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Reinterpretation and Categorization of Normative Meaning of Tradition

전통의 규범적 의미에 대한 재해석과 범주화

  • Received : 2016.07.07
  • Accepted : 2016.07.30
  • Published : 2016.08.1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lve into reinterpretation and categorization of normative meaning of tradition. The normative meaning of tradition which plays a key role of the action-guiding power is the main source of morality. According to ecological cultural approach to diachronic transition of traditional value, traditional value leads its dynamic life: its origin, acculturation, transformation, distortion of traditional value depending upon periodic social change. It is necessary for traditional value to be reinterpreted and categorized, with a view to contributing to attribute & competency of democratic citizen in future society. The normative meaning of traditional value applicable for Korea's future society can be reinterpreted from its origin revealed in the classic. The order of discussion in this paper runs as follows. Firstly, we will investigate into dynamic change of the traditional value on the basis of the ecological cultural perspective and seek the possibility of modern reinterpretation of loyalty & filial piety as representative traditional value. Finally, we will treat the categorization and its significance of traditional value in the frame of Korean value including both western value and Korean traditional value.

본 연구는 전통의 규범적 의미에 대한 재해석과 범주화의 탐구를 목적으로 한다. 행위의 규정 근거로서 전통은 규범적 의미를 지니며, 도덕의 중요한 원천이다. 통시적 맥락에서 볼 때, 생태문화적 관점에서 고찰할 때, 전통적 가치는 그 연원이 있고, 시대적 사회적 변화에 따른 변용과 왜곡의 모습을 지니기도 한다. 전통적 가치가 민주시민으로서 미래 사회를 대비하는 데 기여하기 위해서는 재해석과 범주화가 필요하다. 미래 한국사회의 변화 전망 속에 유효한 전통의 규범적 의미는 그 연원으로부터 재해석을 통해 도출될 수 있다. 본고의 논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생태문화적 관점에서 전통적 가치의 동적인 변화상을 살펴보고, 한국사회에서 전통적 가치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바탕으로 대표적인 전통적 가치인 충효의 현대적 재해석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끝으로 서구적 가치와 한국의 전통적 가치를 포괄하는 한국적 가치의 맥락 속에서 전통적 가치의 범주화와 그 함의를 밝히고자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