질의 생산성이 우수하다고 사료되었으며 천연한약재의 발효를 통한 천연물 신약 등 신기능물질의 생산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대추 추출물이 유산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Jujube Extract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 정승원;노완섭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49-356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effect of Jujube extract on the growth of 3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LBA) starter cultures in the MRS broth by the addition of 0, 0.1, 0.5, 1 and 2% extract The pH, titratable acidity and OD of LAB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get fundamental knowledge for the development a new product. The effects of Jujube extract on the growth of LAB were variable depending upon the LAB species and concentrations of Jujube extract significantly (p<0.05). In the results, Jujube extract enhanced the acid production and propagation by the 3 LAB strains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Jujube extracts until 2.0% added was to the MRS broth medium (p<0.05). Addition of Jujube extract markedly stimulated the acid production and propagation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Streptococcus thermophilus and Bifidobacterium longum.

  • PDF

Home-made 요구르트와 시판 중인 요구르트에서 분리한 젖산균의 기능적 특성 조사 (Studies o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Home-made Yogurt and Commercial Yogurt)

  • 최문섭;윤현명;오계헌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8-14
    • /
    • 2014
  • 본 연구는 home-made 요구르트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casei SK-7과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요구르트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bulgaricus YK-11의 기능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먼저 분리세균인 SK-7과 YK-11의 생리화학적 특성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들 균주는 16S rRNA 염기서열을 이용한 계통유전학적 분석방법으로 동정하여, 각각 L. casei SK-7와 L. bulgaricus YK-11로 명명하였다. 16S rRNA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SK-7과 YK-11의 유전적 계통수를 작성하였다. 72시간 동안 SK-7과 YK-11 배양에서 lactic acid와 acetic acid의 생산, 그리고 pH 변화를 조사하였다. 배양기간 동안 L. casei SK-7과 L. bulgaricus YK-11의 몇가지 기능성을 조사하였다. L. casei SK-7과 L. bulgaricus YK-11 배양상등액은 주어진 nitrite를 각각 93.9%와 88.2% 소거하였다. SK-7 and YK-11 배양상등액의 항산화능은 각각 62.6%와 54.9%였으며, ${\beta}$-galactosidase 활성은 14.9 units/mg과 13.1 units/mg로 측정되었다. 항미생물능력은 SK-7과 YK-11 배양의 20배 배양농축액으로 조사되었으며, SK-7은 이 조사에 사용된 모든 미생물에서 명백한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YK-11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부가적인 기능성 연구가 이루어져야 되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home-made 요구르트에서 분리된 젖산균의 기능성은 시판요구르트에서의 기능성과 비교하여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Probiotication of Tomato Juice by Lactic Acid Bacteria

  • Yoon Kyung Young;Woodams Edward E.;Hang Yong D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2권4호
    • /
    • pp.315-318
    • /
    • 2004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suitability of tomato juice as a raw material for production of probiotic juice by four lactic acid bacteria (Latobacillus acidophilus LA39, Lactobacillus plantarum C3, Lactobacillus casei A4, and Lactobacillus delbrueckii D7). Tomato juice was inoculated with a 24­h-old culture and incubated at $30^{\circ}C$. Changes in pH, acidity, sugar content, and viable cell counts dur­ing fermentation under controlled conditions were measured. The lactic acid cultures reduced the pH to 4.1 or below and increased the acidity to $0.65\%$ or higher, and the viable cell counts (CFU) reached nearly 1.0 to $9.0\times10^9/ml$ after 72 h fermentation. The viable cell counts of the four lactic acid bacteria in the fermented tomato juice ranged from $10^6\;to\;10^8\;CFU/ml$ after 4 weeks of cold storage at $4^{\circ}C$. Pro­biotic tomato juice could serve as a health beverage for vegetarians or consumers who are allergic to dairy products.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균과 분해균이 김치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iogenic amine forming and degrading bacteria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 임은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4호
    • /
    • pp.375-38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발효 기간 동안 멸치 액젓과 새우젓으로 담근 배추 김치로부터 분리 동정된 바이오제닉 아민(biogenic amines, BA) 생성 유산균 단독 스타터 혹은 BA 분해 유산균과의 혼합 스타터로 제조한 김치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발효가 진행될수록 새우젓 보다 멸치 액젓을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에서 유산균수, 산도 및 BA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유산균이 생산하는 BA의 종류 및 생성량은 균종 보다는 균주에 의존적이었다. 분리 균주 중에서 가장 많은 양의 카다베린, 히스타민, 푸트레신 및 티라민은 각각 Leuconostoc mesenteroides MBK32, Lactobacillus brevis MBK34, Lactobacillus curvatus MBK31 및 Enterococcus faecalis SBK31로부터 생산되었다. BA 생성능과 분해능이 있는 스타터는 김치 내 유산균의 증식 속도와 산 생성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BA 생성균 단독 스타터에 의해 증가된 김치의 BA 함량은 BA 분해균과의 혼합 스타터에 의해 효과적으로 감소되었다.

RAW 264.7 대식세포에서의 유산균에 의한 Nitric Oxide와 $TNF-{\alpha}$의 생성 증가 효과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acidophilus, Streptococcus thermophilus, Bsfidobacterium bifidum) on the Enhancement of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and TNF-$\alpha$ in RAW 264.7 Macrophage Cell)

  • 박소희;정명준;김수동;백대헌;강병용;하남주
    • 약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459-464
    • /
    • 2005
  • The immune reinforcement of the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acidophilus, Streptococcus thermophilus and Bifidobacterium bifidum was studied in RAW 264.7 cell line treated with diluted solution (dilution to $2^{5}$) of the supernatnats of lactic acid bacteria. RAW 264.7 cell line was used as a macrophage model to assess the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on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and cytokine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and cell morphological changes. The production of NO and TNF-$\alpha$ were largely affected by lactic acid bacteria in dose-dependent manner in 24 or 48 hr cultures and cell morphological changes were also largely affected by lactic acid bacteria. Especially Bifidobacterium bifidum differentially stimulated the production of NO and TNF-$\alpha$. NO production was increased by Bifidobacterium bifidum 25 $\mu$l/ml more than LPS (20 ng/ml) control, and TW-$\alpha$ by Bifidobacterium bifidum 6.25 $\mu$l/ml more than LPS (10 ng/ml) control. The in vitro approaches employed here should be useful in further characterization of the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on systemic immunity.

간장태 신속 대두발효 종균으로의 Enterococcus faecium (Rapid Fermentation Starter Enterococcus faecium of Soybean for Soy-Sauce Like Product)

  • 이영덕;박종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88-195
    • /
    • 2012
  • 풍미가 강력하고 신속발효가 되는 청국장의 우점종인 젖산균 Enterococcus spp.를 발효종균으로 활용하여 재래식 간장모양의 풍미를 가지는 대두발효물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119종의 Enterococcus spp. 중에서 protease 활성이 높은 8종을 선발하여 E. faecium 4종, E. faecalis 3종, E. gallinarium 1종으로 동정하였다. 8종의 항생제에 내성이 낮았고, vancomycin 유전자도 없으며, 5% NaCl 함유 배지에서도 protease 분비가 우수한 E. faecium O24를 발효 종균으로 선정하였다. 증자한 대두 백태에서 생육이 우수하였으며, 발효생성 조미 아미노산 중 80 mg% glutamic acid, aspartic acid를 생성시켰으며, lactic acid와 여러 유기산을 생성하였다. Z. rouxii와 C. versatilis와의 혼합배양으로 간장 고유취인 maltol, guaiacol 등의 향기성분도 합성됨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청국장 젖산균인 Enterococcus spp.는 신속하게 다양한 향미성분을 생산하여 간장태의 대두 발효의 종균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두유(豆乳)의 가열처리가 젖산균의 산생성(散生成)과 대두요구르트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t Treatment of Soy Milk on Acid Pro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and Quality of Soy Yogurt)

  • 고영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17-325
    • /
    • 1988
  • 농축대두단백으로 만든 두유를 여러 가지 정도로 가열 처리한 후 젖산균 5종을 각각 접종하여 두유의 가열처리가 젖산균의 생육과 산생성 그리고 대두요구르트의 관능성과 커드의 침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먼저 산생성을 보면 표준시료(비가열(非加熱)시료)에 비하여 $60^{\circ}C-10$분 또는 그 이상의 가열로 모든 균주에서 산생성이 촉진되었으며 그 촉진의 정도는 대체로 가열의 정도가 높을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Streptococcus lactis를 제외한 4균주의 산생성이 $121^{\circ}C-1$분에서 가장 높았다. 그러나 생균수는 가열 처리로 큰 변화가 없었다. 대두젖산균 음료의 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95^{\circ}C-30$분 시료의 관능 성은 표준시료보다 현저하게 우수하였으나 $121^{\circ}C-15$분 시료의 관능성은 표준시료보다 현저하게 저조하였다. 한편 두유의 가열처리로 대두젖산균 음료의 침전이 지연디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121^{\circ}C-15$분의 가여로 침전이 현저하게 지연되었다.

  • PDF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teriocin-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 Lee, Hun-Joo;Park, Chan-Sun;Joo, Yun-Jung;Kim, Seung-Ho;Yoon, Jung-Hoon;Park, Yong-Ha;Hwang, In-Kyeong;Ahn, Jong-Seog;Mheen, Tae-Ic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9권3호
    • /
    • pp.282-291
    • /
    • 1999
  • Lactic acid bacteria were isolated from Kimchi and screened for bacteriocin. A total of 99 strains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when grown on solid media, yet only 10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in liquid media. Strain H-559, identified as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exhibited the strongest inhibitory activity and was active against pathogenic bacteria including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and Bacillus cereus as well as other lactic acid bacteria. The antimicrobial substance produced by L. lactis subsp. lactis H-559 was confirmed to be a bacteriocin by the treatment of $\alpha$-chymotrypsin, and protease type Ⅸ and ⅩIV. The bacteriocin activity remained stable between pH 2.0 and pH 11.0 and during heating for 10 min at $100^{\circ}C$. The bacteriocin production started in the exponential phase and stopped in the stationary phase. L. lactis subsp. lactis H-559 showed the highest bacteriocin activity at a culture temperature of $25^{\circ}C$, and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the bacteriocin productivity and mean growth rate at different culture temperatures was observed. The mean growth rate and bacteriocin productivity of L. lactis subsp. lactis H-559 increased as the initial pH of the media increa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