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lled vaccine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38초

Vibrio균에 대한 뱀장어 (Anguilla japonica)의 면역반응 (Immune Response of the Japanese Eel(Anguilla japonica) to Vibrio anguillarum)

  • 전세규;김진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464-470
    • /
    • 1985
  • 경남 김해 명지 양어장에서 사육중이던 뱀장어(평균체중 20g)에 Vibrio anguillarum vaccine을 주사하여 일정기간이 경과한 뒤 생균을 감염시켜 뱀장어의 면역효과를 조사하였다. 이 실험에서 사용된 vaccine은 $25^{\circ}C$로 조절된 $0.3\%$의 formalin에 24시간 방치하여 사균화시킨 formalin-killed vaccine, $121^{\circ}C$에서 3분 및 15분간 가열한 vaccine등 3종류의 vaccine이다. 이 3종류의 vaccine을 접종했을 때 효과의 차이와 formalin-killed vaccine의 접종 시 온도와 접종농도에 따른 효과를 조사했으며 booster접종의 필요여부도 검토했다. 1984년 12월 4일부터 85년 4월 30일까지 실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온 $15^{\circ}C$에서 $23^{\circ}C$의 범위까지 항체생산에 의한 응집력가는 수온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고, $23^{\circ}C$$28^{\circ}C$에서는 응집력가는 별차이가 없었다. 2. 사균 vaccine 접종양을 $10^7cells/$미로 주사하면 면역능력이 아주 미비하였고, $10^8cells/$미에서 강한 면역능력을 획득했다. 그러나 $10^9cells/$미로 증가시켜도 $10^8cells/$미 때와 유사하였다. 3. $10^8cells/$미를 2회 접종시켰을 때 1회만 접종시켰을 때보다 효과가 훨씬 좋았으나 3회 접종시켰을 때는 2회 접종구와 면역효과의 차이가 없었다. 4. formalin으로 처리된 사균 vaccine이 완전면역을 나타내었으며 $121^{\circ}C$로 열처리한 vaccine의 경우는 면역효과가 약했다.

  • PDF

개 코로나바이러스 불활화 백신에 대한 개와 기니픽 간의 면역반응 비교 (Comparison of immune responses of dogs and guinea pigs inoculated with inactivated canine coronavirus vaccines)

  • 안동준;김병한;정병열;이철현;전우진;이필수;정갑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15-221
    • /
    • 2005
  • Canine coronavirus (CCV) causes a mild gastroenteritis in dogs. The virus is highly contagious. Although the virus was isolated more than thirty years ago, canine coronavirus infection continues to be a widespread problem. Mixed infections with both CCV and canine parvovirus (CPV) are common. Four kinds of commercial killed CCV vaccines are available in Korea. All the commercial vaccines should pass the National Assay for Veterinary Biologicals prior to release. For the potency test of CCV vaccine, it is necessary to use CCV antibody free dogs. The test requires not only kennels but high cost. To develop easy, efficient and economic potency test method for killed CCV vaccine using laboratory animals, a series of experiments with rabbits and guinea pigs were carried out in this study. In the preliminary test, the guinea pigs showed better immune responses than rabbits. The guinea pig was also easy to manage. So guinea pig was selected for the potency test animals. When the guinea pigs were inoculated twice with one dose of vaccine intramuscuarly each, slower and a little lower SN antibody titers were induced in guinea pigs than in dogs (about 2 kg body weight Beagle strain) given the same posology as guinea pigs'. It was concluded that guinea pigs could be substituted for dogs in the potency test of killed CCV vaccine.

육용계 초생추에 대한 뉴켓슬병 생독 및 사독 백신의 동시접종 효과 (Efficacy of Concurrent Administration of Live and Killed Newcastle Disease Vaccines in Day - Old Broiler Chicks)

  • 최정옥;박승주;위성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93-198
    • /
    • 1988
  • 모체이행항체가 있는 병아리에 생독과 사독 ND 백신을 동시접종 했을때 면역효과를 시험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B_1$과 LaSota의 2가지 생독백신과 Gel, Oil의 2가지 사독백신을 구입 1 일령에 각각 단독접종하거나 생독과 사독을 서로 다르게 조합하여 동시에 접종하였다. 생독백신은 백신제조회사에서 추천하는 1수분을 25${\mu}\ell$ 씩 한쪽눈에 적하 하였으며 사독은 0.3$m\ell$씩 경부피하에 접종하였다. HI 가를 주별로 8주까지 조사하였으며 방어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4주와 8주에 강독으로 수당 $10^{5.3}$$ELD_{50}$씩 공격 접종하였다. 8개 시험군 중에서 .사독Oil백신과 생독을 동시에 접종한 군이 항체가와 방어율이 가장 높았다. 생독백신이나 Gel백신만 단독접종한 군은 방어율이 50%이하로 낮았으며 항체가도 4~5주 때 $2^2$이하로 하강하였다. 사독 Oil과 동시 접종한 생독백신으로서 $B_1$과 LaSota간에 는 방어율이나 항체가에서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2가지 생독이 모두 Oil백신과 동시 접종했을 때 4주에서 방어율이 100%였으며 8주 때는 90-100%이었고 항체가도 $2^4$ 이상 8적까지 지적되었다. 동시접종해도 호흡기증상등의 부작용이나 증체율 저하 등의 현상은 볼 수 없었다.

  • PDF

약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사독백신개발을 위한 후보주(ADL0401)의 면역 원성 및 안전성 평가 (Evaluation on Immunogenicity and Safety of Avian Influenza Isolate(ADL0401) as a Candidate for the Killed Vaccine against tow-Pathogenic Avian Influenza)

  • 이진성;하대희;김정은;하봉도;모인필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3-123
    • /
    • 2005
  • 본 연구는 약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사독백신 개발을 위하여 백신 후보주(ADL0401)로서의 생물학적 특성 및 개발 백신에 대한 면역원성 및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백신 후보주인 ADL0401의 병원성을 조사한 결과 폐사는 없었으며, 임상증상 및 바이러스 재분리율 양상이 국내 표준 야외주인 MS96과 상당히 유사한 생물학적 특성을 나타내어 약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의 특징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표준야외주인 MS96과 백신후보주인 ADL0401간의 이종항원의 중화능 실험을 한 결과 r값 = 0.71로 동종항원(r값 = 1)에 비하여 다소 낮은 중화능을 나타내었지만, 두 바이러스간의 항원성엔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불활화 능력실험으로 $0.1\%$ Formalin을 $37^{\circ}C$ 조건에서 처리하였을 때 가장 효과적인 결과를 가져왔으며, MS96은 2시간, ADL0401은 1시간만에 다소의 역가 저하는 있었으나 빠르게 불활화가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개발 백신의 면역원성 및 안전성 실험 결과 ISA 70 adjuvant 백신 접종시 백신 접종 전후로 폐사율 및 임상증상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높은 수준의 항체 역가를 형성함으로써 가장 면역원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Bordetella bronchiseptica 백신항원의 면역원성 평가 (Evaluation of the immunogenicity of Bordetella bronchiseptica, a vaccine antigen)

  • 우수한;문선영;변윤영;주홍구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75-79
    • /
    • 2014
  • Bordetella (B.) bronchiseptica is a causative agent of swine atrophic rhinitis that promotes colonization of the mucous membrane of the swine nasal cavity by Pasteurella (P.) multocida. Mixed infection with B. bronchiseptica and P. multocida leads to growth inhibition of pigs, resulting in significant economic loss. There are many commercial vaccines for atrophic rhinitis, including B. bronchiseptica as a killed vaccine antigen (Ag). However, the immunogenicity of killed B. bronchiseptica Ag has not yet been elucidated;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munogenicity of killed B. bronchiseptica Ag and the type of immune response it induces. In vitro assays using mouse spleen cells and flow cytometry revealed that B. bronchiseptica Ag induced high proliferation capability of lymphocytes, especially B lymphocytes, and the proliferating cells showed a significant response to interleukin (IL)-2. B. bronchiseptica Ag also enhanced the production of IL-12, a representative cytokine for cell-mediated immunity. In vivo experiments using mice showed that the injection of B. bronchiseptica Ag markedly induced Ag-specific antibody.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 bronchiseptica Ag has high immunogenicity by itself.

넙치에 대한 b-용혈성 연쇄구균 불활화백신의 안정성과 효능 (Stability and efficacy of formalin-killed Streptococcus iniae vaccine for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조미영;이덕찬;김진우;도정완;이주석;김명석;최미영;김이청;강보규;윤용득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5-172
    • /
    • 2006
  • 본 연구는 Streptococcus iniae 포르말린 불활화 백신을 냉장 보관한 후 보존 기간별로 넙치에 접종하여 면역 효능 및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6, 12, 15개월 보존한 후에도 면역 효능의 감소가 확인되지 않아 백신으로서의 높은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1회 접종구에 비해 2회 접종구에서 높은 항체가가 유도되었으며 방어력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회 접종만으로도 낮은 항체가에도 불구하고 60% 이상의 방어 효과가 나타남에 따라 항체 이외의 세포성 면역이 방어력 형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Evaluation of Optimal Culture Conditions for Recombinant Ghost Bacteria Vaccine Production with the Antigen of Streptococcus iniae GAPDH

  • Ra, Chae-Hun;Kim, Yeong-Jin;Park, So-Jin;Jeong, Chang-Wha;Nam, Yoon-Kwon;Kim, Ki-Hong;Kim, Sung-K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9호
    • /
    • pp.982-986
    • /
    • 2009
  • For the production of ghost bacteria vaccine to prevent the streptococcal disease in aquaculture fish species, a double cassettes vector was constructed and cloned in Escherichia coli DH5${\alpha}$. Ghost bacteria vaccine production from Escherichia coli DH5${\alpha}$/pHCE-InaN-GAPDH-Ghost 37 SDM (SIG) was maximized at a glucose concentration of 1 g/l, agitation of 300 rpm, and aeration of 1 vvm. The maximal efficiency of ghost bacteria formation was obtained at the mid-exponential phase ($OD_{600}=2.0$) with the concentration of 0.77 g/l for SIG. The molecular mass of GAPDH was detected at 67 kDa with the insoluble fraction, by SDS-PAGE and Western blot. The protective efficacy of ghost bacteria vaccine was evaluated by challenge test using olive flounder. The cumulative mortalities of the positive control, formalin-killed cell (FKC) vaccine, and SIG vaccine immunized groups were 91%, 74%, and 57%,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SIG vaccine showed efficacy as a vaccine and had a higher potential to induce protective antibodies than did FKC vaccine.

Outer Membrane Protein H for Protective Immunity Against Pasteurella multocida

  • Lee, Jeong-Min;Kim, Young-Bong;Kwon, Moo-Sik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5권2호
    • /
    • pp.179-184
    • /
    • 2007
  • Pasteurella multocida, a Gram-negative facultative anaerobic bacterium, is a causative animal pathogen in porcine atrophic rhinitis and avian fowl cholera. For the development of recombinant subunit vaccine against P. multocida, we cloned and analyzed the gene for outer membrane protein H (ompH) from a native strain of Pasteurella multocida in Korea. The OmpH had significant similarity in both primary and secondary structure with those of other serotypes. The full-length, and three short fragments of ompH were expressed in E. coli and the recombinant OmpH proteins were purified, respectively. The recombinant OmpH proteins were antigenic and detectable with antisera produced by either immunization of commercial vaccine for respiratory disease or formalin-killed cell. Antibodies raised against the full-length OmpH provided strong protection against P. multocida, however, three short fragments of recombinant OmpHs, respectively, showed slightly lower protection in mice challenge. The recombinant OmpH might be a useful vaccine candidate antigen for P. multocida.

뉴캣슬병 면역에 대한 검토 I. 뉴캣슬병 유행지역에서의 계군면역에 대한 실태조사 (Studies on the Immunization Against New-castle Disease I. A Survey on the Immune Status of Poultry Flocks Againt New-castle Disease in the Epizootic Area)

  • 이학철;정우열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5-24
    • /
    • 1981
  • 우리나라 뉴캣슬병 (ND) 면역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명확한 예방접종지침을 제시하는 목적의 일환으로 우선 ND 유행이 극심하였던 지역의 일반양계농장에서 사육되는 건강면역군의 예방접종경력과 혈구응집억제항체가(HI 가)를 조사하여 야외에서 실시된 ND예방접종결과에 따르는 면역효과를 간접적으로 파악하는 한편 동일지역 내에서 ND발생계군과 비발생계군에 대한 예방접종경력과 발생계군의 피해상황을 조사함으로서 야외에서 실시한 ND예방약의 응용방법과 본병발생과의 관계를 조사한 추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ND 유행지역에서 조사한 26건강면역계군의 예방접종경력은 각양계농장 임의대로의 예방접종 프로그램에 따라서 22계군은 LV와 LV병용. 잔여 4계군은 KV단용에 의해서 각각 면역되었다. 이들의 HI가는 일반적으로 전자가 높았고 후자는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그 평균치는 각각 146. 50이었다. 그리고 전자의 22계군 중 특히 낮은 역치(10, 23)를 보였던 그계군은 추후 ND발생을 보았으나 잔여 20계군 및 KV 단용 4계군은 모두 무사히 경과하였다. 2. ND유행지역에서 조사한 ND발생14계군의 예방접종경영은 무접종이 1계군이고 잔여 13계군은 각양계농장 임의대로의 접종프로그램에 따라서 LV단용이 8계군, LV와 KV병용이 5계군이었다. 폐사율에 있어서 후자는 5.1%인데 반하여 전자는 32.5%의 피해 즉 후자에 비하여 6.28배의 월등히 높은 폐사율을 보였다. 한편 ND비발생 4계군은 LV와 KV병용 혹은 KV단용 예방접종프로그램에 의해서 면역되었으며 LV단용계군은 1예도 없었다. 3. 야외에서 조사한 면역계군들의 LV응용은 거의가 ND면역상 불리하다고 보여지는 음수 투여에 의해서 면역되었으며 극히 소수예가 비질내적하 혹은 일정 희척 LV병독액 속에 파면역추의 입, 코, 눈까지 침지하는 특이한 방법으로 면역되었다.

  • PDF

Efficacy of a vaccine against Streptococcus parauberis infection in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Pallas

  • Lee, Deok-Chan;Lee, Jae-Il;Kim, Do-Hyung;Cho, Mi-Young;Kim, Jin-Woo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89-195
    • /
    • 2011
  • Starry flounder, which are recently increasingly cultured in Korea, are known to highly vulnerable to Streptococcus parauberis infection. Five groups of starry flounder (n=30 for each group) were vaccinated with S. parauberis formalin-killed whole cells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at a final concentration of 0, 0.01, 0.1, 1 and 10 mg $fish^{-1}$. Specific antibody production of 1 and 10 mg $fish^{-1}$ administered groups significantly increased at four weeks post immunization. All vaccinated groups showed higher survival rates than a control group when five groups of fish were challenged with S. parauberis at a dose of $1.14{\times}10^4$ cfu $fish^{-1}$ and $1.14{\times}10^2$ cfu $fish^{-1}$, respectively. In particular, 0.1 or higher concentrations of formalin killed bacterial cells are able to confer the fish high protection against S. parauberis inf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