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nowledge browsing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4초

가상공동체에서 지식탐색을 통한 지식공유에 관한 연구 (Understanding Knowledge Sharing in Virtual Communities through Knowledge Seeking Behavior)

  • 김재경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1-86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knowledge browsing behavior as the factor affecting the increase of knowledge sharing intention. To conduct this study in the specific context of knowledge seeking and sharing behavior of virtual community members, literature on knowledge seeking behavior, meta-knowledge, and knowledge sharing intention was review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to analyze survey data to test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The result showed that knowledge browsing have positive effects on creating of virtual community members' subject knowledge and meta-knowledge, which, in turn, affected positively their knowledge sharing intention. One of the main contributions of this study is that knowledge seeking behavior influence one's knowledge sharing intention in a virtual community. Organization managers should consider knowledge seeking behavior as not only a self-interested, consuming activity, but also a productive one through its function of constructing subject knowledge and meta-knowledge.

가상공동체의 지식선순환을 위한 지식탐색과 공유에 관한 연구 (Towards the Virtuous Circle in Virtual Community through Knowledge Seeking and Sharing)

  • 김재경
    • 지능정보연구
    • /
    • 제20권2호
    • /
    • pp.19-38
    • /
    • 2014
  • 본 연구는 지식경영연구에서 비교적 적은 관심을 받아온 지식탐색행동인 지식브라우징(knowledge browsing)과 지식검색 (knowledge seeking)의 역할을 가상공동체 환경에서 조사하였다. 지식탐색행동이 가상공동체의식을 매개요인으로 지식공유의도와 가상공동체홍보에 양의 영향을 끼치는 선행요인으로 고려되었다. 연구가설들은 한 가상공동체의 회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구조방정식모델을 사용하여 검증한 결과, 능동적 지식탐색행동은 가상공동체의식에 양의 관계를 보였고, 가상공동체의식은 지식공유의도와 공동체홍보에 양의 관계를 보였다. 실무자들은 본 연구를 통해 회원들의 지식탐색행동이 가상공동체의식을 함양하는 효과가 있고 결국, 지식공유활성화와 가상공동체 홍보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지식탐색행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회원들이 가상공동체로부터 지식을 얻고, 다시 지식을 가상공동체에 공유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공동체를 홍보하게 되는 가상공동체의 선순환적 발전을 꾀할 수 있다.

전문가 시스템 개발을 위한 Knowledge Base Editor의 구현 (A Knowledge Base Editor for Building Expert Systems)

  • 김재희;신동필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37-45
    • /
    • 1990
  • In this paper, a knowledge base editor is presented as a supporting environment for an expert system building tool, OPS5. The knowledge base editor is especially useful for the fast and easy development of a knowledge base when the OPS5 production language is used. This knowledge base editor has some special facilities such as syntax and type checking, rule browsing and automatic bokkeeping. The syntax and type checking provides the facilities to find syntax and type errors in an edited knowledge base, respectively. The rule browsing facility offers various pattern matching schemes to see the causes and effects of a concerned rule. Automatic bookkeeping keeps the updated date and user name of a rule for the later reference whenever a user adds or changes a rule.

  • PDF

DDC in DSpace: Integration of Multi-lingual Subject Access System in Institutional Digital Repositories

  • Roy, Bijan Kumar;Biswas, Subal Chandra;Mukhopadhyay, Parthasarathi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7권4호
    • /
    • pp.71-84
    • /
    • 2017
  • The paper discusses the nature of Knowledge Organization Systems (KOSs) and shows how these can support digital library users. It demonstrates processes related to integration of KOS like the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22^{nd}$ edition (DDC22) in DSpace software (http://www.dspace.org/) for organizing and retrieving (browsing and searching) scholarly objects. An attempt has been made to use the DDC22 available in Bengali language and highlights the required mechanisms for system-level integration. It may help a repository administrator to build an IDR (Institutional Digital Repository) integrated with SKOS-enabled multilingual subject access systems for supporting subject descriptors based indexing (DC.Subject metadata element), structured navigation (browsing) and efficient searching.

MDS를 이용한 개별문서의 계층적 지식구조 브라우징 인터페이스 설계 (Designing Hierarchical User Interface Model for Browsing the Knowledge Structure of a Single Document Using MDS)

  • 한승희;이재윤
    • 정보관리연구
    • /
    • 제35권3호
    • /
    • pp.125-138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현재의 정보검색 환경에서 이용자 친화적인 검색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 개별문서의 계층적 지식구조 브라우징 인터페이스를 제안하였다. 계층적 형태를 갖는 개별문서의 지식구조를 자동 생성하기 위해 개별문서에 출현한 용어를 이용하여 대군집과 소군집의 용어 클러스터링 결과에 대해 클러스터 대표어 선정 작업을 수행하였고, 이를 대상으로 다차원 척도법을 이용하여 2차원 공간에 개별문서의 지식구조를 표현함으로써 이용자가 개별문서에 대해 보다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브라우징 인터페이스를 마련하였다.

이용자의 지식상태와 브라우징 탐색에 관한 연구

  • 김영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8권
    • /
    • pp.245-268
    • /
    • 1991
  • Some conclusions deriv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 1) Most conventional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require users do precisely that specify the information they require, but user's information needs are not always precise. 2) Information need arise from when users are in an anomalous stats of knowledge about some problem, so user's information needs are not always precise. 3)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must assist to users make themselves correct, complement, and specify their information need. When information need arise, systems should understand the state of knowledge and will be design to present and specify their ill-defined potential information need. 4) Existing information retrieval techniques need a tool to complement current its disadvantages and to enhance retrieval efficiency. Browsing searching will be a role such as a tool. 5) Browsing searching can understand user's state of knowledge and assist to specify not only pre-searching information need but also changed information need during searching progress.

  • PDF

과학기술 연구개발조직의 팀 연구 지원을 위한 지식포털 모델 (Design of a Knowledge Portal for Supporting Team Work in Research & Development Organizations)

  • 박성주;이홍주;김종우;김규중;안형준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5권2호
    • /
    • pp.151-168
    • /
    • 2003
  • A knowledge portal is an integrated gateway for accessing relevant knowledge, collaborating and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and also linking internal applications which is becoming crucial in the age of information abundance. Research and development is a typical knowledge-intensive activity. However, knowledge management support in R&D has been minimal in most research organizations. In this paper, a knowledge portal is designed to support team-based researches in science and technology for searching and browsing knowledge, and also communicating with other team members, coordinating research project and collaborating with other researchers. Automating knowledge acquisition from various knowledge sources, knowledge categorization by applying text categorization method, and knowledge recommendation can help to relieve management effort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knowledge management processes. A prototype system based on the suggested model is also presented.

Features, Functions and Components of a Library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LIS tradition for the e-Environment

  • Satija, M.P.;Martinez-Avila, Daniel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3권4호
    • /
    • pp.62-77
    • /
    • 2015
  • This paper describes qualities of a library classification system that are commonly discussed in the LIS tradition and literature, and explains such a system’s three main functions, namely knowledge mapping, information retrieval, and shelf arrangement. In this vein, the paper states the functional requirements of bibliographic classifications, which broadly are subject collocation and facilitation of browsing the collection. It explains with details the components of a library classification system and their functions. The major components are schedules, notations, and index. It also states their distinguished features, such as generalia class, form divisions, book numbers, and devices for number synthesis which are not required in a knowledge classification. It illustrates with examples from the WebDewey good examples of added features of an online library classification system. It emphasizes that institutional backup and a revision machinery are essential for a classification to survive and remain relevant in the print and e-environment.

사용자의 인지부담 절감을 위한 인지 기반 지식 구조 및 정보 탐색 프레임워크 (Cognitive Knowledge Structure and Information Seeking Framework to Reduce Cognitive Burden)

  • 박호건;맹성현;김경민;장관;최종욱
    • 인지과학
    • /
    • 제19권4호
    • /
    • pp.419-441
    • /
    • 2008
  • 웹과 디지털 라이브러리가 대중화되면서, 사용자들은 이를 정보 조사나 학습 같은 높은 인지부담을 수반하는 작업에 활용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검색엔진 및 브라우저는 사용자에게 단순한 질의 기반 검색 및 항해탐색 기능만을 제공하므로 정보를 해석하고 연계하며 통합하는 등의 역할은 사용자에게 전가한다. 본 논문에서는 인간-웹 상호작용을 위한 이단 모델(Two-level M여el)이라고 부르는 개인화된 지식구조를 제안한다. 이 구조는 지식공간과 정보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새롭게 지식공간을 구성하고 이를 이용하는 명령(Operation)을 제공한다. 지식 공간은 웹에서 상호작용을 통해 검색된 결과에 대한 개념적인 해석이라고 할 수 있으며, 토픽 및 토픽간의 관계를 통해서 이 지식 공간이 구성된다. 이러한 지식 공간은 정보공간의 정보객체와 연결되어 있어 지식공간으로부터 원하는 정보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다. 이 모델에 기반 하여 구현된 시스템을 통해 정보탐색 태스크 중 가장 높은 인지부담을 요구하는 탐험적 검색 환경 아래서의 실험을 수행하여 사용자 인지부담 절감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으며, 향후 개인의 효과적인 정보 탐색을 위한 가치 있는 메타데이터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 PDF

멀티미디어 정보의 효율적인 검색을 위한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Hypermedia System for Effective Multimedia Information Retrieval)

  • 고영곤;최윤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213-1225
    • /
    • 1993
  •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하고 제시하기 위하여 링크를 이용한 브라우징과 탐색항해 도구를 이용한다. 본 연구에서 설계·구현한 시스템은 보다 효율적인 탐색항해를 지원하기 위하여 계층적 그룹과 지역 맵 도구를 제공한다. 특히, 클러스터링 기법을 적용하여 클러스터 트리를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항해시 필요한 지식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 안하고 있다. 또한 탐색 과 브라우징 기능을 통합함으로써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의 정보검색기능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높이도록 설계하였다. 본 하이퍼미디어시스템을 백과사전, 참고문헌정보, 전자사전, 전자책등의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