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quer tree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6초

황칠나무의 분포 및 황칠의 성분 분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Dendropanax morbifere and Component Analysis of the Golden Lacquer)

  • 정병석;조종수표병식황백
    • KSBB Journal
    • /
    • 제10권4호
    • /
    • pp.393-400
    • /
    • 1995
  • 전통도료인 황칠의 재현을 위한 황칠나무의 다량 증식 및 이용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황칠나무의 자생지 분포조사 및 황칠의 성분 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였다. 1. 황칠나무의 자생지는 완도, 상황봉 등 8개 지역이었으며, 해남 두륜산은 처음으로 자생지로 확인되었다. 2. 황칠나무는 해발 lOO~450m 사이에셔 자생하고 있으며 해발 200m 부근에서 빈도가 가장 높게 냐다났다. 또한 자생지의 토양은 pH 4.9~5.8로 약 산성이며, 수분 함유량은 16.5~27.4%로 비교적 습 기가 많은 지역에서도 자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군락지 조새에서 보길도와 제주도가 우점도 및 군도가 교목층에셔 3.3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완도는 아교목층에서 많이 나타났다. 4. 생육상황은 보길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흉고 직경 1.O~20cm, 높이 O.2~9m 까지의 개체가 다수 확인되었다. 5. 황칠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대표적 인 성분이 ${\beta}$- selinene과 capnellane-8-one을 확인하였다.

  • PDF

일제강점기 옻칠 증산(增産) 사업의 전개와 영향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Project to Increase Lacquer Produc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 강연경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3호
    • /
    • pp.22-44
    • /
    • 2022
  • 일제강점기 옻칠은 나전칠기와 같은 고급 공예품 외에 산업, 건축, 군수물자의 외부 도료 등 다방면으로 활용되는 중요한 전략물자였다. 특히 전시 체제에 돌입하는 1940년대 이후 군수물자에 사용되는 옻칠 수요가 급증하면서 유통을 제한하는 전표제까지 시행하였다. 한편 일본에서는 옻칠 수요의 급증에 따라 고질적인 물량 부족을 겪고 있었고, 대안으로 19세기 후반 이후 중국산 옻칠을 수입하였다. 1910년대 이후에는 중국산 옻칠의 시장 점유율이 90%에 이르러 중국 현지 상황에 따라 일본 내 옻칠 수급이 영향을 받자 일제는 조선에서 옻칠 생산을 늘려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조선에서의 옻칠 증산 사업은 1910~1920년대에 각종 시험을 통해 객관적 지표가 마련되었고, 이를 기준으로 1930년대 본격적으로 사업에 착수하였다. 전국 각지에 옻나무를 식재하고 개량 채취법 강습회를 개최하였다. 일제는 조선인들에게 경제적 수익을 들어 옻칠 생산업을 장래 유망한 농가의 부업으로 홍보하였다. 각 도에서 수립한 옻칠 증산 사업은 효과를 거두었으며, 현재 국내 주요 옻칠 생산지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일제강점기 한반도 남부에서 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한 곳은 강원도 원주, 충청북도 옥천, 경상남도 함양으로 현재의 생산지와 일치하였다. 일제가 조선인 농가를 대상으로 교육한 개량 채취법은 현재 한국 옻칠 채취의 주된 방식으로 자리 잡았다.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각종 기록을 통해 옻칠 증산 사업의 현황을 파악하여 근대 옻칠 공예사 연구의 공백을 메우고자 시도하였다.

옻나무 종자의 기내 발아에 의한 무균묘 육성 (Development of Aspceptic Seedling by In Vitro Germination in Lacquer Tree Seed)

  • 두홍수;이호림;권태호;양문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8-53
    • /
    • 2000
  • 옻나무 묘목대량증식법의 하나로 조직배양 방법을 이용하여 기내 유식물체를 다량으로 증식함으로써 옻나무 증식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기내 무균묘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비중 1.0으로 선종한 결과 1차선종은 평균 50.7%의 선종율을 보였고, 98% sulfuric acid에 2시간 교반 후 2차로 선종한 결과 선종율은 20.8%였다. 발근율은 외종피를 함유한 종자(5.4%) 보다는 외종피를 제거하거나(18.3%) 내종피를 제거한 종자(32.4%)가 높았다. 전처리에 따른 종자의 발아율은 생장조절물질 처리에 의한 효과가 인정되지 않았으며, 각 처리별 유의수준도 인정되지 않았으나 sulfuric acid를 처리했을 경우 발아율이 3%로써 생장조절물질 처리보다는 약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외종피를 제거하면 발아율은 약간 높게 나타났는데, 생장조절물질을 첨가함으로써 약 4%정도 향상되었다. 특히 BA 1.0mg/L와 NAA 0.05mg/L의 혼용처리와 BA 1.0mg/L 단독처리가 10% 내외의 발아율을 보였다. 옻나무 종자는 배지에 치상한 후 약 10일 만에 정상적으로 발아하였고, 치상 후 약 3주만에 본엽이 출현한 정상적인 무균묘를 획득할 수 있었으나 발아율이 10%내외에 불과하여 매우 저조하였다.

  • PDF

경구 스테로이드 요법에 반응하지 않는 옻닭 알레르기에 대한 인진호탕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Injinho-Tang on Lacquer Tree Allergy Unresponsive to Oral Steroid Therapy)

  • 이주현;김서희;조은희;박지원;박민철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91-98
    • /
    • 2021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a case of lacquer allergy improved by Korean medicine treatment. Methods : The patient visited our hospital complaining of rash, and pruritus which lasted for 10days after eating lacquer chicken. Considering that patient's symptoms occurred due to food allergen, we prescribed Injinho-tang(Yinchenhao-tang) and acupuncture at Daejang-Junggyeok for 7days. Results : On the 4th day of treatment, pruritus decreased to less than half of the initial treatment, and skin symptoms also improved to a mild level. About a week later, most of the skin symptoms disappeared (Total Objective Symptom score decreased 10 to 3), and subjective symptoms such as pruritus improved to about 30% of the time of the first visit (Total Subjective Symptom score decreased 12 to 3). Conclusions : After 7day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lacquer tree allergy with skin lesions and pruritus has improved considerably.

화칠채취의 기계화작업 가능성에 대한 옻채취 시험분석 (Experiment on Mechanization Possibility for Collection of Korean Rhus Lacquer by Heating Rhus verniciflua)

  • 송병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7-90
    • /
    • 2008
  • 본 연구는 과거부터 전해져 내려온 전통방식의 옻채취방법인 화칠법을 기계적 방식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통적인 방법과 기계적 방법으로 화칠채취공정을 조사 분석하였다. 옻나무의 중량단위당 나무개수에 따른 화칠채취공정에서 기계식이 재래식에 비해 약 45% 옻액을 더 많이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으로 옻나무의 단위 중량당 화칠채취의 소요시간은 나무개수가 많을 수록 시간이 더 많이 소요되었으나 기계식이 재래식 보다 시간이 좀 더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연속적으로 작업을 계속할 경우에 재래식은 줄기에 홈을 낼 때 육체적 힘을 많이 소비하므로 오랜 시간 작업을 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상온저습 환경에서의 옻의 건조를 위한 옻과 교의 배합 분석 연구 (Analysis of mixing ratio of lacquer and glue for lacquer drying in low relative humidity environment)

  • 김은경;정세리;유재은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2호
    • /
    • pp.37-5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옻과 교의 배합을 통한 옻의 상온경화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의 제조부터 옻에 첨가하는 비율까지 여러 시편을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옻의 건조와 가장 연관이 깊은 시편의 수분함유량을 측정한 결과 교의 종류 및 제조비율에 관계없이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수분함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건조 시간을 알아보기 위한 도막 시편에서 어교를 배합한 시편은 약 3일 이상의 건조시간을 소비하였으나 매끈한 표면 상태 그대로 건조되었고, 아교를 배합한 시편은 하루 이내에 완전건조 하였으나 빠른 경화속도로 인해 표면에 주름이 생성되었다. 또한 어교를 배합한 시편은 아교를 배합한 시편이 공기와 접촉하자마자 검게 산화되는 것에 비해 초기 색변화가 느리게 진행되었으나 완전건조 후에는 색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FT-IR을 통한 시편의 구조 분석에서 옻에 교를 배합한 시편의 카르보닐 결합이 기존의 생칠, 정제칠에 비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 PDF

Antioxidative Activity of Urushiol Derivatives from the Sap of Lacquer Tree (Rhus vernicifera Stokes)

  • ///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27-230
    • /
    • 1997
  • The authors isolated four olefinic catechols, commonly referred to as urushiol, from the sap of Korean lacquer tree(Rhus vernicifera STOKES) with stronger antioxidative activities than $\alpha-tocopherol$. The hexane extract with a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purified by silica and ODS gel column chromatography. The active compounds were identified by MS and $^1H-NMR$ as 3-[8'(Z),11'(Z),14'-pentadecatrienyl]catechol, 3-[8'(Z),11'(Z)-pentadecadienyl]catechol, 3-[8'(Z)-pentadecenyl] catechol, and 3-pentadecylcatechol. All of these compounds showed strong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n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radical, in which 3-pentadecylacatechol exhibited the highest activity ($IC_{50}$: $1.2{\mu}g/ml$). They also showed a significant inhibitory activity on lipid peroxidation ($IC_{50}$: 2.1 - 3.5 ${\mu}g/ml$).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3-pentadecylcatechol on DPPH radical and lipid peroxidation is approximately two times greater than that of $\alpha$-tocopherol.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urushiol derivatices may contribute to the preservative characteristics effective against oxidative stress and could be a good source for industrial applications including a coating material.

  • PDF

Cytotoxicity of Urushiols Isolated from Sap of Korean Lacquer Tree (Rhus vernicifera Stokes)

  • Hong, Dong-Ho;Han, Sang-Bae;Lee, Chang-Woo;Park, Se-Hyung;Jeon, Young-Jin;Kim, Myong-Jo;Kwak, Sang-Soo;Kim, Hwan-Moo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2권6호
    • /
    • pp.638-641
    • /
    • 1999
  • Cytotoxicities of four urushiols, congeners isolated from the sap of Korean lacquer tree (Rhus vernicifera Stokes), to 29 human cancer cell lines originated from 9 organs were evaluated. Their values of 50% growth inhibition were below $4{\mu}g/ml$, and showed cell line specific cytotoxicity. The present results is the first report on the cytotoxicity of urushiols suggesting that they would have an anticancer activity to human cancer cells.

  • PDF

옻나무 근삽시 삽목시기와 삽수의 절단 효과 (Effects of Cutting Time and Scions Section in Root Cuttings of Lacquer Tree (Rhus verniciflua Stokes))

  • 두홍수;권태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9-54
    • /
    • 2003
  • 옻나무의 근삽에 의한 묘목생산에 있어서 적정삽목 시기와 삽수의 절단 여부에 따른 신초발생율과 묘소질을 조사하였다. 삽목시기가 빠를수록 신초는 3-4주 후부터 발생하여 늦은 경향이었으나 삽식 10주 후의 신초 형성율은 높은 경 향이었는데 3월 15일과 25일 및 4월 5일 삽목구는 84% 이상이었으며, 신초는 삽목시기가 늦을수록 각시기별로 고르게 발생하는 경향이었다. 묘소질은 4월 5일과 3월 25일 삽목구가 수장, 주당 분지수, 엽수, 경직경 및 엽면적 모두 가장 양호하였다. 절단하지 않은 삽수로부터 신초의 발생은 2주 후부터 시작되었으나 절단한 삽수로부터는 3주 후부터 시작되어 약 1주일이 늦었다. 그러나 삽식 6주 이후부터 10 cm의 크기로 절단한 삽수의 신초발생율은 급격히 증가하여 10주 후에는 84%이었으나 절단하지 않은 삽수의 신초발생율은 54%로 매우 낮았다. 절단하지 않은 삽수의 묘가 경시적으로는 양호하였으나, 수장, 분지수 및 경직경 등은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옻나무 추출물 첨가에 따른 영지버섯의 가나도마난디올 생합성 증대 및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 (Enhancement of Ganodermanondiol and Anti-melanogenesis Effect of Ganoderma lucidum by Rhus verniciflua Extract Supplementation)

  • 정용운;김홍일;김종현;박영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65-371
    • /
    • 2017
  • 본 연구는 옻나무 추출물의 첨가가 영지버섯 미백활성 물질인 가나도마난디올의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옻나무 열수 추출물을 1, 5, 10, 15%의 비율로 영지버섯 균사발효 시 첨가하고 발효 균사 추출물의 HPLC분석을 수행한 결과, 가나도마난디올 생합성이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옻나무 열수 추출물이 첨가되어 발효된 영지 균사 추출물의 B16F10 세포주에 대한 멜라닌 생합성 저해능을 평가한 결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저해능이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MTT분석을 통해 B16F10 세포주에 대한 세포생존율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옻나무 추출물이 영지버섯균사의 미백활성 물질인 가나도마난디올 생합성을 촉진하여 향후 옻나무 추출물 첨가 영지버섯균사 발효 추출물이 효과적인 화장품 성분으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