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actic acid concentration

검색결과 727건 처리시간 0.02초

In Vitro Synergistic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Nisin and Lactic Acid in Yogurt against Helicobacter pylori and Human Gastric Cells

  • Seo Gu Han;Hyuk Cheol Kwon;Do Hyun Kim;Seong Joon Hong;Sung Gu Ha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751-766
    • /
    • 2023
  • Helicobacter pylori is a bacterium that naturally thrives in acidic environments and has the potential to induce various gastrointestinal disorders in humans. The antibiotic therapy utilized for treating H. pylori can lead to undesired side effects, such as dysbiosis in the gut microbiota. The objective of our study was to explore the potential antibacterial effects of nisin and lactic acid (LA) in yogurt against H. pylori. Additionally, we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nisin and LA in human gastric (AGS) cells infected with H. pylori. Nisin and LA combination showed the strongest inhibitory activity, with confirmed synergy at 0.375 fractional inhibitory concentration index. Also, post-fermented yogurt with incorporation of nisin exhibited antibacterial effect against H. pylori. The combination of nisin and LA resulted in a significant reduction of mRNA levels of bacterial toxins of H. pylori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AGS cells infected with H. pylori. Furthermore, this also increased bacterial membrane damage, which led to DNA and protein leakage in H. pylori. Overall, the combination of nisin and LA shows promise as an alternative therapy for H. pylori infection. Additionally, the incorporation of nisin into foods containing LA presents a potential application. Further studies, including animal research, are needed to validate these findings and explore clinical applications.

Constipation anti-aging effects by dairy-based lactic acid bacteria

  • Mohamad Hafis Jaafar;Pei Xu;Uma-Mageswary Mageswaran;Shandra-Devi Balasubramaniam;Maheswaran Solayappan;Jia-Jie Woon;Cindy Shuan-Ju Teh;Svetoslav Dimitrov Todorov;Yong-Ha Park;Guoxia Liu;Min-Tze Lio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6권1호
    • /
    • pp.178-203
    • /
    • 2024
  • Constipation, which refers to difficulties in defecation and infrequent bowel movement in emptying the gastrointestinal system that ultimately produces hardened fecal matters, is a health concern in livestock and aging animals. The present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otential effects of dairy-isolated lactic acid bacteria (LAB) strains to alleviate constipation as an alternative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constipation treatment in the aging model. Rats were aged via daily subcutaneous injection of D-galactose (600 mg/body weight [kg]), prior to induction of constipation via oral administration of loperamide hydrochloride (5 mg/body weight [kg]). LAB strains (L. fermentum USM 4189 or L. plantarum USM 4187) were administered daily via oral gavage (1 × 10 Log CFU/day)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sterile saline. Aged rats as shown with shorter telomere lengths exhibited increased fecal bulk and soften fecal upon administration of LAB strains amid constipation as observed using the Bristol Stool Chart, accompanied by a higher fecal moisture content as compared to the control (p < 0.05). Fecal water-soluble metabolite profiles showed a reduced concentration of threonine upon administration of LAB strains compared to the control (p < 0.05). Histopathological analysis also showed that the administration of LAB strains contributed to a higher colonic goblet cell count as compared to the control (p < 0.05). The present study illustrates the potential of dairy-sourced LAB strains as probiotics to ameliorate the adverse effect of constipation amid aging, and as a potential dietary intervention strategy for dairy foods including yogurt and cheese.

유산균 발효 마늘 추출물의 oleic acid로 유도된 비알코올성 지방간에 대한 개선 효과 (Ameliorating Effects of Lactic Acid-fermented Garlic Extracts on Oleic Acid-induced Hepatic Steatosis)

  • 이희섭;임원철;최지휘;유희종;김기호;이승현;조홍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762-76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oleic acid로 유도시킨 비알코올성 지방간 HepG2 세포 모델을 활용하여 LAFGE의 비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효과를 검토하고 RT-PCR과 Western blot으로 메카니즘을 해석하였다. LAFGE는 1 mg/mL 농도에서 NFGE보다 세포 내 지방축적을 약 1.5배 저해하였다. Fig.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LAFGE는 FAT/CD36 mRNA 발현을 감소시켜 세포 내로 유입되는 지방산의 양을 감소시켰으며, $PPAR{\alpha}$와 CPT-1의 mRNA 발현을 증강시킴으로써 지방산의 베타-산화를 촉진시켰다. 또한 LAFGE는 지방합성을 촉진하는 전사인자인 SREBP-1c와 그의 조절을 받는 FAS의 mRNA 발현 수준을 oleic acid 처리시보다 각각 51%와 35%까지 크게 감소시켰다. 뿐만 아니라 LAFGE는 농도의존적으로 SREBP-1c와 FAS의 단백질 발현도 감소시켰다. 이 결과들은 LAFGE가 oleic acid처리에 의해 유도된 HepG2 세포 내의 지방축적을 개선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Rumen Metabolic Development in Crossbred Calves Reared on Animal Protein Free Pre-Starter and Oat Hay

  • Sahoo, A.;Kamra, D.N.;Pathak, N.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2호
    • /
    • pp.193-199
    • /
    • 2001
  • Twenty-four new born crossbred (Bos indicus$\times$Bos taurus) calves were distributed in two equal groups and assigned to two different pre-starter diets with (Group 1) and without (Group 2) fish meal to study the effect of replacement of animal protein by vegetable protein in the diet and the age of animals on ruminal metabolic development. All calves were fed colostrum for 24 h and whole milk until weaning at 8 weeks of age. Rumen fluid samples were collected on 4 d, 1 wk, and then weekly interval up to 8 wk of age. Rumen fluid samples were analysed for pH, TVFA, lactic acid and N fractions (total N, total soluble N, trichloro acetic acid (TCA) soluble N, TCA precipitable N and ammonia N). Weekly feed intake and live weight gain pattern showed an increasing trend with the advancement of age, but were similar in both groups. The pH fell steadily during 0-4 wk of age and then stabilized in later period. A close relationship (r=0.80) between starter intake and TVFA concentration was observed in both the groups. Lactic acid (meq/l) and ammonia N (mg/dl) concentration showed initial rise (0.55 and 14.97 on day 4 to 3.38 (7 wk) and 32.85 (4 wk), respectively) to fall (2.74 and 17.60) again during 8 wk of age in response to increase in dry feed consumption (10% initially to 83% of diet dry matter at 8 wk of age). The TCA precipitable fraction of N did not show any change during 0-8 wk of age. Data indicate that the metabolic changes responded rapidly to dry feed intake which did not differ in fish meal and non-fish meal groups, and a poor voluntary consumption of oat hay retards the progressive changes in live weight and rumen microbial development.

우슬 추출물의 Clostridium difficile에 대한 항균 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Achyranthes japonica Nakai Extracts against Clostridium difficile)

  • 정선미;최수임;박상민;허태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564-56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대장염 유발균인 C, difficile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천연항균물질을 검색하기 위하여 40여 가지 생약재 에탄올 추출물에 대하여 C. difficile에 대한 생육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결과, 우슬, 희첨, 황백은 1,000 ppm농도에서 90% 이상의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고, 우슬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AJNEA)은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의 최소저해농도(MIC)는 $625{\mu}g/mL$였다. 또한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AJNEA의 유산균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B. longum, L. helveticus와 S. thermophilus를 제외한 나머지 균주들에 대해서 생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들 결과로부터 우슬 추출물은 C. difficile 관련 질환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제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Continuous Production of Succinic Acid Using an External Membrane Cell Recycle System

  • Kim, Moon-Il;Kim, Nag-Jong;Shang, Longan;Chang, Yong-Keun;Lee, Sang-Yup;Chang, Ho-Na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11호
    • /
    • pp.1369-1373
    • /
    • 2009
  • Succinic acid was produced by continuous fermentation of Actinobacillus succinogenes sp. 130Z in an external membrane cell recycle reactor to improve viable cell concentration and productivity. Using this system, cell concentration increased to 16.4 g/l at the dilution rate $0.2\;h^{-1}$, up to 3 times higher than that of batch culture, and the volumetric productivity of succinic acid increased up to 6.63 g/l/h at the dilution rate $0.5\;h^{-1}$, 5 times higher than that of batch fermentation. However, in the continuous culture using a high dilution rate, operational problems including severe membrane fouling and contamination by lactic acid producer were observed. Another succinic acid producer, Mannheimia succiniciproducens MBEL55E, was also utilized in this system, and the cell concentration and productivity of succinic acid at the dilution rate of $0.3\;h^{-1}$ were found to be above 3 and 2.3 times higher,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at the dilution rate of $0.1\;h^{-1}$. These observations give a deep insight into the process design for a continuous succinic acid production by microorganisms.

유산균 발효에 의한 인삼열매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 (Antioxidant and Antiaging Effect of Ginseng Berry Extract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 전지민;최성규;김윤정;장수진;천종우;이현상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75-8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 발효에 의한 인삼열매 추출물의 여러 가지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인삼열매 추출물과 유산균 발효 인삼열매 추출물의 ginsenoside Re, Rc 및 Rb1의 함량분석 결과 유산균 발효에 의해 ginsenoside Re, Rc 및 Rb1의 함량이 모두 증가하였다. 인삼열매 추출물과 유산균 발효 인삼열매 추출물의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과 SOD 유사활성 측정결과 1.00 %의 농도에서 유산균 발효 인삼열매 추출물은 각각 86.34, 76.82 %의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과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었고, 인삼열매 추출물은 각각 49.78, 40.80 %의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과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어 유산균 발효에 의해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산균 발효 인삼열매 추출물 0.50 %의 농도로 처리한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procollagen type I (COL1A1)은 828.13 % 증가하였으며,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은 87.88 %,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는 99.92 %감소하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처럼 항산화, 주름, 항염에 효능을 보이는 유산균 발효에 의한 인삼열매 추출물은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저염 물김치의 미생물균총 특성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ow Salt Mul-kimchi)

  • 오지영;한영숙;김영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502-508
    • /
    • 1999
  • 염 농도$(0{\sim}3%)$와 발효 온도$(4,\;15,\;25^{\circ}C)$를 달리 하였을 때 물김치의 미생물 균총의 특성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 물김치의 경우 총 균수는 숙성온도가 높을수록, 염 농도가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나, 배추 물 김치의 경우 염 농도별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Lactobacillus, Lenconostoc 속 균수는 염 농도 1.0% 숙성 김치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배추 물김치는 $4^{\circ}C$에서 염 농도 3.0% 시료가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그 외 시료들은 온도별, 염 농도별 큰 차이가 없었다. Streptococcus 속과 Pediococcus 속은 Leuconostoc, Lactobacillus속 보다 낮은 분포를 보였고, 염 농도 1.0% 숙성 김치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배추 물김치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대장균수와 Gram (-)균수는 염 농도 3.0% 김치가 균수도 적었고 초기에 증가하였다가 젖산균이 증식하여 산도가 증가하면 그 수가 감소되었다. 효모는 발효 초기에는 발견되지 않다가 발효 후기에 증가하였으며 온도와 염 농도가 높을수록 균수가 증가하였다. 배추 물김치에서도 $15,\;25^{\circ}C$에서 염 농도가 높은 시료에서 비교적 높게 계수되어 무 물김치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배추 물김치의 경우 초기부터 효모가 계수되어 주재료간 차이를 보였다. 각각의 선택배지에서 순수분리, 동정된 균은 무 물김치의 경우 젖산균류는 염 농도 0.2% 김치에서는 Lactobacillus plantarum, L. pentosus, Leuconostoc citrum, 염 농도 1.0% 김치에서는 L. plantarum, L. pentosus, Leu.mes.ssp.mesenteroides/dextranicum, Streptococcus facium이 동정되었고, 염 농도 3.0% 김치에서는 L. plantarum, L. brevis, Leu. mes.ssp.mesenteroides/dextranicum, Str. facium이 각각 분리 동정되었으며 Pediococcus는 미확인되었다. Gram (-)균과 효모는 공통적으로 Gram (-)균으로는 Aeromonas hydrophila, 효모로는 Candida pelliculosa가 각각 분리 동정되었다. 배추 물김치의 경우 Lactobacillus plantarum, Leuconostoc citrum, Leu. mes.ssp.mesenteroides/dextranicum, Streptococcus facium이 동정되었으며, Pediococcus는 역시 미확인되었다. Gram (-)균은 Pseudomonas fluorescens, Pseu. aureofaciens가 각각 분리 동정되어 주재료간 차이를 보여주었다.

  • PDF

젖산균 및 효모를 이용한 밀배아로부터 2-Methoxy-1,4-benzoquinone (2-MBQ) 및 2,6-Dimethoxy-1,4-benzoquinone(2,6-DMBQ)의 생산 (Production of 2-Methoxy-1,4-benzoquinone (2-MBQ) and 2,6-Dimethoxy-1,4-benzoquinone (2,6-DMBQ) from Wheat Germ Using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 유종길;김명동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4호
    • /
    • pp.292-29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세포외 $\beta$-glucosidase를 생산하는 효모 37개 균주와 Lactobacillus 젖산균 5개 균주 중에서 세포외 $\beta$-glucosidase 효소활성이 우수한 Lactobacillus zeae와 Pichia pijperi을 선발하였고, 2-MBQ와 2,6-DMBQ 생산을 위한 밀배아 발효의 스타터로 사용하였다. P. pijperi 균주만을 이용하여 밀배아를 발효한 경우 2-MBQ는 거의 생성되지 않았으며, 2,6-DMBQ는 발효 개시 후 36시간과 48시간이 경과한 후 각각 $0.02{\pm}0.01$ mg/g 및 $0.02{\pm}0.001$ mg/g의 농도로 생성되었고 Lb. zeae 균주만을 이용하여 밀배아를 발효한 경우에는 발효개시 후 36시간과 48시간이 경과한 후 2-MBQ는 $0.21{\pm}0.02$ mg/g에서 $0.28{\pm}0.06$ mg/g으로 증가하였고 2,6-DMBQ 생성량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효모와 젖산균을 동시에 사용하여 밀배아를 발효했을 때에는 발효 개시 후 36시간이 경과한 후 2,6-DMBQ의 생성량은 효모 및 젖산균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2-MBQ의 농도는 0.39${\pm}$0.06 mg/g을 나타내었으며 발효 48시간이 경과하면 더욱 증가하여 0.46${\pm}$0.07 mg/g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젖산균인 Lb. zeae 균주가 효모인 P. pjperi보다 상대적으로 2-MBQ 및 2,6-DMBQ를 생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두 균주를 동시에 사용하면 각 균주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2-MBQ 및 2,6-DMBQ를 생산하는데 상승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저온이 묵은지의 발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w Temperature on the Qualities of Long-term Fermented Kimchi (Korean Pickled Cabbage))

  • 지설희;한우철;이재철;정철;강순아;이제혁;장기효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804-809
    • /
    • 2009
  • 최근, 저온 장시간 발효된 묵은지에 대한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저온($5^{\circ}C$)에서 46주 동안 발효된 묵은지의 pH, 산도, 유기산, 생균수, 아미노산, polygalacturonase (PG) 활성 등을 분석하였다. 10주 발효한 김치에서는 pH 4.1, 산도 0.99%를 나타낸 반면, 46주 발효한 김치에서는 pH 3.9, 산도 1.29%를 보였다. 한편, 10주에서 46주로 발효 기간이 증가하면서, 젖산, 젖산/초산비, Lactobacillus species/Leuconostoc species비 등은 증가한 반면, 호기성 세균, 효모, Lactobacillus species, Leuconostoc species, 유리아미노산, PG 효소 활성은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