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rill meal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초

급성기 반응중인 육계 병아리의 생산성에 미치는 사료 중 크릴 밀의 영향 (Effect of Dietary Krill Meal on the Performance of Broiler Chicks During the Acute Phase Response)

  • 고태송;임진택;박인경;김재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2호
    • /
    • pp.173-182
    • /
    • 2004
  • 급성기 반응중인 육계 병아리의 생산성에 미치는 크릴 밀 사료 급여의 영향이 조사되었다. 육계 병아리 1 일령 부터 크릴 밀 0.0 %(기초), 0.5% 및 1.0% 함유 실험사료를 급여하고, 2 주령인 8, 10 및 12 일령에 3회에 걸처 Salmonella typhymurium lipopolysaccharide(LPS)를 복강 내 주입하여 발생된 급성기 반응시의 생산성과 SOD 활성을 Saline을 주입한 대조와 비교하였다. 크릴 밀 1.0% 사료를 급여한 육계에서 급성기 반응은 증체량과 사료 효율을 유의하게(p<0.05) 감소 시겼으나, 급성기 반응에서 회복중인 3 주령 병아리의 증체량과 사료 효율은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급성기 반응은 간장과 비장무게를 무겁게 하였고, 크릴 밀 사료를 급여한 병아리의 적혈구 세포액 MnSOD 와 Cu/ZnSOD 활성을 높이는 경향을 보였으나, PHA-p 과민증은 크릴 밀 사료 급여나 면역반응의 영향이 없었다. 본 성적은 부화 후 2주간의 크릴 밀 급여가 급성기 반응중의 생산성과 SOD 활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살모넬라 LPS를 주입한 육계병아리에 있어서 사료 중 크릴 밀 수준이 생산성과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Krill Meal Levels on Performance and Immune Response of Broiler Chicks Injected with Salmonella typhimurium Lipopolysaccharide)

  • 임진택;박인경;고태송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2호
    • /
    • pp.225-238
    • /
    • 2007
  • 급성기 반응중 육계병아리의 생산성과 면역반응에 미치는 사료중 크릴 밀 수준의 영향이 조사되었다. 갓 부화한 육계병아리(Ross) 수컷을 크릴 밀 0.0(기초), 0.5, 1.0 및 2.0% 함유한 실험사료로 3주간 실험사육하고 9, 11 및 13일령에 Salmonella typhymurium LPS를 복강내 주입하여 급성기 반응을 활성화하였다. 1. 급성기 반응은 유의하게(p<0.05) 일당증체와 사료섭취량을 감소시키고, 간장과 비장의 무게를 증가시키나 사료중 크릴 밀 수준에 의한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2. 크릴 밀 사료급여는 TNF-α 활성을 급성기 반응과 회복중에도 기초사료에 비해 낮추었다(p<0.05). 급성기 반응은 TNF-α 활성을 대조에 비해서 기초사료 급여로 유의하게 증가시키나(p< 0.05), 크릴 밀 사료급여시는 유의하지 않았다. 3. 급성기 반응은 혈중 오보트렌스훼린 수준을 대조에 비해서 기초사료, 크릴 밀 1.0 및 2.0% 사료급여로 증가시키나 크릴 밀 0.5% 사료급여로 감소시켰다.4. 급성기 반응중 PBMC 및 비장세포의 증식도는 크릴 밀 0.5% 사료급여로 차이가 없었으나, 크릴 밀 1.0 및 2.0% 사료급여시에는 오히려 감소하였다(p<0.05). 대조인 정상병아리에서는 크릴 밀 수준에 따라 비장세포의 증식도가 점차 증가하였다. 본 연구 성적은 급성 기 반응중인 육계병아리에서 사료중 크릴 밀 첨가가 혈중 TNF-α 활성과 ovotransferrin 분비를 감소시키고 PBMC와 비장세포 증식도에 미치는 영향은, 사료중 크릴 밀이 육계 병아리의 선천 면역성과 세포성 면역성과 관계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색인 단어:lipopolisaccharide(LPS),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PBMC와 비장세포의 증식, 크릴 밀, 육계 병아리)

사료 중 크릴 밀을 급여한 육계의 생산성과 SOD 활성에 미치는 급성기 반응의 영향 (Effect of the Acute Phase Response on the Performance an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in Broiler Chicks Fed on Dietary Krill Meal)

  • 박인경;김재환;임진택;고태송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2호
    • /
    • pp.183-192
    • /
    • 2004
  • 급성 기 반응중인 육계에서 사료 중 크릴 밀의 생산성과 SOD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크릴 밀 A와 B를 이용한 실험 1과 크릴 밀 A를 이용한 확인 실험 2가 실시 되었다. 실험사료는 옥수수 대두박 위주의 기초 사료 와 기초 사료 중 대두박과 2.0%의 크릴 밀 A(수입) 또는 크릴 밀 B(수입)를 대치한 사료이다. 실험 사료를 1 일령 육계 병아리에 급여하여 Salmonella typhymurium lipopolysaccharide (LPS)를 복강 내 주입하여 급성 기 반응을 발생시킨 2 주령 육계의 생산성과 Superoxide dismu- tase(SOD)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Saline을 주입한 대조와 비교하였다. 증체량, 사료 섭취량 및 사료효율은 크릴 밀 A와 크릴 밀 B 사료를 급여한 육계사이에 차이가 있었다. 크릴 밀 사료를 급여한 육계에서 급성기 반응은 간장과 비장 무계를 높였다. 그리고 급성기 반응은 크릴 밀 사료를 급여한 육계 병아리의 간장과 적혈구 세포액의 MnSOD와 Cu/ZnSOD 활성을 높였다. PHA-p 반응에 미치는 크릴 밀 사료의 영향은 없었다. 크릴 밀 B는 면역반응 후 회복중인 육계의 생산성을 향상시켰으나 크릴 밀 A에서는 이러한 영향이 없었다. 이상과 같이 크릴 밀의 종류에 따라 급성기반응시 와 회복시의 생산성은 SOD 활성의 변화로부터 산화 스트레스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남극해 크릴 새우의 지방산조성과 무기질 및 비타민함량 (Fatty Acid Compositions, Mineral and Vitamin Contents of the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 김한수;김민아;;장성호;강동수;이원기;이춘식;류재용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7-52
    • /
    • 2014
  •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is typical of a enormous biomass of marine zooplankton that could provide good nutrition in human bod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nutrition of krill, a live in Antarctic Ocean. The analysis result of fatty acids of krill meal was as follow. The compositions of fatty acid were saturated fatty (SFA) acid 41.41%, monounsaturated fatty acid (MUFA) 21.69%,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36.89%, and p/s ratio was 0.89. The major fatty acids in all parts were eicosapentaenoic acid (EPA, 21.54%), palmitic acid (27.51%), oleic acid (13.35%) and docosahexaenoic acid (DHA, 12.42%). Especially, EPA and DHA were occupied 33.96%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 The mineral contents of krill meal were calcium 24477.21 mg $kg^{-1}$, sodium 14728.69 mg $kg^{-1}$, magnesium 6973.49 mg $kg^{-1}$, potassium 3981.67 mg $kg^{-1}$, iron 395.33 mg $kg^{-1}$ and manganese 5.74 mg $kg^{-1}$. The contents of major vitamin were retinol 86717.37 ${\mu}g$ RE, ${\beta}$-carotene 44.87 ${\mu}g$ RE, tocopherol 2.60 mg, pantothenic acid 1.61 mg, indicating that krill meal contains large amount of retinol and ${\beta}$-carotene.

실험사료 중 크릴 첨가가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치어의 성장 및 체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Krills on the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이해영;남명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70-77
    • /
    • 2020
  • 최초 체중 3.09±0.02 g 조피볼락 치어에서 먹이원으로 냉동크릴 (FWK) 그리고 크릴분말 (KM) 첨가량 (0~40%)에 따라 6종 실험사료로 7주간 사육한 결과 최종 체중, 증체율, 사료효율 및 전어체의 일반성분 중 회분에서는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타났지만, 생존율과 전어체의 일반성분 중 수분, 조단백질 및 지질에서는 유의적인 차이 없이 유사하였다. 사육실험 후 크릴 첨가 먹이 종류에 따른 최종 체중은 7.4~12.0 g, 증체율은 141~286%로 먹이 종류에 따라서 유의적으로 성장 차이를 나타내었다. 사료효율은 36~72%로 성장처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크릴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12.0 g으로 FWK10구에서 9.3 g과 유의적으로 유사한 최종 체중을 나타내어 다른 시험구보다는 높은 최종 체중을 나타내었다. 즉, FWK 20% 이상 및 크릴분말 0%, 10%, 20%구에서는 7.4~7.8 g으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냉동크릴구에서 냉동크릴 무첨가구와 유사하거나 냉동크릴 및 크릴분말 함유량에 따라 유의적으로 낮은 전어체 회분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FWK20KM20구에서 어분으로 단백질 함량을 높여주어도 성장, 사료효율 및 전어체의 일반성분에서 차이가 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조피볼락 치어 사료에 냉동크릴 및 크릴분말 10~40% 첨가 시 성장, 사료효율 및 생존율 향상에 효과가 없었다. 그러나 냉동크릴만 10% 첨가 시에는 어분만을 첨가한 사료와 유사한 양호한 성장, 사료효율 및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크릴(Euphausia superba)의 영양성분 및 아미노산 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Nutritional Components and Amino Acid Compositions of Krill (Euphausia superba))

  • 김한수;김민아;;강동수;장성호;류재용;이춘식;이원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5-170
    • /
    • 2014
  • Despite abundant nutritions, krill is barely used for human consump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component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krill and further utilizes it for food resource. Proximate compositions of krill meal were consisted of crude protein 58.85%, ash 13.89%, crude fat 12.45%, carbohydrate 11.01% and moisture 3.80%. The amount of total amino acid was 54.74 g%, and the major amino acids were glutamic acid (7.71 g%), aspartic acid (6.20 g%), leucine (4.72 g%), lysine (4.41 g%), arginine (6.49 g%) and alanine (3.25 g%), respectively. Total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was 21.87%, and the major amino acids were leucine (4.72 g%), lysine (4.41 g%) and isoleucine (2.90 g%), respectively. Content of total free amino acid in krill meal was 20224.30 mg/kg, and the major free amino acids were taurine (4501 mg/kg), arginine (3130.60 mg/kg), proline (2302.90 mg/kg), alanine (2088.10 mg/kg), glycine (1606.40 mg/kg) and lysine (1197.40 mg/kg). Especially, taurine was the most abundant of all free amino acids. Thus, these data indicate that krill seems to be abundant protein source food.

사료중 크릴 밀이 브로일러 병아리의 생산성과 단백질 및 에너지 이용성에 미치는 영향

  • 김재환;임진택;박인경;고태송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 /
    • pp.90-91
    • /
    • 2002
  • 사료 중 크릴밀이 브로일러의 생산성과 단백질 및 에너지 이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0일령 병아리(Avian종)에 기초사료와 기초사료중 대두박을 대치한 크릴밀 사료를 3주간 급여하여 2주째에 2일에 한번씩 LPS로 면역 자극하였다. 병아리의 일당 증체와 사료섭취량은 크릴사료의 영향은 없었으나 면역스트레스시 유의하게(p〈0.05) 낮아졌다. 간장과 비장무게는 면역스트레스시 급여사료 중 크릴 함량에 관계없이 유의하게 높았다. 질소밸런스는 면역스트레스시 유의하게 낮았으나 사료 중 크릴함량의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사료 g당 대사에너지값은 면역스트레스시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나 면역스트레스가 없으면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뇨산배설량은 면역스트레스시 크릴사료를 급여하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 PDF

크릴(Euphausia superba) 불소 추출물의 간세포 독성 및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rill Euphausia superba Fluoride Extract on Toxicity and Oxidative Stress in Liver cell)

  • 김정균;윤호동;박시향;김풍호;목종수;홍유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682-688
    • /
    • 2013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bout cell toxicity and oxidative stress of HepG2 cell by treatment of sodium fluoride (NaF) and fluoride extracts from krill Euphausia superba meat, shell, whole body and krill meal. The cell toxicity showed significant at 300 and $500{\mu}g/mL$ NaF treatment group. But krill (Euphausia superba) fluoride extract (KFE) treatment in all groups were not toxic. The superoxide radical production increased significantly in NaF treated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KFE treated group. The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was a significant increase 21.5% at $100{\mu}g/mL$ and 24.7% at $300{\mu}g/mL$ treatment group of fluoride extracts from krill meat, and 8.7% at $300{\mu}g/mL$ in krill meal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hydroxy radical flux and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of fluoride extracts from krill meat did not change. As a result, for a short period of time, NaF treatment in HepG2 cells affect the cell toxicity and oxidative stress, but in the case of KFE, these were not recognized. Thus, depending on the type of food ingested with fluoride, cell toxicity and oxidative stress was found to be different.

배합사료에 크릴, 켈프, 마늘 또는 감귤 분말 첨가가 넙치 육성어의 성장, 혈액 성상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Growth Performance, Hematological Parameter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Growing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to Dietary Inclusion of Kelp Meal, Krill Meal, Garlic Powder or Citrus Meal)

  • 서주영;김경덕;손맹현;이상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57-561
    • /
    • 2010
  • This feeding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inclusion of some additives on growth performance, hematological parameter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growing flounder. Triplicate groups of fish (average weight 120 g) were fed one of five diets containing 5% kelp meal (Ke), 10% krill meal (Kr), 1% garlic powder (Ga), 1% citrus meal (Ci) or control diet (Con) without supplementation for 15 weeks. After the feeding experiment, surviva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fed the different diets. Weight gain of fish fed the Ci die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the Kr diet,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 Ke and Ga treatments. Feed efficiency and protein efficiency ratio of fish fed the Ga die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the other diets. Total protein, glucose, GOT, GPT and total cholesterol contents in the plasma were not affected by the dietary additives. Composition of C20:4n-6 in the dorsal muscle of fish fed the Con die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the other die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dietary inclusion of garlic meal at 1% may improve feed utilization of growing flounder.

사료 중 크릴 밀이 채란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 박인경;김재환;임진택;고태송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 /
    • pp.92-93
    • /
    • 2002
  • 본 연구는 크릴 밀의 급여기간이 채란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크릴 밀이 함유된 사료를 채란계에 급여하여 생산된 계란의 난황내 지방산의 전이와 아스타키산친이 난황내로 전이되는지에 대하여 GC로 지방산 검출을 그리고 HPLC로 아스타키산친 및 아스타키산친 유사물질을 검출하였다. 채란계에 크릴 밀 사료는 산란율, 사료섭취량, 사료효율에 유의하게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크릴 밀 사료섭취량은 기초 사료보다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채란계에 크릴 밀을 급여한 계란의 난황에서 지방산에서 EPA와 DHA를 검출할 수 있었고, 아스타키산친과 유도체의 함량이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