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information system

검색결과 862건 처리시간 0.029초

교육과정체계 수립을 위한 직무분석 시스템 구현 및 적용사레 분석 (System Implementation and Analysis of Job Analysis for University Curriculum)

  • 현승렬;이상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127-134
    • /
    • 2009
  • 대학이나 직업 훈련 교육 기관에서는 주문식 교육의 일환으로 산업체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교육 과정을 개발해서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일반화된 교육과정 체계 도출을 위해 현존 직무수행에 필요한 능력을 분석해서 교육과정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직무분석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산업체의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과정체계 개발을 위하여 DACUM(Developing A CurriculUM) 프로세스에 기반한 직무자의 작업기술의 확인과 교육과정 로드맵 작성 등의 일련의 프로세스를 구현하고 적용 사례를 분석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Java 와 MS Access 데이터베이스로 구현하고, 인터넷을 통해 MS SQL Server 로 구현된 중앙 데이터베이스에 직접 접속하여 작업이 가능하도록 구현한다.

대학생의 생애역량 강화를 위한 융복합형 교육시스템 모색 (A Study on a Convergence Education System to Improve University Students' Life Competencies)

  • 김부자;김준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173-180
    • /
    • 2014
  • 사회진출을 앞두고 고등교육을 받는 대학생 단계에서 가장 요구되는 생애역량은 직업역량 이다. 21세기 지식기반사회의 직업 현장에서는 다양한 능력을 보유한 인재가 요구된다. 이제는 직업역량이 높은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대학 기능 중의 하나로 간주되므로 대학교육을 통해 직업역량을 높이는 방안이 연구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직업역량을 강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융복합형 교육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교육시스템은 융복합 전공교육, 교육과정의 융합, 교육공간의 융합, 교육방식의 융합, 교육기간의 융합을 포함하고 있다. 이런 융복합 교육시스템을 통해 인지적 역량, 비인지적 역량, 글로벌 역량을 포함한 다양한 직업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패션 전공 대학생의 취업정보 탐색과 취업관련 불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Vocational Information Search and Vocational Choice Anxiety of Senior Fashion Students)

  • 최은영
    • 복식
    • /
    • 제61권8호
    • /
    • pp.127-14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basic data regarding the career development supporting system of senior fashion students. This study investigated contents of required vocational information and vocational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senior fashion students. And this study also intended to analyse vocational choice anxiety factors and its relationship with level of vocational information require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261 senior fashion students at eleven universities in the n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ve dimensions of required vocational information of fashion students were identified by factor analysis; information related to judgement of eligibility to apply for the job & company, information of work environment, information of fashion company that has the potential to hire them, information of level of compensation, stability of employment and promotion, and information of kind of job & job roles in the fashion field. Second, the senior fashion students faced few obstacles obtaining vocational information such as insufficient online vocational information, difficulties in discovering the sources of vocational information and time restriction for job search & career indecision. Third, the fashion students perceived diverse anxieties about making vocational choices. The survey identified five categories of the anxieties; anxiety about adapting to new job environment & recruiting process of the fashion company, anxiety about too heavy workload, anxiety about stability of employment & level of compensation, anxiety about lack confidence of their ability to do the job and anxiety about ability in English & the qualification for application. And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vocational choice anxiety and requirement level of vocational information. This result proved providing vocational information relieves anxiety about getting a job.

유아교사의 직무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기관유형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Infant Teacher's Job Characteristics on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the Type of Institute-)

  • 김경숙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77-184
    • /
    • 2015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직무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연구로 기관유형에 따른 조절효과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유아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한 변인으로 교사효능감, 감성지능, 동료관계, 보상체계의 관계에 대한 인과모형을 설정한 다음 설문조사를 통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감성지능, 동료관계, 보상체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보상체계가 가장 높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감성지능, 동료관계, 교사효능감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관유형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에서는 감성지능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효능감, 동료관계, 보상체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사의 직무만족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분산처리시스템의 성능평가를 위한 퍼지 BCMP 큐잉네트워크모델 (Fuzzy BCMP Queueing Network Model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 추봉조;조정복;우종호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39권1호
    • /
    • pp.14-22
    • /
    • 2002
  • 분산처리시스템에서 작업의 도착률과 서비스요구, 그리고 서버의 서비스률 등이 네트워크환경에 따라 모호성을 갖는 경우,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퍼지 BCMP 큐잉네트워크모델을 제안하였다. 이 모델은 시스템외부로부터 작업의 진입여부에 따라 개방형 및 폐쇄형으로 분류하고, 퍼지요소들을 처리할 수 있는 퍼지평균값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작업평균소요시간, 시스템내 작업수 및 서버 활용률 등의 시스템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측도를 각각 유도하였다. 이들의 유효함을 검증하기 위하여 퍼지 BCMP 큐잉네트워크모델에 작업의 퍼지도착률. 클라이언트 수 및 퍼지서비스 요구에 따른 시스템의 성능분석을 개방형과 폐쇄형으로 각각 시뮬레이션하였다. 그 결과 예측된 시스템의 성능평가와 일치함을 보였다.

MapReduce 프레임워크를 위한 JobTracker 결함허용 메커니즘 (A JobTracker Fault-tolerant Mechanism for MapReduce Framework)

  • 황병현;박기진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0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7 No.1(A)
    • /
    • pp.317-318
    • /
    • 2010
  •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클라우드 컴퓨팅에 적합한 데이터 분산 저장 및 병렬 처리가 가능한 IT 인프라 구축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 분산 파일 시스템 중 하나인 HDFS(Hadoop File System)와 병렬 데이터 처리를 지원하기 위한 MapReduce 프레임워크 관련 연구가 각광 받고 있다. 하지만 MapReduce 프레임워크를 구성하는 JobTracker 노드는 SPoF(Single Point of Failure)이기 때문에, 작업 도중 JobTracker 노드의 결함이 발생하게 되면 전체 작업이 실패하게 된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MapReduce 프레임워크의 JobTracker 노드 결함 발생에 대처할 수 있는 결함허용 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 PDF

전문건설업체 작업일보의 정보구성에 관한 연구 (Information Constitution of Daily Job-Site Report for Specialty Contractors)

  • 이강민;신원상;이동은;김대영;손창백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2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79-280
    • /
    • 2012
  • The Construction Standard Production Unit(CSPU) has been used for the standard cost estimate in public and private construction projects. However, It is questionable if the reliability and/or authenticity of the system is acceptable due to the lack of consistent enactment and/or revision procedures. This study identifies informational conditions and issues relative to using daily work report as a data collection method for enacting and/or revising CSPU system, and establishes the measures for improving the daily work report. This study aims on the information constitution of daily job-site report, daily manpower report, wages register for specialty contractor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most of necessary data were included in a daily job-site report. In conclusion, it is investigated that data of daily manpower report and wage register need to be included in a daily job-site report for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e of worker in the future.

  • PDF

스마트워크 품질이 집단지성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mart Work Quality on Collective Intelligence and Job Satisfaction)

  • 김현철;김오우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5호
    • /
    • pp.113-120
    • /
    • 2015
  • Purpose - As the rapid development of ICT has been made recently, many domestic companies are trying to introduce smart work infrastructure. The purpose of institution of smart work is to enhance their performance.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advance the way of working. Developing employees' collective intelligence should be regarded as a prerequisite for advancing the way of working. Job satisfaction of the employees is another important factor to enhan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So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ystematic approach to smart work quality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effect of smart work quality on collective intelligence and job satisfac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designed to examine cause-and-effect relationships among three latent variables(smart work quality, collective intelligence, job satisfaction). Three hypotheses were formulated. The first hypothesis is that the effect of smart work quality on collective intelligence will be positive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Likewise, the second hypothesis is that the effect of smart work quality on job satisfaction will be positive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the third hypothesis is that the effect of collective intelligence on job satisfaction will be positive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34 questionnaire items were developed to measure the effect of the three variable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62 employees who are working under smart work environment. The number of the effective questionnaires for the analysis was 154. PASW Statistics 18 and AMOS 18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 for questionnaire items have been carried out. From the factor analysis, 1 out of 34 items was eliminated. As a result, 33 out of 34 items were used for analyzing. The values of Cronbach's α ranged from 0.701 to 0.910, indicating the acceptabl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items. The values of χ2, df, CFI, TLI, RMSEA of the model are 102.838, 51, 0.949, 0.935, 0.082, respectively. So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first and third hypotheses were supported. But the second hypothesis was rejected. Conclusions - An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showed meaningful implications about the effect of smart work quality on collective intelligence and job satisfaction. First, as the five quality elements of the smart work improved, the level of collective intelligence increased. Second,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smart work didn't have a direct effect on job satisfaction, which is inconsistent with the prior findings. The main purpose of smart work is to help achieve greater performance. The companies also need to make effort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of their employees along with achieving greater performance. Third, an organization with higher level of collective intelligence showed greater job satisfaction. The companies under smart work environment need to develop functions to encourage participation, sharing, openness, and collaboration. This research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companies which want to introduce smart work,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etc.

A Study of The Database System Design for The Ear Reflex Therapy Utilization

  • Choung, Hye-My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43-50
    • /
    • 2020
  • 귀 반사 요법은 귀가 인체의 각 계통들과 연계되어 있다. 이것을 기반으로 신체의 증상을 완화하는데 활용하고 있다. 또한 귀 반사 요법은 일반인이 자신의 건강 유지 및 건강 증진을 위하여도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귀 자극 요법 관련 data들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 개발하여 교육에도 활용하고 시술에 따른 데이터들을 편리하게 관리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시스템에 포함되는 내용으로는 기본 데이터로 귀 반사 요법에 관한 기초지식 즉 귀 반사 요법에 대한 설명, 반사 구, 건강 문제가 발생되는 신체 계통별 반사 구의 상응 위치에 대한 그림까지 포함되어 있고 시술을 할 경우에는 계속 시술을 위한 관리까지 포함되어 있다. 또한 기존 데이터에 대한 수정이 언제든지 가능하도록 하여 귀 반사 요법의 발전에 따라 업그레이드 하여 계속 활용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번 시스템은 인체 계통별 단순 반사 구의 상응 위치에 따른 data만을 활용하고 있지만 한방의 기맥과 연계하여 신체 건강의 균형과 관계된 부분도 연구하여 본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추가 한다면 지금보다 발전된 시스템으로 활용 할 것으로 기대된다.

Self-Supervised Long-Short Term Memory Network for Solving Complex Job Shop Scheduling Problem

  • Shao, Xiaorui;Kim, Chang So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5권8호
    • /
    • pp.2993-3010
    • /
    • 2021
  • The job shop scheduling problem (JSSP) plays a critical role in smart manufacturing, an effective JSSP scheduler could save time cost and increase productivity. Conventional methods are very time-consumption and cannot deal with complicated JSSP instances as it uses one optimal algorithm to solve JSSP. This paper proposes an effective scheduler based on deep learning technology named self-supervised long-short term memory (SS-LSTM) to handle complex JSSP accurately. First, using the optimal method to generate sufficient training samples in small-scale JSSP. SS-LSTM is then applied to extract rich feature representations from generated training samples and decide the next action. In the proposed SS-LSTM, two channels are employed to reflect the full production statues. Specifically, the detailed-level channel records 18 detailed product information while the system-level channel reflects the type of whole system states identified by the k-means algorithm. Moreover, adopting a self-supervised mechanism with LSTM autoencoder to keep high feature extraction capacity simultaneously ensuring the reliable feature representative ability. The authors implemented, trained, and compared the proposed method with the other leading learning-based methods on some complicated JSSP instances. The experimental results have confirmed the effectiveness and priority of the proposed method for solving complex JSSP instances in terms of make-span.