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tradition

검색결과 1,364건 처리시간 0.033초

소비자의 인식조사를 통한 재래시장 육성대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Conventional Markets through the Survey of Consumers' Recognition)

  • 김선미;김성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91-195
    • /
    • 2005
  • Till now, the roles of a tradition market were a circulation of the necessities of life, a employment market of local society, a center of community, and a main structure of local economy. Recently, these tradition market is on the decline because it couldn't cope with the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It is recognized that these phenomenon is a factor of economy unbalance. So, to activate the local economy, tradition market should be promoted. Therefore, external changes such as the increase of competition intensity and the changes of consume pattern, internal changes such as the deterioration of facility and old fashioned management were analysed. The activation plan of traditional market were suggested through the decision index for the tradition market in this study.

  • PDF

전통의 규범적 의미에 대한 재해석과 범주화 (A Study on Reinterpretation and Categorization of Normative Meaning of Tradition)

  • 윤영돈;심승우;지준호;한성구
    • 한국철학논집
    • /
    • 제50호
    • /
    • pp.333-361
    • /
    • 2016
  • 본 연구는 전통의 규범적 의미에 대한 재해석과 범주화의 탐구를 목적으로 한다. 행위의 규정 근거로서 전통은 규범적 의미를 지니며, 도덕의 중요한 원천이다. 통시적 맥락에서 볼 때, 생태문화적 관점에서 고찰할 때, 전통적 가치는 그 연원이 있고, 시대적 사회적 변화에 따른 변용과 왜곡의 모습을 지니기도 한다. 전통적 가치가 민주시민으로서 미래 사회를 대비하는 데 기여하기 위해서는 재해석과 범주화가 필요하다. 미래 한국사회의 변화 전망 속에 유효한 전통의 규범적 의미는 그 연원으로부터 재해석을 통해 도출될 수 있다. 본고의 논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생태문화적 관점에서 전통적 가치의 동적인 변화상을 살펴보고, 한국사회에서 전통적 가치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바탕으로 대표적인 전통적 가치인 충효의 현대적 재해석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끝으로 서구적 가치와 한국의 전통적 가치를 포괄하는 한국적 가치의 맥락 속에서 전통적 가치의 범주화와 그 함의를 밝히고자 한다.

Consumer behaviors towards ready-to-eat foods based on food-related lifestyles in Korea

  • Bae, Hyun-Joo;Chae, Mi-Jin;Ryu, Ki-Sa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4권4호
    • /
    • pp.332-338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onsumers' behaviors toward ready-to-eat foods and to develop ready-to-eat food market segmentation in Korea. The food-related lifestyle and purchase behaviors of ready-to-eat foods were evaluated using 410 ready-to-eat food consumers in the Republic of Korea. Four factors were extract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health-orientation, taste-orientation, convenience-orientation, and tradition-orientation) to explain the ready-to eat food consumers' food-related lifestyles. Th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indicated that "tradition seekers" and "convenience seekers" should be regarded as the target segments. Chi-square tests and t-tests of the subdivided groups show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family type, eating-out expenditure, place of purchase, and reason for purchase. In conclusion, the tradition seekers consumed more ready-to-eat foods from discount marts or specialty stores and ate them between meals more often than the convenience seekers. In contrast, the convenience seekers purchased more ready-to-eat foods at convenience stores and ate them as meals more often than the tradition seeke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eady-to-eat food market segmentation based on food-related lifestyles can be applied to develop proper marketing strategies.

전통사찰 문화재의 화재안전 관리방안에 관한 고찰 (Fire Safety Administration Way of Tradition Buddhist Temple Cultural Heritage)

  • 신민섭;공하성
    • 보존과학회지
    • /
    • 제23권
    • /
    • pp.119-124
    • /
    • 2008
  • 우리나라의 전통 사찰은 대부분 목조로 되어 있고 국가 중요 전통사찰의 건축 구조는 대부분이 목재로서 연소성이 높기 때문에 일단 착화되면 빠른 속도로 화재가 전파되고 산중에 있는 지리적인 특성으로 인해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통사찰 문화재의 화재안전관리 개선방안으로 법 제도적인 측면, 건축방화적인측면, 재난 방재 기본 시스템구축 및 유관기관 합동점검, 훈련 등 예방활동 강화를 제시하였다.

  • PDF

전통사찰문화재의 방재대책에 관한 연구 - 양양산불에 의한 낙산사의 화재피해사례를 통해 본 방재대책 - (A Study on the Disaster Prevention Countermeasures of Tradition Buddhist Temple Cultural Treasure - A Case Study of the Fire Damage of the Naksansa which was due to Yangyang Forest Fire -)

  • 백민호;이해평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64-7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양양산불에 의한 낙산사의 소실이후 전통사찰 문화재의 방재대책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전통사찰의 현황과 관련 법규를 검토하였고, 양양산불의 발생에 따른 화재특성과 낙산사의 피해현황에 대해 정리하였다. 또한 낙산사 소실로 본 전통사찰의 화재피해사례와 관련 소방법규를 검토하여 문제점을 제시하였고, 낙산사의 소실에 따른 방재대책에 대해 설문조사결과를 제시하여 향후 전통사찰문화재에 대한 화재예방안전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Agribusiness: An Ethical Approach to Marketing

  • Ngoe, Tata joseph
    • Agribusiness and Information Management
    • /
    • 제5권1호
    • /
    • pp.11-19
    • /
    • 2013
  • Price skimming practices, false claim on products, false information/communication, marketing overseas, and deception on products in marketing have received significant attention by the researchers of ethics in marketing studies. This research considers these phenomena as marketing instruments that grossly violate the practice of ethics in this domain. The two most crucial parts in marketing that have received greater attention are product safety and advertising. The paper also examines Ethical Marketing as the ability to make marketing decisions that are morally right and acceptable to all. In order words, ethics in marketing explains how moral standards can be applied in marketing decisions. It seeks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by looking at some fundamental business ethics theories, namely, Virtue ethics, Utilitarian, and Deontological approaches to business ethics. Nevertheless, ethics in business is very controversial as many hold different view about what makes up the standard morals that corporations should take and so it is necessary for any organization to formulate its ethical codes to follow.

  • PDF

1970년대 전통 이념과 극단 민예극장의 '전통' (A Study on Traditional Ideology and the 'Tradition' of the Theatre company Minye in 1970s)

  • 김기란
    • 대중서사연구
    • /
    • 제26권3호
    • /
    • pp.45-86
    • /
    • 2020
  • 이 글의 목적은 70년대 국가권력에 의해 소환되었던 전통 이념이 '전통의 현대화'라는 명목 아래 당대 한국연극 현장에 수용되었던 양상과 그 함의를 밝히려는데 있다. 이는 다른 한편 70년대 전통 논의를 둘러싼 한국연극계의 자기검열의 양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민족극을 창안하는 방식으로 70년대 한국연극계의 전통 논의를 선점했던 극단 민예극장의 활동을 살펴보았다. 이제까지 70년대 극단 민예극장에 대한 평가는 전통의 계승과 변용을 내세운 허규의 연출 작업을 바탕으로 공연예술적 성취 여부에 집중되었다. 하지만 70년대 국가가 주도한 문화정치의 장(場)에서 구성된 전통 이념과 그것이 작동된 양상은 예술적 성취라는 측면에서만 평가할 수 없다. 무릇 전통을 전유하려 한 주체의 선택적 기준에 따라 전통 이념은 선별되고, 선별된 전통 이념의 선택 과정에서 특정 대상들이 배제, 폐기, 재선별, 재해석, 재인식된다. 70년대 비문화로 호명되었던 서구적인 것이나 퇴폐불온한 것과의 차이 속에서, 전통이 전유되었던 70년대의 상황도 이로부터 멀리 있지 않다. 국가가 주도한 70년대의 전통 논의는 전통의 특정 이념을 안정된 가치로 합법화했는데, 그것을 작동시킨 한 방식은 국가의 문예지원이었다. 70년대 극단 민예극장은 당시 연극 위기론의 구체적 대안으로 선택되었던 전통의 현대화를 바탕으로 민족극을 지향했다. 그것은 구체적으로 전통연희의 계승과 변용이라는 방식으로 구현되었는바, 특히 극단 민예 극장의 대표 연출가 허규에게 전통은 거부할 수 없는 안정적 가치였고 그것의 계승과 변용은 의심할 바 없는 소명으로 내면화되었다. 그 결과 허규가 연출한 극단 민예극장의 공연은 일정한 성취에도 불구하고 과도한 전통연희의 관습들로 채워진 숙련된 장인술로 귀착되었다. 70년대의 전통 이념은 80년대 들어 새로운 전유의 양상으로 전개된다. 1986년 극단 민예극장의 핵심 단원이었던 손진책, 김성녀, 윤문식 등은 민예극장을 탈퇴하여 극단 미추를 만든다. 극단 미추는 연출가 손진책을 중심으로 풍자와 해학이 넘치는 마당놀이를 선보이며 전통의 대중화를 끌어냈다. 전통연희에 내재된 민중의 저항정신을 전통적 가치로 전유했던 대학가의 마당극처럼, 손진책의 마당놀이는 풍자와 해학을 통해 위압적인 국가권력을 비판하고 조롱함으로써 대중적 인기를 끌었다. 70년대 전통 논의의 자장 안에서, 민중의 저항정신을 전통적 가치로 전유하며 자생한 마당극이나 전통의 대중화를 성취한 극단 미추의 마당 놀이는 예술적 성취로써만 평가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전통의 계승과 변용이라는 측면에서 70년대 극단 민예극장이 성취한 것 역시 70년대 전통이 소환되었던 맥락을 제외하고 독립적으로 평가될 수 없다. 70년대 국가 주도의 전통 논의에 대응한 한국연극 평단의 시각이 예술성을 바탕으로 한 공연예술의 질적 성취에만 집중된 대목이 아쉬운 것은 그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이런 맥락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70년대 극단 민예극장의 활동을 중심으로 당대 한국연극계의 전통 논의와 그 실천 양상을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70년대 극단 민예극장의 활동이 한 계기로 작용했을 대중적 마당놀이나 민중저항의 마당극은 70년대 극단 민예극장이 전통을 전유하는 방식, 곧 전통의 계승과 현대적 변용과의 '차이' 속에 정립되었다. 계기는 되었으나 그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지속적으로 생산해내지 못한 점, 이것이 극단 민예극장의 '전통'이 70년대 한국연극사에서 차지하는 의미이자 한계이다.

파리컬렉션에 나타난 한국적 패션 디자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Research for Characteristics of Korean Fashion Design Showing at Paris Collection)

  • 김인경
    • 복식
    • /
    • 제38권
    • /
    • pp.233-244
    • /
    • 1998
  • This research wants to find the possibility for new paradigm of modern Korean dress by accepting and harmonizing the tradition and the modernization of Korean design when Korean designers enter into Paris collection and express identity of Korean fashion, and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esign with concentrating on the works of Young-hee Lee, Shin-woo Lee, Tae-ok Jin who have exhibited their works at Paris Collection. For one of the above characteristics Young-hee Lee, a designer of Korean clothes, emphasized to build up image of Korean fashion as a form of Korea without any modification, and expressed universal western-style silhouette as Korean image by using traditional technique including dyeing and silk made by herself, quil-t and decorative saddle stitching. In the as-pect that a chain of work has made not by westernization of Korean clothes but by re-creation of Korean clothes, it suggested a new way of modern Korean fashion with harmonizing tradition with modernizations as of present based on our own dress tradition and have got good reputation from the press and the field in Paris as well. Therefore the tradition and the modernization of Korean design is not confronted or compromised in form, color, material, motif and decoration but has to be harmonized and reconciled independently in order that visual characteristics of dress can be made as one of Korean image.

  • PDF

한국 근.현대 주택작품에서 나타나는 전통성 해석의 시대적 경향 (Tendency of Traditional Character in Korean Modern House Architecture as an Art Work)

  • 전남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169-179
    • /
    • 2010
  • Since modernization period thru Japanese colonial era the modern architect began to play a important role for Korean housing architecture. So called 'House as an Art Work', detached houses by prominent architects, belong to a meaningful sector in Korean modern housing architecture. The harmony with tradition was always big issue for such work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paradigms for tradition were interpreted with the changes of the time. The analysis showed various tryout by architects, that concretiz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in their work. For example, traditional lifestyle were clearly reflected in the floorplan during 30's and 40's. In the 70's building mass and formative roof design were emphasized to present traditional image. As well as it represented primitive esthetic and vernacular decoration. In addition, expressive tendency, that demonstrates korean sentiment through material and its texture, got a preference. Since latter half of 80's some traditional architectural elements were modernized and space characteristics were newly created from acculturation. Furthermore the philosophy of "Subdivision of building wings and Emptiness" follows this trend. This type made a courtyard and connected articulated building masses each other. "Sympathy with Nature" were most essential for a traditional houses in contrast with western architecture. Many architects today make various method to bring nature into interior space and to contemplate nature In the house. Such kinds of adaptation to tradition could be understood as a unique process to manifest identity of Korean modern hou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