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nowledge of science curriculum

검색결과 688건 처리시간 0.027초

CS2013 지식영역의 계량화를 통한 컴퓨터과학 영역별 우선순위 설정 (Setting Priorities by Computer Science Area Through Quantification of CS2013 Knowledge Area)

  • 유병건;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25-33
    • /
    • 2017
  • 고등교육의 질 관리를 중요하게 생각한 국가들은 다양한 제도나 방법을 통해 교육의 질 강화를 진행하고 있다. 컴퓨터과학 분야에서도 고등교육의 질 관리를 위해 교육과정 표준을 구성하는 등 끊임없이 노력해 왔다. 컴퓨터과학 분야 교육과정 표준에서 언급한 지식영역의 우선순위를 파악해 보면, 내용체계 구성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CS2013을 토대로 내용요소에 대한 Tier1, Tier2, Elective의 시수와 세부영역의 수를 중심으로 순위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지닌 지식영역으로는 Software Development Fundamentals이었다. 해당 지식영역은 CS2013에서 기초 요소이기 때문에 초급코스로 권장한다고 기술되기도 하였다. 도출되어진 영역별 우선순위가 향후 초중등 정보교육과정이나 고등 교양 정보교육과정, 교원양성기관의 정보교육과정 설정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과학교육과정 개발 연구-주제 중심의 초등과학교육과정 내용구성- (Development of th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to Enhanc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Theme Based Construction of Contents)

  • 조연순;최경희;서예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27-537
    • /
    • 1998
  • 본 연구는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초등 과학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2차 연구의 첫 단계로서 초등 과학교육의 세 가지 영역인 물상과학(물리+화학), 생명과학(생물), 지구과학의 개념들간에 공통적으로 함축되어 있는 주제들을 찾아내어 주제중심으로 교과내용의 재구성을 시도하는 연구이다. 채택한 주제는 에너지, 변화, 상호작용, 규모와 구조, 안정성의 5가지로서 이들은 각 학문 영역의 개념들이 단편적으로 제시되는 교육과정의 구성방식을 획기적으로 전환하도록 이끌어 줄 수 있는 하나의 모델이 될 것을 기대한다. 재구성의 절차는 우선, 물상과학, 지구과학, 생명과학의 영역별 총괄개념을 정하고, 그것을 다시 학년별 주개념으로 나눈 다음, 위의 다섯가지 주제별로 하위개념들을 기술하였다.

  • PDF

의과대학 교육과정중 임상영양교육의 필요성 평가 (Evaluation of Necessity of Clinical Nutrition Education in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 장현숙;권정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415-422
    • /
    • 199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necessity of clinical nutrition education in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One hundred and eighty five medical school students, residents, nurses, and forty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were involved in this study. The survey included questions about nutritional knowledge, necessity of nutrition counseling, necessity of clinical nutrition and nutritional attitudes. The nutritional knowledge scores of the subjects in medical school and resident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students majoring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Subjects of 91.3% strongly agreed to the necessity of nutrition counseling for patients ; 78.9% agreed that the present nutrition education in medical schools was inadequate. Most subjects (94.1%) agreed that clinical nutrition was an important field in the treatment of diseases. The medical profession is facing the challenges of the 1990s with the shift to outpatient care and preventative services. Clinical nutrition is an essential element in the process of curriculum change. The nutrition educator will be expected to take a leading role in integrating clinical nutrition into medical school curriculum.

  • PDF

2015 개정 초등교육과정 내 산림교육 내용분석 및 유형화 연구 (A Study on Content Analysis and Types of Forest Education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최선혜;하시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4호
    • /
    • pp.689-710
    • /
    • 2021
  • 본 연구는 2015 개정 초등학교 교과서 및 교육과정에서 '산림교육' 관련 내용을 추출하여 교육과정 내 산림교육 내용의 유형을 나누어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산림교육 교육과정의 영역으로 분석하여 교육과정과 산림교육의 성취 간의 유사성을 확인하였다. 학교 교육과정과 산림교육 간의 연계성을 바탕으로 향후 교과과정과 연계한 산림교육을 자유학기제, 고교학점제에 적용시켜 산림교육을 활성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학교 내에서 산림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전 교과의 목표와 성취기준 및 교과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과서 내 산림교육 내용을 추출하여 도구, 감성, 지식 이해, 가치 인식, 실천영역으로 유형화하였다. 다섯가지 유형으로 초등학교 교과서를 교과 내용을 분석한 현황은 다음과 같다. 산림교육 영역 중 지식 영역은 모든 학년, 모든 과목에 포함되어 있었다. 직접적으로 산림교육 관련 지식을 전달하는 지식 영역이 교육과정 안에 고루 편재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또한 산림교육 지식 영역이 다양한 교과 내용과 연계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과 내용에 포함된 산림교육 유형이 학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저학년에서는 산림교육의 도구·감성 영역 내용이 가장 많았으며, 고학년이 될수록 지식·가치 의식의 영역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산림교육 수준 또한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학년별로 필요한 수준의 산림교육이 교육과정에 적절하게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과 내 성취기준을 분석하였을 때, 교과 성취기준에 산림교육 영역의 핵심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그 중에 산림환경 영역이 가장 많이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가 학교에서 산림교육을 하고자 하는 교사나 아동을 대상으로 산림교육을 진행하는 산림교육전문가가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산림교육을 진행할 때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을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는 교육과정 내 산림교육 관련 내용 현황을 파악하는 데 의의가 있다.

제 6차와 제 7차 초등학교 3, 4학년 과학 교과서의 내용과 삽화의 비교ㆍ분석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ntent and illustration in the 6th and 7th National Curriculum 3rd and 4th Grade Primary Science Textbooks)

  • 백남권;서승조;조태호;김성규;박강은;이경화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1권1호
    • /
    • pp.61-7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y have been revised corresponding to the purpose of revision by mak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ntent and illustration in the 6th and 7th primary science textbooks. The analysis of content was composed of knowledge, inquiry process and attitude. The analysis of illustrations was composed of the kinds of illustrations and the role of illustration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tent analysis of the primary science textbooks in the 6th and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ratio of inquiry proces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next knowledge and lastly scientific attitude. And the 7th textbooks are greatly emphasized knowledge and science attitude. Second, as a results of the illustration analysis are as follows: There are conspicuous differences in that the illustration number of the 7th science textbooks Is about twice the illustration number of the 6th science textbooks and next, they place more weights on pictures and comics hard to discovery in the 6th science textbooks. Therefore, they have tried to induce the interests of students and heighten their understanding by supplementing the role of illustration presented as picture-centered and increasing its number presented as picture. In the results, although they have improved the problems of the 6th national curriculum a lot through the innovation including the interest induction of pupils through comics, the development of its content presentation method, the gradual change of subject number and the cultivation of curriculum according to the level of enrichment and supplementing types, the 7th science textbooks have fallen short of 6.3%, not around 30% in terms of the reduction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ccordingly, the 7th science textbooks also can be pointed out to have the problems of too much amount of studying compared to the time per week like the 6th science textbooks.

  • PDF

가르칠 지식으로서 무게에 대한 분석: 교수학적 변환 이론을 중심으로 (Weight as Knowledge to be taught according to Didactic Transposition Theory)

  • 최지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5권4호
    • /
    • pp.377-394
    • /
    • 2022
  • 초등학교 3~4학년군에서 무게를 지도하는 방식이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상이하여, 초등학교 교사들과 학생들의 혼란이 야기된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으로 사용된 지식이 가르쳐질 지식으로 교수학적 변환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회적 인정성을 확인하고, 교수학적 의도에 따라 다르게 변환된 정도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상적 의미에서의 무게의 의미, 국제단위계에 따른 무게의 정의,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구현된 무게, 과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구현된 무게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가르칠 지식으로서의 무게를 어떻게 정의하고 가르칠 것인가에 관한 교수학적 관점을 도출하였다.

북한 소학교와 초급중학교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의 교수내용지식(PCK) 요소 분석 (An Analysis of the PCK Components of Science Teacher's Guidebooks for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in North Korea)

  • 정세종;나지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15-427
    • /
    • 2020
  • 본 연구는 북한에서 '2013 제1차 전반적 12년제 의무교육강령'이 시행된 이후에 출판된 소학교 1학년과 초급중학교 1학년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PCK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북한에서 진행되는 과학교육을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두 지도서 모두 '과학 내용에 관한 지식'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과학 교수전략에 관한 지식', '과학교육과정 관한 지식'이 뒤를 이었다. 반면에 '과학 평가에 관한 지식', '학생에 관한 지식'은 내용이 현저하게 부족하였다. '과학 내용에 관한 지식'에서는 소학교와 초급중학교 모두 '개념 및 이론'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실험 및 탐구'의 비중도 다른 PCK 요소에 비해서는 상당히 높았다. 북한의 과학과 지도서는 학생에게 과학 개념 및 이론을 전달하거나 탐구 수업을 진행할 때 '토론'을 활동으로 제시함으로써 구성주의 교수 흐름을 표방하고 있었다. '과학 교수 전략에 관한 지식'은 '주제-특이적 전략' 중 '활동 순서 및 방식'을 안내하는 부분이 주를 이루었으며 '교과-특이적 전략'은 극히 일부분만 제시되었다. 또한 북한의 과학과 지도서는 총론과 각론 모두에서 과학교육의 이론적 배경 요소가 거의 제시되지 않았다. '과학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은 '수업 목표'가 주를 이루었고, '수직 연계'와 '수평 연계'도 일부 제시되었다. '과학 평가에 관한 지식'과 '학생에 관한 지식'은 우리나라의 과학과 지도서와 비교했을 때 차지하는 비중이 작았다.

초등 과학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성교육 콘텐츠의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ex Education Contents Available to Elementary Science Class)

  • 유태양;박재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1호
    • /
    • pp.13-21
    • /
    • 2010
  • This study reflects the demand of content elements related to "Human Reproduction"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and verifies its effects by developing and applying sex education contents available to elementary science class. The developed contents is composed of three sections in reference to the contents guideline for teachers. The contents include anatomical knowledge related to human reproduction and reflect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sex ethics. The first section: "How was I born?", second section: "Amazing changes in my body" and third section: "Healthy body, healthy mind." In the result of analysis of changes in sex knowledge and attitude after applying the contents, 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class. Thus, the developed contents made positive influence on improvement in elementary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 of human reproduction. However, it showed little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sex education contents by the grade and gender. In conclusion, if the sex education content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is actively applied, it is expected to provide the elementary students with knowledge of the anatomic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ts social and cultural understanding and responsibility for sex ethics.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o be used as effective education programs and material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 PDF

캐나다 Ontario주와 우리나라 초등학교의 전기, 자기 관련 교육 과정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urriculum on Electricity and Magnetism between in Korean and in)

  • 한무현;김종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4권5호특별호
    • /
    • pp.620-626
    • /
    • 2005
  •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comparative study to investigate the curriculums on electricity and magnetism between in Korean and in Ontario elementary schools in Canada with respect to connectivity and difference among course materials with grades. We compared textbooks that contain the contents about electricity and magnetism, and connectivity in curriculums that were relevant to the science content system in each country. We report the following differences in the curriculums on electricity and magnetism in each country. First, it turns out that science is taught from the first grade in Ontario, while it is taught from the third grade in Korea. Second, Ontario covers electricity and magnetism only in science curriculum, while Korea covers the same topics both in the science and practical arts curriculum. Third, while the curriculum in Korea introduces 'a magnet' in the third grade, 'electricity' in the fourth and the fifth grade, and 'an electromagnet' in the sixth grade, while the curriculum in Ontario covers the concept of energy from the first grade. As the grades go up, the contents of electricity and magnetism tend to be more deepen. It also emphasizes enhancing students' ability that they can communicate what they learn about technology with others, and that they can apply their knowledge to other fields as well. Based on this study of the Ontario curriculum, we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for us to n Science curriculum from the first grade, so that the students can learn science from the early grade, without a need to run another subject, like practical arts. We also found that the Korean curriculum has an interesting structure for the young students to learn to apply their knowledge to the real life immediately, based on an idea that the topic of 'Manipulating the electric appliances' in practical arts curriculum moves to the Science.

  • PDF

우리나라 문헌정보학과 교과목의 정보서비스 영역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n the Information Service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in South Korea)

  • 남영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343-362
    • /
    • 2011
  • 이 연구는 우리나라 문헌정보학과내 정보서비스 영역 교과과정을 분석하여 정보서비스분야의 발전적인 교과운용방안의 도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주요 대학교 5곳과 미국 주요 대학원 4곳을 선정하여, 해당 대학교가 개설하고 있는 정보서비스관련 교과목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사서채용시에 요구하는 시험과목을 분석하였다. 전자는 학문적 기반의 정보서비스 교과내용을 파악하기 위함이고, 후자는 도서관 현장에서 요구하는 정보서비스의 교과내용을 파악하기 위함이었다. 분석결과, 학문적으로 요구하는 정보서비스 영역은 분야별 정보원에 관련한 지식(장서 관리, 주제별 서지 등)과 대이용자 분석에 관련한 지식(정보서비스, 이용자연구, 독서지도 등) 등이었다. 또한 국가고시의 관리자급 채용요건에서는 정보서비스 이론과 함께 주제정보원 및 대이용자 서비스 관련 지식을 종합적으로 요구하고 있었다. 따라서 정보서비스 영역 교과과정에서 전문적인 주제정보교육이 보다 강화될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